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희철(1947)

덤프버전 :

김희철의 역임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관악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양재범
제2대
안진
제3대
함종원
제4대
안찬희
제5대
강정희
제6대
강병수
제7대
윤백영
제8대
이집홍
제9대
김인동
제10대
김두한
제11대
김영만
제12대
이진호
제13대
김문종
제14대
박형원
제15대
윤두영
제16대
서정희
제17대
박형석
제18대
박종옥
제19대
진진형
제20-21대
김희철
제22대
김효겸
제23-24대
유종필
제25-26대
박준희
파일:관악구 구정비전.png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제13-17대
이해찬
제18대
김희철
제19대
이상규[1]

[1] 통합진보당 해산 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제20-21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김희철
金熙喆 | Kim Hui-cheol
파일:김희철 정치인.jpg
출생1947년 12월 15일 (76세)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해리면)
본관부안 김씨
재임기간제20·21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1998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종교개신교(장로교)[1]
학력고창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박사)
현직사단법인 민주개혁본부 고문
병역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가족배우자 조선자, 슬하 3녀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8
약력1988 서울 올림픽 자원봉사회장
평화민주당 창당발기인
평화민주당·신민주연합당·민주당 한광옥 국회의원 보좌관
국회 건정회 회장
한국내외문제연구회 이사장
새정치문화연구소 사무국장
새정치국민회의 김홍일 국회의원 보좌관
제20-21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민선 2·3기 / 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제18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 통합민주당)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민주당 서울 관악구 을 당협위원장
민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
민주당·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국민의당 창당발기인
국민의당 고문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3. 경력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47년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서 태어났다. 고창고등학교,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학부 시절 총학생회장을 지내며 민주화운동을 하였으며 1989년 행정학 석사 , 2004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1. 정치 활동[편집]


1987년 평화민주당이 창당될 때 당료로 합류하면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한광옥 의원의 보좌관을 지냈던 측근이다.

1998년 민선 2기 관악구청장으로 당선되었고, 2002년 재선되었다(소속은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특히 2002년의 경우 한나라당이 서울시 구청장 25곳 중 22곳을 싹쓸이했는데,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구청장 3인 중 하나[2]였다. 그 후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 때 새천년민주당에 남았고[3], 2006년 3선에 도전하였으나 이해찬이 공천한 열린우리당 후보와 표가 나뉘면서 한나라당 김효겸 후보에 석패.[4]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관악구 을 지역에서 내리 5선 국회의원을 했던 이해찬의 불출마로 무주공산이 된 관악구 을 지역구에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런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과정에서 관악을 지역구가 여론조사를 통한 후보 단일화 대상 지역으로 선정되었고, 여론조사 결과 통합진보당 이정희가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희철은 통합진보당 측이 부정행위를 하였다고 반발하면서 민주통합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통합진보당 이상규 후보[5]에게 패배하였다. 정통민주당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잔류했다.

그 후 복당했지만,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정태호 전 청와대 대변인에게 밀려 공천에 탈락하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였다. 2016년 국민의당에 합류했으나 3월 23일 관악을 선거인단 경선에서 이행자에게 패배했다.

국민의당 분당과정에서는 애초 민주평화당이 아닌 바른미래당을 택하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청장 출마를 준비했으나, 바른미래당에서 이행자를 단수공천하자 민주평화당으로 당적을 바꾸어 출마하였다. 주요 공약은 사법시험 부활인 듯 한데 국회의원도 아니고 일개 구청장이 실현할 수 있는 공약은 아닌지라... 그리고 결국 더불어민주당 박준희 후보에 밀려 이행자와 사이좋게 낙선.

이후 민생당 소속이었으나, 2020년 4월 권노갑, 정대철동교동계 전직 의원들과 더불어민주당 입당 선언을 하며 민생당을 탈당했다.

2020년 8월,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완료했다. 2021년 서울특별시장 재보궐선거에서 박영선 후보를 지지하기도 했다.


3. 경력[편집]


  • 1967.2. 고창고등학교 졸업[6]
  • 육군보병학교 장교 과정 수료
  •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 1973.2. 건국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7] 졸업, 정치외교학 학사
    • 1971.6. 재학 중 총학생회장 역임
      • 총학생회장 역임 시 전국대학교 총학생회장협의회 위원장, 세계 대학생 대회 회장 역임
  • 한국인권투쟁위원회 발기위원
  • 한국학생운동자협의회 이사
  • 1988 서울 올림픽 자원봉사회장
  • 1987.11. 평화민주당 창당발기인
  • 1987.11. 평화민주당 관악구 지구당 사무국장
  • 1988.5. 평화민주당 한광옥 제13대 국회의원 보좌관
  • 1989.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1992.5. 민주당 한광옥 제14대 국회의원 보좌관
  • 1992.10. 제14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김대중 후보 선거대책본부장 비서실장
  • 1992. 국회 건정회 회장
  • 1992. 민주당 중앙당 지방자치특별위원회 위원
  • 1993.4. 새정치문화연구소 사무국장
  • 한국내외문제연구회 이사
  • 1994. 건국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 관악구 육상연맹 이사
  • 1996.6. 새정치국민회의 김홍일[8] 제15대 국회의원 보좌관
  • 1996.6. 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 보좌관 협의회 회장
  • 1997. 새정치국민회의 중앙당 지역발전특위 부위원장, 관악구 갑 지구당 지방자치위원장
  • 1998. 새관악발전연구회 회장
  • 1998.7. 제20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초선 / 민선 2기 / 새정치국민회의)
  • 1999.5. 새정치국민회의 관악구 갑 지구당 위원장 직무대행[9]
  • 2000.6.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호화호특시 호하호특 교육대학 객원교수
  • 2001.7.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 2002.7. 제21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재선 / 민선 3기 / 새천년민주당)
  • 2004.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
  • 2005.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겸임교수
  • 2006.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민주당 후보 (낙선)
  • 2008.5. 제18대 국회의원 (초선 / 관악구 을 / 통합민주당)
  • 민주당 제1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민주당 관악구 을 당협위원회 위원장
  • 2011.5.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1.12.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2.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관악구 을 무소속 후보 (낙선)
  • 2016.1. 국민의당 창당발기인, 고문
  • 2018.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민주평화당 후보 (낙선)
  • 2022.6. 시민단체 민주개혁본부 고문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 관악구청장
ta-hash-start=w-8cd963adf48713d26a49746b5bb2867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02,629 (56.54%)당선 (1위)초선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a51bfe54de1f79c46934918fb6778bc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95,897 (53.13%)재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a3ce0e9bbd3632fd840eb99737ecdde4[[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69,552 (33.41%)낙선 (2위)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관악 을
ta-hash-start=w-caeed890b290faa5ec7ec5e02a1039fe[[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43,235 (46.50%)당선 (1위)초선[10]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32,127 (28.47%)낙선 (3위)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 관악구청장
ta-hash-start=w-887165f4e8c2134c1accfcdb0b2d9a60[[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16,031 (6.16%)낙선 (4위)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6530f16bd631f012e7fd07ebe8859a14[[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7 - 1991창당
정계 입문

ta-hash-start=w-7e8c3b36784c572ea4d560578eec954b[[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11]

무소속

1995탈당[12]

ta-hash-start=w-0ae9e6ebb3f4246d8a09479d00ba2731[[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0창당

ta-hash-start=w-129062814faa8bf423948596f415072b[[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5합당[13]

ta-hash-start=w-e073da97f66c5e7e0339dbbea54bee55[[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5 - 2006당명 변경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2007합당[14]

ta-hash-start=w-b368e521b122ca6906d30fe11af2b802[[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당명 변경

ta-hash-start=w-a7f26aa0105c8e8ad8fb07a101875556[[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15]

ta-hash-start=w-c4098249cc953bd98b54e57a1ad89d12[[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6534a8436e907efb0ced99edd8d02435[[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2합당[16]

무소속

2012 - 2014탈당[17]

( )
2014창당준비위원회
2014 - 2015창당
2015탈당[18]
2015복당
2015당명 변경[19]
2015 - 2016탈당[20]
2016 - 2018창당
2018합당[21]
2018탈당[22]
2018 - 2020입당
2020탈당[23]
2020입당
2020합당[24]
2020탈당[25]
2020 - 현재복당


6. 둘러보기[편집]









[1] 예장합동 소속의 봉신교회 안수집사.[2] 나머지 2곳은 중구와 성동구.[3]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데, 그는 구민주계 중진이었던 한광옥의 측근이었기 때문. 한광옥이 수감되었음에도 그는 중앙정치와는 관련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무사했다.[4] 여담으로 김효겸은 2009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청장직을 상실하였다. 다만 상실된 시기가 잔여임기 1년 미만이었기 때문에 재보궐선거가 미실시되었다.[5] 이정희는 부정행위 의혹에 책임을 지고 후보 등록을 포기하였고, 통합진보당에서는 이상규를 후보로 공천하였다.[6] 43회로, 전임 진진형(28회) 구청장과 동문이다.[7] 現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8] 김대중 당시 총재의 장남이다.[9] 한광옥1999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 구로구 을 선거구 출마 및 당선으로 지구당 위원장직을 내려놓자 관악구청장이 당연직으로 지구당 위원장 직무대행을 수행함.[10] 2012.3.21 공천 및 후보단일화 논의 문제로 탈당[11] 민주당과 신설 합당[12]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13]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4]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15] 대통합민주신당과 신설 합당[16]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7] 단일화 불복으로 인한 탈당[18] 재보선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19] 당명이 변경된 날 탈당했다.[2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1]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22] 지선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2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4]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25]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