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현욱(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현욱 문서
김현욱번 문단을
김현욱#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심벌.sv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1~1988)
초대
김정렬
제2대
주영복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김태웅
영어 54
정호영
영어 54
신석균
노어 54
김청
노어 55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김청
노어 55
최상학
영어 54
이현승
영어 54
신석균
노어 54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박필수
영어 54
강기필
영어 55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김현욱
독일어 57
강인섭
불어 55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강인섭
불어 55
최동호
영어 57
김종인
독일어 58
양인모
독일어 59
제26대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강덕영
국제통상 65
권순한
스페인어 63
제31대제32대제33대
민동석
노어 73
양인집
일본어 76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제5대
박준병
제6대
김현욱
제7대
강창희


제14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김현욱
金顯煜 | Kim Hyunuk
파일:김현욱 의원.jpg
출생1939년 1월 22일 (85세)
충청남도 당진군
(現 충청남도 당진시)
본관김해 김씨
일천 (一泉)
재임기간제14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2011년 7월 1일 ~ 2013년 5월 2일
가족아버지 김용재, 동생 김현풍
학력당진초등학교 (졸업)
당진중학교 (졸업)
보인상업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독문학 / 학사)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 석사)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 박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의병 제대
종교천주교 (세례명 : 요한 보스코)
신체176cm, 82kg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1, 12, 13, 15
경력단국대학교 교수
미국 남오레곤주립대학 교수
제11대 국회의원 (충남 8선거구 /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충남 8선거구 / 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의원 (충남 당진군 / 민주정의당)
국회 외무통일위원회 위원장(12, 13대)
제15대 국회의원 (충남 당진군 / 자유민주연합)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제15대)
민주자유당 북방특별위원회 위원장
자유민주연합 사무총장 부총재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한서대학교 국제학부 초빙교수
국제평화외교안보포럼 이사장
2008 세계하프대회 한국조직위원회 총재
제14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대한민국헌정회 감사
1. 개요
2. 선거이력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호는 일천(一泉)이다. 선친이 제헌 국회의원 김용재(金用在), 동생이 전 서울 강북구청장 김현풍이다. 본관은 김해이다. 종교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한 보스코이다.

1939년, 충청남도 당진군(현 당진시)에서 태어났다. 보인상업고등학교(30회),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당진군-서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심현직 후보와 신민당 한영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한영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장기욱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충청남도 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0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통일국민당 송영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 해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김영삼이 선출되자 이에 대한 불만으로 이종찬 등과 민주자유당을 탈당하여 새한국당을 창당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교육위원장,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간사직을 역임하였다. 1999년 자유민주연합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정계 은퇴 이후 국민행동본부, 반핵반김국민협의회 등의 보수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햇볕정책 및 국가보안법, 사립학교법 전면개정을 비난하고 이명박 대통령을 지지하였다.

대표적으로 광우병 촛불집회에 미사를 진행한 정의구현사제단의 행동을 비난하는 내용을 본인이 대표로 있는 뜻있는 가톨릭 모임의 이름으로 조선일보 등에 광고로 게재하였으며, 공정택 서울특별시 교육감 후보 사무실에서 "전교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한국은 흔들린다."라는 색깔론 발언을 했다.

이어 2011년 6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맡았다.


2.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선거구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7
무소속

15,217 (8.5%)낙선 (6위)[1]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8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69,967 (39.04%)당선 (1위)초선 [2][3]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83,576 (44.3%)재선 [4]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당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1,744 (47.92%)3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c8e74ee1a070396e83e9ca3f1cd868e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3,008 (37.19%)낙선 (2위)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03787921710a970037efe31e9f2b6998[[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9,897 (51.27%)당선 (1위)4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23,589 (41.16%)낙선 (2위)


3.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5:16:30에 나무위키 김현욱(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진군, 서산군[2] 당진군, 서산군[3] 민주한국당 한영수 후보와 동반 당선[4] 민주한국당 장기욱 후보와 동반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