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유영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김유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김유영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96번
김광용
(2013)
김유영
(2014)
윤여훈
(2016~201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8번
장원준
(2014)
김유영
(2015)
고원준
(2016~2016.5.31.)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5번
강승현
(2015)
김유영
(2016~2017)
양형진
(2018)
한승혁
(2019)
김유영
(2020~2021)
정대혁
(2022~)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0번
강태율
(2020.6.24.~2020)
김유영
(2022)
안권수
(2023)
LG 트윈스 등번호 0번
이영빈
(2021~2022)
김유영
(2023~)
현역

파일:23LG 김유영.png
LG 트윈스 No.0
김유영
金庾寧 | Kim Yuyeong
출생1994년 5월 2일 (30세)
경기도[1]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양정초 - 개성중 - 경남고
신체180cm, 83kg, AB형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2014년 1차 지명 (롯데)
소속팀롯데 자이언츠 (2014~2022)
LG 트윈스 (2023~)
병역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8~2019)
연봉9,500만원 (97.9%↑, 2023년)
등장곡Neffex - 《Fight Back[2]
[ 이전 등장곡 보기 ]
MBTIENTJ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LG 트윈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피칭 스타일[편집]



평균 구속 143km/h 내외, 최고 구속 148km/h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투피치에 간간히 체인지업을 섞어던지는 좌완 투수이다. 전체적인 구위는 나쁘지 않으나 고질적인 제구 불안 때문에 필승조로 중용하기는 힘든 편. 좌완이 멸종한 전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사정상 하이 레버리지 상황에서도 꽤나 자주 등판했었는데 결과는 좋지 못하다.

역스플릿 유형 투수다. 좌완투수이지만 우타 상대로는 나름대로 위력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좌타 상대로는 영 고전을 면치 못한다. 그럼에도 롯데 시절에는 좌완 불펜이 없어서 좌타자 상대로도 자주 등판하다 털리는 일이 많았다. 이우찬, 진해수, 최성훈 등 좌완 불펜이 여유가 있는 LG에서는 선발로도 기회를 받을 전망이다.

4. 여담[편집]


  • 이범호를 닮은 외모로 인해 '보급형 이범호'라는 별명이 있다.[3] 이범호의 별명이 두더지라 KIA 타이거즈 팬들은 '새끼더지'라고도 부른다. 2020년 애들레이드 자이언츠와의 연습경기 4차전 라이브 방송중 성민규 단장도 "이범호 선배인줄 알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 중학교 시절 유급 경력으로 다른 1994년생들과 달리 1년 늦은 2014년 드래프트에 지명되었다. 원래는 유급 시 1차지명이 불가능하지만 1차지명 부활 전인 중학생 때 유급했기 때문에 별 제재 없이 1차지명을 받았다.


  • 별명으로는 '윾영'이 자주 쓰이고 잠시 타자로 선 경험이 있어서 '윾영타니'로 불리기도 한다.

  • 2022년부터 달게 된 등번호 0번은 이름이 김유0이라는 뜻으로 달았다고 한다. 본인은 매우 만족한다고.

  • 팬 서비스 관련하여 미담만 나오는 선수다.

5. 관련 문서[편집]



[1] #[2] 롯데에서 쓰던 등장곡을 LG에서도 계속 쓸 예정이다.#[3] 한화 이글스에도 이범호를 닮은 김인환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7:15:13에 나무위키 김유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