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영준(북한)

덤프버전 :

김영준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ffffff,#191919> 1956년 ~ 현재 ||
||<width=20%> *
미상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1대
김군남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2대
명례현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3대
박두익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4대
박두석
파일:북한 국기.svg ||
|| 5대
양성국
파일:북한 국기.svg || 6대
한봉진
파일:북한 국기.svg || 7대
박두석
파일:북한 국기.svg || 8대
정영성
파일:북한 국기.svg || 9대
박두익
파일:북한 국기.svg ||
|| 10대
김정민
파일:북한 국기.svg || 11대
명동찬
파일:북한 국기.svg || 12대
홍현철
파일:북한 국기.svg || 13대
체르너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 14대
문기남
파일:북한 국기.svg ||
|| 15대
명동찬
파일:북한 국기.svg || 16대
리정만
파일:북한 국기.svg || 17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 18대
한형일
파일:북한 국기.svg || 19대
김정훈
파일:북한 국기.svg ||
|| 20대
조동섭
파일:북한 국기.svg || 21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 22대
김창복
파일:북한 국기.svg || 23대
안데르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24대
박용일
파일:북한 국기.svg ||
|| 25대
김영준
파일:북한 국기.svg || 26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bgcolor=#e0ffdb,#073300> 27대
신영남
파일:북한 국기.svg ||

||

||
||<-5><bgcolor=#0c2c84> * 는 재임했던 감독들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1956년~1964년) ||
||<-5><height=30><bgcolor=#eeeeee,#191919> ||





북한의 축구감독
파일:Kim Yong-jun North Korea Head Coach.jpg
이름김영준
金永俊 | Kim Yong-Jun
출생1983년 7월 19일 (40세)
북한 평양시[1]
국적
파일:북한 국기.svg

신체 182cm
직업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선수평양시체육단(2002~2006)
옌볜 푸더(2006~2007)
청두 톈청(2008)
평양시체육단(2009~2011)
감독평양시체육단(2010~2013)
북한 U-16/17/23 대표팀(2013~2017 / 코치)
북한 대표팀(2018~2019)
국가대표59경기 7골(북한 / 2001~2011)
1. 개요
2. 선수 경력
3. 감독 경력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한축구선수 출신 감독.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2. 선수 경력[편집]


파일:Kim Yong-jun North Korea.png

2002년 평양시체육단에서 미드필더로서 데뷔하고 4년간 활약했다. 2006년부터 1년간 옌볜 푸더에서 뛰었고, 2008년 청두 톈청을 거쳐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평양시체육단에서 뛴 후 은퇴했다. 국가대표로는 북한 대표팀 소속으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59경기를 출장하여 7골을 기록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조별리그 G조 2차전 포르투갈전에서 58분에 교체되어 출장한 경험이 있다.


3. 감독 경력[편집]


2018년 9월FIFA에서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를 위해 각국 대표팀 감독과 주장들로부터 투표를 받았는데 이때 북한 대표팀 감독으로 '김영준'으로 표기되면서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한 것이 확인되었다. 링크[2]

2018년 12월 12일, 조선중앙통신사는 "조선축구협회가 35살의 젊고 능력 있는 김영준을 국가남자축구종합팀 책임감독으로 임명했다"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기사 이를 보도한 기사에 따르면, 김영준이 종전에 유소년 대표팀 보조감독[3]과 평양시체육단 남자축구 감독 및 책임감독을 지냈다고 한다.

그렇게 북한 대표팀에 부임하고 2018년 12월 25일베트남 대표팀과의 친선경기로 첫 단추를 달며 2019년 1월에 펼쳐진 2019 UAE 아시안컵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레바논 등과의 '중동 3연전'을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1차전 사우디전 0:4, 2차전 카타르전 0:6, 3차전 레바논전은 1:4로 연이어 대패 당하며 '3전 전패 1득점 14실점 승점 0'을 기록하게 되면서 역대 북한 대표팀이 출전했던 메이저대회 중 역대 최악의 성적을 거두게 되는 감독으로 남게 되었다. 조별리그 내내 경기력까지도 무척 나빴던 터라 누구나 김영준의 경질을 예상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예상대로 후임 감독으로 전임 감독이었던 윤정수 감독이 지휘봉을 잡으면서 부임한지 한달만에 쓸쓸히 경질됐다.

4. 여담[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1:04:56에 나무위키 김영준(북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링크[2] 자세한 내용은 링크 속 PDF 파일 중 8페이지 참조.[3] 축구 스태프 구성상 '수석코치'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