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왕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제 바둑 기전에 대한 내용은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문서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번 문단을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aduk_test3.png 대만의 주요 바둑 기전
[ 펼치기 · 접기 ]

5대 기전국수전 · 천원전 · 기성전 · 십단전 · 기왕전
종합 기전하이펑배
신인 기전신인왕전
여자 기전여자명인전 · 여자최강전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폐지 기전



台灣棋王賽 / The Taiwan Weiqi Ace Tournament

  • 주관: 중화민국바둑협회
  • 주최: 대만기원 - 해봉기원 공동개최
  • 후원사: LGS傳奇圍棋網
  • 제한시간: 본선 토너먼트 3시간, 초읽기 1분 5회.
  • 대회방식: 타이틀 도전기 방식.
    • 도전자 결정전: 본선 8강 풀리그, 우승자가 도전자
    • 타이틀 도전기: 7번기, 준우승자는 차기 도전자 결정전 본선 시드.
  • 상금: 우승 100만 신 대만 달러

1. 개요
2. 상세
3. 구(舊) 기왕전
3.1. 역대 우승자
4. 신(新) 기왕전
4.1. 역대 우승자



1. 개요[편집]


대만바둑 기전. 대만에서 사실상 최대의 기전이었으나 2020년에 최대 규모의 신(新) 명인전이 출범함에 따라 랭킹 2위의 기전이 됐다.


2. 상세[편집]


1979년부터 1989년까지 구 기왕전을 시행하고 2008년까지 29년간 아예 폐지한 상태였다가 새로 창설했다. 그래서 아예 구 기왕전은 역사에 쳐주지를 않는다. 당장 대만 명인전이나 대만 국수전 역시 대회가 끊기고 새로 생기면 역사성을 부정하는데 대만 바둑 기전은 대부분 이렇다. 국수전이 폐지된 이유와 달리 기왕전이 폐지된 이유는 대만기원 - 해봉기원 내분 때문은 아니고 이하 서술될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2022년쉬하오훙 九단이 린쥔옌 九단을 꺾고 타이틀을 탈환했다.


3. 구(舊) 기왕전[편집]


대만의 중국위기회(中國圍棋會)와 민생보가 주최하여 1979년부터 1989년까지 11기 동안 존속한 기전. 명인전국수전과 더불어 중국위기회가 주도하는 대만의 3대기전 중 하나였다. 1989년 춘절이후 바둑행사중 휴식시간에 대만의 프로기사들이 마작을 한 것이 알려졌는데 이에 중국위기회의 실세이자 대만바둑계의 주 후원자였던 잉창치(應昌期)가 격노하여 품위새(品位賽: 대만의 승단전에 해당)와 3대 기전을 모두 중단시키려 하였다. 이후 명인전국수전은 재개되었지만 기왕전은 그대로 사라지고 말았다.


3.1. 역대 우승자[편집]


역대 결승 기록
회차연도우승전적준우승비고
1회1979년천융안 프로-저우시안헝[1] 프로리그전 우승
2회1980년천융안 프로4:1저우시안헝 프로
3회1981년천창칭 프로4:2천융안 프로
4회1982년천창칭 六품[2]4:3천융안 八품
5회1983년천창칭 六품4:2천융안 八품
6회1984년천창칭 六품4:1린셩시엔 九품천창칭 4연패
7회1985년천융안 五품4:1천창칭 六품
8회1986년저우시안헝 四품4:3천융안 五품
9회1987년저우시안헝 四품4:1린셩시엔 四품
10회1988년저우시안헝 四품4:1천창칭 四품
11회1989년저우시안헝 四품4:0천창칭 四품저우시안헝 4연패


4. 신(新) 기왕전[편집]



4.1. 역대 우승자[편집]


역대 결승 기록
회차연도우승전적준우승비고
1회2008년저우쥔쉰 九단--리그전 우승
2회2009년천스위안 八단4:2저우쥔쉰 九단
3회2010년천스위안 九단4:0린즈한 九단
4회2011년천스위안 九단4:3저우쥔쉰 九단
5회2012년천스위안 九단4:2샤오정하오 八단천스위안 4연패
6회2013년왕위안쥔 九단4:1천스위안 九단
7회2014년왕위안쥔 九단4:0린즈양 六단
8회2015년저우쥔쉰 九단4:3왕위안쥔 九단
9회2016년왕위안쥔 九단4:2저우쥔쉰 九단
10회2017년린쥔옌 七단4:3왕위안쥔 九단
11회2018년린쥔옌 七단4:1쉬하오훙 五단
12회2019년왕위안쥔 九단4:3린쥔옌 八단
13회2020년쉬하오훙 七단4:1왕위안쥔 九단
14회2021년린쥔옌 九단4:3쉬하오훙 七단
15회2022년쉬하오훙 九단4:1린쥔옌 九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7:12:11에 나무위키 기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저우시안헝(周咸亨)은 2번 개명하였다. 저우시안헝 => 저우퀘이홍(周奎宏) => 저우쉬펑(周序鋒). 1978년 대만의 1인자 자격으로 당대의 한국 1인자 조훈현과 친선전을 두어 정선으로 승리한 적이 있다 (월간바둑 1979년 2월호에 조훈현의 자전기가 실려 있다). 조훈현의 감상으로는 중국식 계가법에 익숙하지 않아 형세를 착각하였다고 한다. 1982년 9월의 한국-대만 교류전에서는 서봉수 七단(당시)에게 호선으로 승리(흑 9집반승)하였다.[2] 품(品)은 응창기위기교육기금회(應昌期圍棋教育基金會)에서 규정한 대만의 단위제도. 一품(品)이 제일 높고 (단위제의 九단에 해당), 九품이 제일 낮다 (初단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