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행정조직/대한민국/역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가행정조직/대한민국

1. 개요
2. 역대 행정각부
2.1. 이승만 정부 중앙행정조직
2.2. 장면 내각 중앙행정조직
2.3. 박정희 정부 중앙행정조직
2.3.1. 61.5~68.7
2.3.2. 68.7~81.12
2.4. 전두환 정부 중앙행정조직
2.5. 노태우 정부 중앙행정조직
2.6. 문민정부 중앙행정조직
2.6.1. 93.3~94.12
2.6.2. 94.12~96.8
2.6.3. 96.8~98.2
2.7. 국민의 정부 중앙행정조직
2.8. 참여정부 중앙행정조직[1]
2.9. 이명박 정부 중앙행정조직
2.10. 박근혜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
2.11. 문재인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
2.12. 윤석열 정부 개편안(미정)
3. 기능별 부처 변천사


1. 개요[편집]


역대 정부의 중앙행정조직들. 중간에 조직 개편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정부조직법상의 순서만 바뀌는 경우는 생략한다. 또 동일 행정부 내에서 이름만 바뀐 경우에는 'A → B' 식으로 기술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부 부처 변천사(2013. 2. 1)


2. 역대 행정각부[편집]



2.1. 이승만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정부에 좌의 행정 각부를 두고[2] 부에 장관 1인을 둔다.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국방부
  • 법무부
  • 문교부
  • 농림부
  • 상공부
  • 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2.2. 장면 내각 중앙행정조직[편집]


국무원의 통할하에 다음의 행정 각부를 두고 부에 장관 1인을 둔다. 61년까지 이어졌다.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부흥부
  • 농림부
  • 상공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2.3. 박정희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2.3.1. 61.5~68.7[편집]


  • 경제기획원(61.7~)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림부
  • 상공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공보부
  • 건설부(62.6~)


2.3.2. 68.7~81.12[편집]


  • 경제기획원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림부 → 농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77.12~)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 국토통일원(69.1~)


2.4. 전두환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 경제기획원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수산부 → 농림수산부(84.1~)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 체육부
  • 국토통일원

2.5. 노태우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05.gif

  • 경제기획원
  • 통일원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교육부
  • 문화부
  • 체육부 → 체육청소년부
  • 농림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2.6. 문민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04.gif

2.6.1. 93.3~94.12[편집]


  • 경제기획원
  • 통일원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수산부
  • 상공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2.6.2. 94.12~96.8[편집]


  • 재정경제원
  • 통일원
  • 외무부
  • 내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수산부
  • 통상산업부
  • 정보통신부
  • 환경부
  • 보건복지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2.6.3. 96.8~98.2[편집]


  • 재정경제원
  • 통일원
  • 외무부
  • 내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부
  • 통상산업부
  • 정보통신부
  • 환경부
  • 보건복지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7. 국민의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03.gif

  • 재정경제부
  • 통일부
  • 외교통상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자치부
  • 교육부
  • 과학기술부
  • 문화관광부
  • 농림부
  • 산업자원부
  • 정보통신부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8. 참여정부 중앙행정조직[3][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02.gif
  • 재정경제부
  • 교육인적자원부
  • 과학기술부
  • 통일부
  • 외교통상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자치부
  • 문화관광부
  • 농림부
  • 산업자원부
  • 정보통신부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노동부
  • 여성부 → 여성가족부[4]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9. 이명박 정부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01.gif


감사원은 대통령 직속기관이지만 헌법기관이기도 하다.


위키 작성원칙에 따라 가나다 순으로 정리되었지만, 정부조직법에서는 행정각부의 순서를 정하고 대한민국 대통령의 유고시에 국무총리 다음으로 그 직무를 대신할 순서를 정해놓고 있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같은 일이 있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정부조직법에 따른 순서는 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외교통상부-통일부-법무부-국방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수산식품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환경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국토해양부 순서이다.
줄여서 행복청. 행복청은 그 존속기간이 명시되어있지 않지만,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설이 완료되고 나면 당연히 사라지거나 세종특별자치시청에 흡수될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한시조직으로 구분된다.
2008년 폐지됨.



2.10. 박근혜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external/org.moi.go.kr/01intro_graph02.gif


부총리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미래창조과학부(2위)와 교육부(3위)의 서열이 조정되었다. 기획재정부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하며, 교육부장관은 사회부총리를 겸임한다.


2.11. 문재인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편집]


파일:문재인정부_정부조직도(2020).png


2.12. 윤석열 정부 개편안(미정)[편집]



3. 기능별 부처 변천사[편집]


행정내무부행정자치부행정안전부안전행정부행정자치부행정안전부
안전국민안전처
인사총무처국무원사무국국무원사무처내각사무처총무처인사혁신처
공보공보처공보실공보부문화공보부공보처국정홍보처문화체육관광부
문화문교부문화부문화체육부문화관광부
체육문교부체육부체육청소년부
교육문교부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교육과학기술부교육부
과학과학기술처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체신부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재정재무부재정경제원재정경제부기획재정부
예산기획처부흥부경제기획원기획예산처
건설건설부건설교통부건설교통부국토해양부국토교통부
교통교통부
해운해양수산부해양수산부
수산농림부농수산부농림수산부농림수산식품부
농업농림부농림축산식품부
외교외무부외교통상부외교부
통상상공부상공부동력자원부상공자원부통상산업부산업통상자원부
산업상공부산업자원부지식경제부
중기공업진흥청중소기업청중소벤처기업부
여성제2정무장관실여성특별위원회여성부여성가족부여성부여성가족부
가족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보건부보건사회부보건사회부보건사회부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
복지
환경사회부환경청환경처환경부
노동노동청노동부고용노동부
사법법무부
국방국방부
통일국토통일원통일원통일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23:31에 나무위키 국가행정조직/대한민국/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여정부의 중앙행정조직은 국민의 정부 후기의 것을 그대로 이어받았다.[2] 우횡서의 흔적이다.[3] 참여정부의 중앙행정조직은 국민의 정부 후기의 것을 그대로 이어받았다.[4] 국민의 정부 때 신설되었고, 참여정부 때 여성가족부로 개칭[5] 종전에는 행정안전부 소속 위원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