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무(고구려)

덤프버전 :




지위왕제(王弟)
성씨고(高)
이름무(武)
부왕미천왕(美川王)
형제고국원왕
생몰연도미상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매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천왕의 아들이자, 고국원왕의 동생.


2. 생애[편집]


342년, 모용선비(전연)의 모용황이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해왔을때 활동했던 기록이 남아있는 고구려의 왕족이다.

모용황은 이끌고 온 4만의 군사를 나누어서 각각 북도와 남도를 치게 하였는데, 비교적 방어를 허술히 했던 남도에서 고구려군이 크게 패하였다. 결국 방어선이 무너진 고구려는 전연의 군사들에게 도읍을 점령당하는 굴욕을 당하였고, 심지어 고국원왕마저 모용황에게 쫓겨다니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나 고국원왕의 동생이었던 고무는 5만명의 정예병력을 이끌고 북도에서 방어를 하고 있다가 쳐들어온 전연의 장수인 왕우(王寓)와 1만 5천의 군대를 전멸시키는 대승을 거두었다.

고무와의 싸움에서 생각보다 큰 타격을 입은 모용황은 뒤치기를 당할 것을 염려하여 고국원왕을 추격하던 것을 그만두고, 사로잡은 왕후 주씨와 고국원왕의 어머니를 인질로 잡아갔으며, 한술 더 떠서 미천왕의 무덤을 파서 시신까지 가져가버렸다.


3. 기타[편집]


이듬해인 343년, 고국원왕은 아우를 전연에 파견에 미천왕의 시신과 왕후 주씨의 송환을 요구했지만 모용황은 미천왕의 시신만 돌려주었다. 다만 이 인물이 고무인지, 고국원왕의 다른 동생인지는 불명.


4. 대중매체[편집]


KBS 대하드라마 근초고왕, 광개토태왕 등에서 연이어 등장하였다.

김진명의 고구려에서는 을불의 차남으로 무예가 뛰어났고 여노에게 무예를 전수받는다. 많은 이들이 무가 태자가 될줄 알았으나 아버지인 을불이 사유를 태자로 책봉하고 또 사랑하던 아불정효도 사유와 결혼을 해버리자 자취를 감춰버린다. 그 후 하성전투에서 고구려병사의 모습으로 나타나 모용부의 장수 2명을 죽이고 모용부의 반강의 동생을 죽여버린다. 그 때문에 반강이 동생을 원수를 갚기 위해 나타나 그와 싸우다가 붙잡히고 만다. 그 후 여노가 정체를 알아차리고 모용부로 직접 가 자기 목숨을 내놓고 무를 풀어달라고 간청하는 바람에 무사히 돌아오지만 여노의 시체를 평강에게 인수하고 홀로 사라져버린다. 그 후 여자로 분장해 모용외를 암살한다. 여노의 여려극을 물려받고 고구려의 장수로 활약한다. 사유가 왕위에 오르고 사유와 정효사이에 아들이 태어나자 구부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7:41:41에 나무위키 고무(고구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