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막근

덤프버전 :




성씨고(高)
이름막근(莫勤)
부왕태조대왕(太祖大王)
생몰연도? ~ 148년 4월
고구려 제6대 태조대왕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대왕 조에는 적자(嫡子)로, 차대왕 조에는 원자(元子)로 기록되어 있다. 동생으로 막덕(莫德)이 있었다.

태조대왕이 121년에 동생 수성에게 정사를 맡기면서 수성이 실권자가 되었고, 25년 후인 146년에 수성이 끝내 태조대왕으로부터 왕위를 넘겨받는다. 막근은 태조대왕의 정비(正妃)의 맏아들이었으므로 종법상 정통성이 확보된 상태였지만, 숙부 수성의 찬탈로 보이는 행보로 인해 왕위에 오르지 못하였다. 차대왕은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정적들을 제거하는 움직임을 보였는데, 재위 2년(147) 3월 우보 고복장(高福章)을 주살하고 이듬해(148) 4월에 막근의 목숨을 빼앗았다. 형의 죽음을 접한 막덕은 자신도 처형당할 것을 염려해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했다. 막근과 막덕을 끝으로 태조대왕의 대는 끊겼다.[1]


1.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7:09:07에 나무위키 고막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중국 측 사서에 따르면 차대왕신대왕태조대왕의 형제가 아니라 아들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