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캠퍼스에 개설된 학과와 전공에 대한 내용은 고려대학교/학부 문서
고려대학교/학부번 문단을
고려대학교/학부# 부분을
, 대학원에 개설된 학과와 전공에 대한 내용은 고려대학교/대학원 문서
고려대학교/대학원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1. 개요
1.1. 단과대학 상징
1.2. 학적 표기
7. 스마트도시학부 #
8. 세종-서울 유사학과 비교표


1. 개요[편집]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5개의 단과대학과 1개의 독립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단과대학/독립학부코드[1]
과학기술대학
스마트도시학부[2]
27
약학대학29
국제스포츠학부(11학번~16학번)[3]31
공공행정학부(09학번~10학번)37
공공정책대학38
글로벌비즈니스대학39
문화스포츠대학40
해외대학 교환학생(ESP)85
해외대학 교환학생(VSP)95
국내대학 학점교류학생KU


1.1. 단과대학 상징[편집]


2016년 개교 111주년을 맞이하여 자유, 정의, 진리의 교훈을 바탕으로 단과대학별 특성을 반영한 단과대학 상징(College Symbol)이 생겼다.

계열상징분할 방향상징색 배열 방향해당 단과대학
인문·사회학정의가로세로[4]
이·공학진리세로사선[5]
예·체능자유사선가로[6]

대학원의 경우 단과대학 상징에 크림슨색의 가는 선을 표시하여 구분한다고 한다.[7]


1.2. 학적 표기[편집]


또한 전공 예약/비예약에 관계없이 1학년 때에는 학적에 학부만 표시되고 2학년 때부터 전공도 같이 표기된다. 예전에는 서울캠퍼스와 구분하기 위해 학부제로 잠시 운영된 적도 있었으나,[8] 이후 서울에서 학부제가 시행되어 세종캠은 학과제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다시 서울캠퍼스는 학과제 세종캠퍼스는 학부제가 되었다.


2. 과학기술대학[편집]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과학기술대학 상징.png[9]과학기술대학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과학기술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약학대학[편집]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약학대학 상징.png약학대학
College of Pharmacy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약학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글로벌비즈니스대학[편집]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상징.png글로벌비즈니스대학
College of Global Busines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글로벌비즈니스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공공정책대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공공정책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문화스포츠대학[편집]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문화스포츠대학 상징.png[10]문화스포츠대학
College of Culture and Sport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문화스포츠대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스마트도시학부 #[편집]


2021년 신설.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에 맞춰 세종시와 함께 주관한 도시공학 학부며 도시설계 및 ICT 관련 과목을 배운다.

독립학부로 운영되나 단과대 코드 학번은 과학기술대학 소속과 동일하게 27을 공유하고 있다.



8. 세종-서울 유사학과 비교표[편집]


이 표는 이중전공 시행 안내의 캠퍼스 간 이중전공 신청가능 학과표에 따른 추정이다. 다음과 같이 대응되는 학과끼리는 이중전공이 불가하다.

단과대학학부/학과전공대응 서울캠퍼스 학과
과학기술대학응용수리과학부데이터계산과학전공이과대학 수학과
인공지능사이버보안학과스마트보안학부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디스플레이융합전공이과대학 물리학과
반도체물리전공
신소재화학과이과대학 화학과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정보대학 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
전자및정보공학과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생명정보공학과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전자·기계융합공학과공과대학 기계공학부[A]
환경시스템공학과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A]
자유공학부자유전공학부
미래모빌리티학과스마트모빌리티학부
지능형반도체공학과없음
약학대학약학과없음[11]
글로벌비즈니스대학글로벌학부한국학전공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중국학전공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영미학전공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독일학전공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융합경영학부글로벌경영전공경영대학 경영학과
디지털경영전공
표준·지식학과없음
공공정책대학정부행정학부정경대학 행정학과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공공사회학전공문과대학 사회학과
통일외교안보전공없음
경제통계학부경제정책학전공정경대학 경제학과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정경대학 통계학과
문화스포츠대학국제스포츠학부스포츠과학전공사범대학 체육교육과[12]
스포츠비즈니스전공
문화유산융합학부없음
문화창의학부미디어문예창작전공없음
문화콘텐츠전공
스마트도시학부없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코드는 볼드체 처리[2] 과학기술대학과 스마트도시학부는 코드를 공유한다.[3] 17학번부터 문화스포츠대학 산하로 변경[4] 공공정책대학, 글로벌비즈니스대학[5] 과학기술대학, 약학대학[6] 문화스포츠대학[7] 법대를 예로 들면, 법대 상징색 배치 구역 중 하얀색 구간 중간에 가는 선을 표시하는 식[8] 당시에는 서울캠퍼스가 학과제였다.[9] 상징색: 밝은 주황색, 상징물: 과기대 자체 제작 공식 심벌과 ST(Science Technology)의 조합, 보조 상징물: 호랑이의 무늬를 반원형으로 패턴화[10] 상징색: 회록색, 상징물: 잣나무(고려대학교의 상징)와 CS(Culture and Sports)의 조합, 보조 상징물: 호랑이의 무늬를 반원형으로 패턴화[A] A B 세종→서울 이중전공 가능[11] 애초에 약학대학은 이중전공을 선발하지 않는다.[12] 다만, 사범대학은 사범대학 내에서만 이중전공이 가능하고, 타 단과대학에서는 이중전공을 신청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