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원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한의 고속철도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강릉선 KTX 문서
강릉선 KTX번 문단을
강릉선 KTX#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강원선
Kangwŏn Line
江原線
노선 정보
분류간선철도
기점고원역
종점평강역
역 수23개
통행 방향좌측통행
개업일1913년
운영자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
사용차량
노선 제원
노선연장145.8km
궤간1,435mm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직류 3,000V 가공전차선
표정속도

1. 개요
2. 노선 운영
2.1. 운행 여객열차
3. 역 목록



1. 개요[편집]


북한에서 경원선의 북한쪽 구간과 함경선고원역-원산역을 합쳐서 개칭한 이름. 함경선의 고원역 이북 구간은 평라선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고원역을 기준으로 갈라먹었다.

북한에서 강원도가 북쪽만 남게 되면서 함경남도의 일부를 강원도(북한)에 합쳐 놓았고 강원도에 대부분이 속한 철도라 하여 강원선으로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개칭 년도는 불명확하다. 현재는 고원역, 전탄역만 함경남도에 속해 있다.

북한지역 정보넷에 구 함경선 구간이 1938년에 건설되었다고 쓰고 있지만# 실제와 다르다. 북한지역정보넷의 자료는 분명히 다른 철도가 접속되는 역인데 무슨 선만 통과한다고 쓴 글도 있으니 주의해서 봐야 한다.

원산-영흥(금야)구간이 실제로는 1914년 10월 1일 착공되어 영흥까지 1915년 개통되었다. # # 이 기사에 따르면 1915년 9월 21일 개통되었다.

이 노선의 원산 부근은 자연지형이 방파제 구실을 하는 천연의 양향이다. 호도반도갈마반도가 있는 원산만은 항구로서 적합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항구로 가는 여러 지선이 놓여있다.

남북분단으로 끊긴 철도이지만 북한에서는 청년이천선을 건설하여 평라선의 기능을 분담시키고 있다.

2018년 남북공동조사단에 의하면 안변역부터 두만강역까지 주기적으로 철도가 이동하다보니 사정에 맞게 잘 관리되었다고 한다. # 공동조사단은 안변역~고원역을 지난 것으로 추측된다.

2. 노선 운영[편집]


강원도는 원산과 문천에 항만을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수산물 가공업이 발달하였다. 이 어업물자들을 실은 열차가 자주 다니는데, 요즘에는 철광석 수송열차도 다니는 듯 하다, 황해도 등지에서 올라오는 것으로 추정. 이외에도 세포등판 일대를 관통하기에 세포등판에서 생산된 육류, 유제품 등 축산물 수송도 행해진다.


2.1. 운행 여객열차[편집]




3. 역 목록[편집]


강원선 역 목록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구 역명분기노선비고소재지
고 원高 原0.00.0평라선함경남도 고원군
전 탄前 灘7.57.5
룡 담龍 潭4.612.1천내선강원도 천내군
옥 평玉 坪9.922.0문천
(Munchŏn / 文川)
고암선(문천항선)강원도 문천시
문 천文 川7.429.4문평
(Munphyŏng / 文坪)
세 길-7.136.5송도원선강원도 원산시
원 산元 山5.542.0
갈 마葛 麻4.146.1
배 화培 花6.752.8강원도 안변군
안 변安 邊4.957.7금강산청년선
남 산南 山6.464.1강원도 고산군
광 명光 明9.473.5석왕사(Sŏgwangsa / 釈王寺)
룡지원龍池院8.181.6
고 산高 山6.588.1
동가리董家里9.397.4
락 천落 川5.1102.5삼방
(Sambang / 三防)
강원도 세포군
삼 방三 防3.9106.4삼방협
(Sambanghyŏp / 三防峡)
세포청년洗浦靑年7.7114.1세포(洗浦)청년이천선
성 산城 山7.2121.3
검불랑劍拂浪5.0126.3
리 목梨 木4.8131.1
복 계福 溪10.9142.0강원도 평강군
평 강平 康3.8145.8
가 곡佳 谷6.8152.6폐역됨
군사분계선
월정리月井里10.0162.6폐역됨강원도 철원군
경원선 남측 구간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8:46:57에 나무위키 강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