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t 롤스터/FC 온라인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t 롤스터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
KT 롤스터
KT Rolster
창단2020년 8월
소속 리그eK리그 챔피언십
팀명CrazyWin(2020.08 ~ 2022.07, 2022.10[1])
PLAYGROUND(2022.08)
PGxKT(2022.08 ~ 2023.03)
KT Rolster(2023.03~)
모기업플레이그라운드 네트워크
네이밍 스폰서kt 롤스터
감독공석[2]
주장박찬화
약칭K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우승 기록
EA 챔피언스컵
(3회)
2020 어텀, 2023 스프링 , 2023 서머
FIFAe 챔피언스컵
(1회)
2021
eK리그 챔피언십
(1회)
2022 S2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준혁
KT곽준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관형
KT김관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민
KT김정민
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찬화
KT박찬화




1. 개요
2. 스폰서
3. 역대 엠블럼
4. 로스터 연혁



1. 개요[편집]




대한민국FC 온라인 게임단.

2022년 7월까지는 크레이지윈 스튜디오의 이름을 썼으나 2022년 8월 플레이그라운드 네트워크에서 팀을 운영하게 되었다.

eK리그 챔피언십 2022 시즌 2 개막 당일 kt 롤스터네이밍 스폰서를 받았다는 사실이 발표되며 PGxKT라는 팀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FIFAe 콘티넨탈컵 2022년 대회에서는 국제축구연맹 규정에 따라 팀명변경이 불허되어 KT 사무국에 양해를 구한 후 크레이지윈 팀명을 사용하는 해프닝을 겪었다. #

2023년 3월 eK리그 챔피언십 2023 SPRING 한국대표선발전부터는 PG를 떼고 KT 롤스터의 팀명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점부터 플레이그라운드 네트워크의 로고가 있던 기존 유니폼 대신 KT 롤스터의 유니폼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KT에서 완전히 인수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2. 스폰서[편집]


파일:PLAYGROUND_logo_186x186.pn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플레이그라운드 네트워크모기업kt Rolster네이밍

3. 역대 엠블럼[편집]


파일:cwlogosmall.png
파일:PLAYGROUND_logo_186x186.pn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width=33%>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
CrazyWin
(2020.08 ~ 2022.07)
PGxKT
(2022.08 ~ 2023.03)
KT Rolster
(2023.03~)

4.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이름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곽준혁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2020년 8월
정성민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2020년 8월2021년 12월 6일파일:feccsaddlerlogosmall.png SADDLER
최준호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2020년 8월2022년 8월울산 현대
김관형파일:T1 로고.svg T12021년 2월 17일
박찬화2022년 5월
이호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2020년 8월2022년 7월1st
김정민파일:feccsaddlerlogosmall.png SADDLER2022년 8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2:04:53에 나무위키 kt 롤스터/FC 온라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IFAe 콘티넨탈컵 주최 측의 PGxKT 명칭 사용 불허에 따른 임시 팀명[2] 이호 감독의 선수 재도전으로 인한 공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