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c 모닝와이드

덤프버전 :






파일:7tcMl9n.jpg
[ 펼치기 · 접기 ]
kbc TV
8 뉴스모닝와이드뉴스와이드파일:민영방송netnews.png
평일, 일요일 20:30
토요일 20:25
평일 07:20 월~수 17:50 평일 12:25
kbc MyFM
6시 뉴스
평일 18:00
kbc 지방자치TV
뉴스와이드NEWS PLUSNEWS JNEWS 4
화~목 14:00 수요일 08:00 수요일 11:00 토요일 16:00
NEWS ON
토요일 20:00


파일:7tcMl9n.jpg
파일:Screenshot_2022-11-10-11-18-33.jpg
방송사·채널파일:kbc 로고.svg
기획·제작파일:7tcMl9n.jpg
방송 품질화질1080i
음향2채널 돌비 디지털
진행 최창은
링크파일:7tcMl9n.jp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연혁
3. 진행자
4. 코너
4.1. 오늘의 주요뉴스
4.2. 폐지된 코너
4.2.1. 날씨와 생활
4.2.2. 탐사리포트 News in
4.2.3. 동서부 네트워크
4.2.4. 월드 리포트
4.2.5. 카드뉴스
4.2.6. 전국 민방 네트워크
4.2.7. 굿모닝 스포츠
4.2.8. 이슈 in 뉴스
4.2.9. 조간 브리핑
4.2.10. 피플 인사이드
4.2.11. 경제 트렌드
5. 타이틀
6. 뉴스 스튜디오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bc아침 종합뉴스 프로그램. 평일 아침 7시 20분에 방송되며 20분 진행한다. 명절 연휴에도 방송된다. 뉴스 테마색은 주황색.


2. 연혁[편집]


연도시작 일자방송 요일방송 시간편성 제목비고
1995년5월 15일월~토07:25~07:50kbc 뉴스지금프로그램 신설(종합뉴스)
2004년일자 미상07:05~07:30(평일)
07:20~07:40(토)
시간대 이동
2012년11월 12일07:15~07:30(평일)
07:20~07:40(토)
평일 시간 단축
2014년3월 31일07:30~08:20(모닝와이드 - 평일)
07:20~07:40(kbc 뉴스 - 토)
kbc 모닝와이드(평일)
kbc 뉴스(토)
현재 타이틀 변경 및 첫 방송
2016년10월 3일07:10~07:30(평일)
07:20~07:40(토)
kbc 모닝와이드아침 뉴스 통합
2017년1월 2일07:30~08:25(모닝 730 - 평일)
07:20~07:40(모닝와이드 - 토)
kbc 모닝 730(평일)
kbc 모닝와이드(토)
평일 방송분의 타이틀 변경
2월 6일07:30~08:25(모닝 730 - 평일)
06:55~07:10(모닝와이드 - 토)
토요일 시간 단축
2018년6월 11일07:40~08:35(모닝 730 - 평일)
06:55~07:10(모닝와이드 - 토)
평일 시간대 이동
12월 31일평일07:40~08:35kbc 모닝 730편성 축소
2019년5월 20일07:35~08:30시간대 이동
2020년1월 1일07:15~07:35kbc 모닝와이드현재 타이틀 환원
2021년10월 4일07:20~07:40시간대 이동


3. 진행자[편집]


앵커
파일:kbc 모닝와이드 현 앵커(2023.06.19.~).jpg
최창은 (아나운서)

4. 코너[편집]



4.1. 오늘의 주요뉴스[편집]


오늘의 주요뉴스를 보여주는 코너. kbc 뉴스지금 시절인 2011년 9월부터 편성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명칭은 주요뉴스였고, 자막만을 표시하는 형식이었으며, 뉴스 시작 직후에만 나오는 형식이었으나, 2014년 3월 31일부터 kbc 모닝와이드로 개편되면서 뉴스 시작 직후와 날씨 직후에 총 2번 나오는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뉴스 시작 직후에는 헤드라인이라는 명칭으로 자료화면까지 보여주는 형식으로, 날씨 직후에는 이 시각 주요뉴스라는 명칭으로 자막만을 표시하는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10월 3일부터 평일 방송분의 분량이 20분으로 단축되면서 뉴스 시작 직후에만 나오는 형식으로 환원되었다가 2017년 1월 2일부터 kbc 모닝 730으로 개편되면서 뉴스 시작 직후와 날씨 직후에 총 2번 나오는 형식으로 환원되었으며, 2020년 1월 1일부터 kbc 모닝와이드로 환원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뉴스 시작 직후에만 나오는 형식으로 환원되었고, 자막만을 표시하는 형식으로 환원되었다.


4.2. 폐지된 코너[편집]




4.2.1. 날씨와 생활[편집]


날씨와 생활
파일:kbc 광주방송 이원영 기상캐스터.jpg
이원영[1] (기상캐스터)


4.2.2. 탐사리포트 News in[편집]


kbc 8 뉴스의 코너를 재방송.


4.2.3. 동서부 네트워크[편집]


지역별 소식을 방송본부[2]를 통해 해당 지역 소식을 전해주는 코너.


4.2.4. 월드 리포트[편집]


국제뉴스 코너.


4.2.5. 카드뉴스[편집]


디지털 스튜디오를 연결해 카드 형식의 디자인으로 뉴스를 전해주는 코너. 광주MBC 뉴스투데이에도 비슷한 코너가 있다.


4.2.6. 전국 민방 네트워크[편집]


지역 민방을 연결해 다른 지역의 뉴스를 전해주는 코너.


4.2.7. 굿모닝 스포츠[편집]


스포츠뉴스 코너.


4.2.8. 이슈 in 뉴스[편집]




4.2.9. 조간 브리핑[편집]


신문을 읽어주는 코너.


4.2.10. 피플 인사이드[편집]


광주/전남권의 정치인이나 화제의 인물이 나와서 인터뷰하는 코너다. 2014년 3월 31일부터 kbc 모닝와이드로 개편되면서 신설되었으며, 당시 명칭은 굿모닝 초대석이었으나, 2016년 9월 30일에 폐지되었다가 2017년 1월 2일부터 kbc 모닝 730으로 개편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재신설되었으며, 당시 첫 인터뷰한 사람은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국민의당 박지원 의원도 인터뷰한 적이 있다.


4.2.11. 경제 트렌드[편집]




5. 타이틀[편집]



2011년 8월 1일 ~ 2012년 3월 31일 kbc 뉴스지금 오프닝.

당시 평일 앵커는 kbc 뉴스지금 시절 앵커였던 정재영 기자와 윤보리 現 MBC경남 → YTN 아나운서.

2014년 3월 31일부터 봄 개편으로 타이틀이 변경되었다. 이 중 평일 방송분은 kbc 모닝와이드로, 토요일 방송분은 kbc 뉴스로 변경되었으며, 이 중 평일 방송분의 경우 오프닝 영상은 2012년 9월 24일부터 2014년 7월 19일까지 사용한 모닝와이드 1, 2부의 오프닝 영상을 사용했으며, 오프닝 음악 역시 2001년부터 2014년 7월 19일까지 사용한 모닝와이드의 오프닝 음악을 사용했다. 반면, 토요일 방송분의 경우 오프닝 영상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3월 29일까지 사용한 kbc 뉴스지금의 오프닝 영상을 사용했으며, 오프닝 음악 역시 2013년 11월부터 2014년 3월 29일까지 사용한 kbc 뉴스지금의 오프닝 음악을 사용했다.

진행자는 정지용 / 한수정 앵커로 교체되고, 2016년 3월 7일부터 kbc 8 뉴스와 함께 뉴스 타이틀 그래픽이 변경되었다. 오프닝 시그널은 kbc 8 뉴스와 공용.이 때부터 kbc 뉴스가 SBS의 프리즘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헤드라인 시그널은 바뀌지 않았다.

2016년 10월 3일부터 평일 방송분의 분량이 20분으로 단축되고, 토요일 방송분이 평일 방송분과 같은 타이틀로 변경되면서 오프닝의 음악도 바뀌었다. 이 중 평일 방송분의 경우 kbc 12 뉴스 엔딩 음악의 변주곡이었고, 토요일 방송분의 경우 2016년 9월 30일까지 사용한 평일 방송분의 오프닝 음악을 사용했으나, 2016년 12월 3일부터 평일 방송분과 같은 음악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2016년 11월 30일, 12월 13일, 12월 19일, 12월 23일, 12월 29일에는 2016년 9월 30일까지 사용한 평일 방송분의 오프닝 음악을 썼다. 왜 그런지는 방송사 직원들만 알 듯.


2017년 1월 2일 ~ 2019년 7월 5일 kbc 모닝 730 오프닝과 엔딩. 평일 방송분이 kbc 모닝 730으로 개편되면서 구성은 기존 kbc 모닝와이드와 구성이 별반 차이가 없다. 오프닝도 디자인만 깔끔하게 갈아 엎어졌을 뿐이다.

2019년 7월 8일 ~ 2019년 12월 31일까지 광천동 신사옥 이전으로 오프닝 영상 마지막 부분에 뉴스 스튜디오 화면으로 전환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2020년 1월 1일부터 kbc 모닝와이드로 환원되면서 오프닝 영상은 2016년 3월 7일부터 2018년 12월 29일까지 사용한 영상으로 환원되었고, 오프닝 음악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6. 뉴스 스튜디오[편집]


파일:kbc 모닝와이드 스튜디오.jpg
서동 사옥 시절 2014년 3월 31일 kbc 모닝와이드로 개편된 당시부터 사용한 뉴스 스튜디오. 과거 kbc 생방송 투데이의 스튜디오와 거의 유사하다. 토요일 방송분은 2016년 10월 1일까지 여전히 메인 스튜디오를 사용하다가 2016년 10월 8일부터 이 뉴스 스튜디오를 사용했다.
파일:Screenshot_2017-01-02-09-20-27.png
2017년 1월 2일 kbc 모닝 730으로 개편된 당시부터 리모델링 후 마지막으로 사용한 뉴스 스튜디오. 2014년 3월 31일 개편 당시보다 더 깔끔해졌다. 토요일 방송분도 이 뉴스 스튜디오를 사용했다.
파일:kbc 메인 스튜디오.jpg
파일:kbc 메인 스튜디오_2022-04-11.jpg
2019년 7월 8일부터 광천동 신사옥 이전으로 kbc 8 뉴스와 같은 메인 스튜디오를 사용하며, 2022년 4월 11일부터 kbc 뉴스와이드 개편에 따라 뉴스 스튜디오의 반원형 데스크가 삼각형모양 데스크로 바뀌었다.


7. 여담[편집]


파일:Screenshot_2017-01-02-09-20-24.png
kbc 모닝 730 시절 오프닝 마지막 부분을 순간포착으로 캡쳐한 사진인데 잘보면 오프닝 마지막 부분에서 타이틀의 730이 715로 잠깐 바뀌었다가 다시 730으로 바뀌는데 사실은 kbc가 kbc 모닝 730의 오프닝을 제작할 때 실수로 잘못 표기한 거라고 한다. 한 프레임( 0.1초 사이)에 훅 지나가버리기 때문에 잘 멈춰서 봐야하던지 아니면 슬로우모드로 봐야한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kbc 로고.svg 평일 프로그램
이전ON AIR다음
AM 06:00~07:20AM 07:20~07:40AM 07:40~08:40
모닝와이드/1, 2부kbc 모닝와이드모닝와이드/3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8:43:43에 나무위키 kbc 모닝와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재시 김민서 아나운서가 대타로 예보를 전했었다.[2] 여수에 위치한 동부방송본부, 목포에 위치한 서부방송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