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톰 페티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톰 페티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엘비스 프레슬리롤링 스톤스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제임스 브라운리틀 리처드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역대 그래미 시상식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
Best Rock Vocal Performance
제37회
(1995년)
제38회
(1996년)
제39회
(1997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Streets of Philadelphia
톰 페티
“You Don't Know How It Feels”

“Where It's At”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톰 페티 앤 하트브레이커스
Tom Petty And The Heartbreakers
헌액 부문공연자 (Performers)
멤버톰 페티(Tom petty), Benmont Tenck, Howie Epstein, 마이크 캠벨(Mike Cambell), Ron Blair, Stan Lynch
입성 연도2002년
후보자격 연도2002년
후보선정 연도2002년

[ 펼치기 · 접기 ]
이름톰 페티
TOM PETTY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1999년 4월 28일
위치7018 Hollywood Blvd.




톰 페티
Tom Petty
파일:tompetty.jpg
본명토마스 얼 페티
Thomas Earl Petty
출생1950년 10월 20일
미국 플로리다 주 게인스빌
사망2017년 10월 2일 (향년 66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모니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음악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배우
소속머드크러치 (1970~75, 2007~17)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1976~2017)
트래블링 윌버리스 (1988~91)
악기보컬, 기타, 베이스 기타
활동1967년 ~ 2017년
링크공식 사이트
서명파일:Tom_Petty_signature.svg.png
[ 펼치기 · 접기 ]
묘지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퍼시픽 팰리세이드 자아실현 공동체 레이크 슈라인
신체176cm
학력게인스빌 고등학교 (중퇴)
배우자제인 베뇨 (1974년 ~ 1996년, 이혼)
다나 요크 (2001년 결혼)
자녀1남 2녀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미국의 가수. 블루스, 컨트리와 같은 요소가 섞인 하트랜드 록 장르의 대가이다. 록밴드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의 리더로도 활동하였다. 70, 80년대에 미국 정서에 근간을 둔 음악을 했고 전성기를 누렸다. 디스코 시대에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더불어 음악의 순수성을 지켜나갔다. 톰 페티 앤 하트브레이커스는 2002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생애[편집]


1950년 플로리다에서 태어나 1964년 비틀즈가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한 것을 보고 밴드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1976년 1집 Tom Petty and the Heartbreakers 로 데뷔하였다. 1988년에는 밥 딜런, 조지 해리슨, 로이 오비슨, 제프 린과 함께 슈퍼밴드트래블링 윌버리스(The Traveling Wilburys)를 결성해 활동하기도 하였다.

롤링스톤즈와 버즈의 사운드를 혼합한 느낌의 음악을 지향하고자 했다고 한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1부에 등장하는 톰페티의 이름의 유래이며, 포스트맨에서 브릿지 시티의 시장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7년 10월 2일 UCLA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3. 기타[편집]


Full Moon Fever에 수록된 Love Is A Long RoadGrand Theft Auto VI첫 트레일러 테마로 사용되어 톰 페티가 사망한 후에도 게임 유저들에 의해 역주행 하는 중이다. 게임의 배경인 레이오나이다가 플로리다를 모티브로 하는 만큼 플로리다 출신의 유명 아티스트인 톰 페티의 곡을 선곡한 것으로 보인다.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횟수가 무려 37,000%나 증가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02:56:26에 나무위키 톰 페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