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turn

덤프버전 :

1. 영어 단어
3. 음악
3.1. EZ2AC의 수록곡 Return
3.3. 쯔꾸르 게임 무서운 걔임의 삽입곡
4. 음반
4.1. FTISLAND의 음반 RETURN
4.2. iKON의 음반 Return
5. 쯔꾸르 게임 ReturN


1. 영어 단어[편집]


Return

돌아오다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

영화게임 등의 후속작 이름에 이 단어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유명한 예시로는 슈퍼맨 리턴즈,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 등이 있다.


2. 프로그래밍 언어의 키워드[편집]


프로그램이 함수 또는 프로시저로 구성되는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현재 함수/프로시저를 끝내고 결과값을 돌려주기 위한 키워드.

돌려주는 값이 없는 경우에는 프로시저의 중간에 임의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 탈출하기 위해 사용하며, 돌려주는 값이 있는 함수의 경우 이 키워드를 사용하여 돌려줄 값을 명시하게 된다.

예: 결과값으로 "42"를 반환하는 C언어 함수.
int get_the_answer_to_life_universe_and_everything()
{
    return 42;
}



3. 음악[편집]



3.1. EZ2AC의 수록곡 Retur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eturn(EZ2AC)#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드라마 나의 위험한 아내 OST Part.1 <Retur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eturn(노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쯔꾸르 게임 무서운 걔임의 삽입곡[편집]


구스타프무서운걔임8의 타이틀 화면에서 쓴 곡이다. 물론 무서운 걔임 시리즈가 다 그렇듯이 선더포스 VI 타이틀 화면 bgm의 리믹스이다.[1]


4. 음반[편집]



4.1. FTISLAND의 음반 RETUR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ETURN(FTISLAND)#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iKON의 음반 Retur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eturn(iKON)#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쯔꾸르 게임 Retur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ReturN#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9:42:41에 나무위키 Return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케스트라식 리믹스이다.구스타프 본인이 직접 리믹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