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LA(프로레슬링)

덤프버전 :





파일:figF5LG.jp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로스터
3.1. 권력자
3.2. 아나운서
3.3. 남성 로스터
3.4. 심판
3.5. 백스테이지 담당
4. 챔피언
4.1. PLA 인터내셔널 챔피언십
4.1.1. 개요
4.1.2. 벨트 디자인 변천사
4.1.3. 역대 챔피언
4.2. PLA 인천 지역 챔피언십
4.2.1. 개요
4.2.2. 벨트 디자인
4.2.3. 역대 챔피언
5. 이벤트
5.1. PLA 단독 이벤트
5.2. 슬램존
5.3. HOUSE SHOW
5.4. SHOWDOWN SHOW
5.5. PLA 기타 이벤트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프로 레슬링 단체로 풀네임은 Professional Live Action이다.


2. 상세[편집]


김두훈, 유동원 등 한국의 젊은 프로레슬러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졌던 단체. 도장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해 있었다.

2013년 1차 이벤트는 6월 23일 월미도 문화의거리 분수대에서 PLA FIRST ATTACK이란 제명 하에 치러졌다. 이 날 메인이벤트에서 천규덕 옹이 벨트 수여를 한 PLA 인터내셔널 벨트 챔피언십 12인 럼블 경기 등 새로운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뤄진 이벤트였다. 다만 1년 반 여만에 재참전한 유동원 선수가 다시 장기 부상을 당하는 불상사가 있었다.

이후 2차, 3차 이벤트가 같은 장소에서 열렸으며 4차 이벤트 에서는 인천광역시 서구문화축제 초청을 받아 경인 아라뱃길에서 열리게 되었다. 2014년 부터는 연고지인 인천에서 매월 1회씩 이벤트가 열린다. 2014년 10월 흥행 이후 경기력 향상을 이유로 이벤트 개최가 중단되었으나, 2015년 5월 다시 이벤트를 시작하였다. 이후 경인 아라뱃길과 검암역 광장, 자유공원에서 이벤트를 개최하였으며 2017년 현재 새로 꾸민 체육관에서 자체 하우스쇼를 열고 있다.

한 때 PWF와 더불어 국내에서 이벤트를 열고 있는 유이한 프로레슬링 단체였으나 2018년 조경호와 시호, 구스타프, 케이시, 레오 등이 탈단을 하면서 PLA에 남아있는 레슬러는 친 김두훈파 진개성, 뽀리맨과 김두훈밖에 없게 되었고 김두훈은 문재인 정부의 문제점때문에 연말에 일본으로 가게 된다는 글을 남겼다. 민주당 정권이 계속되는 한 한국에는 오지 않겠다고 하였다. 이로서 최소 4년간 PLA는 사실상 잠정폐업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나머지 로스터는 PWS로 독립하였다.


3. 로스터[편집]



3.1. 권력자[편집]


  • 한다경 - PLA 現 대표이다.
  • 김두훈 - K.D.H. 선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PLA의 실질적인 단체장이다.


3.2. 아나운서[편집]


  • 이주은 - PLA의 링 아나운서.


3.3. 남성 로스터[편집]


  • K.D.H - 초대 & 現 PLA 인터내셔널 챔피언이다.
  • 진개성
  • 불사조
  • 호모 사피엔스 - 동성애자 & 변태 기믹의 레슬러이다. (NED)
  • 뽀리맨 - 서양에서 흔히 '죄수복'으로 불리는 흰색과 검정색 줄무늬 옷을 입고 경기를 한다.
  • 오! 데스티니
  • 프로페서 데렉 (CAN)
  • 락츈


3.4. 심판[편집]


  • 김콘


3.5. 백스테이지 담당[편집]


  • 고초록 - 기획•영상 등을 담당하는 스탭이지만 가끔 선수로도 활약한다. 초대 PLA 인천지역 챔피언.


4. 챔피언[편집]



4.1. PLA 인터내셔널 챔피언십[편집]


파일:738932_1391993977.png
현재 챔피언K.D.H
챔피언 등극2017. 06. 24.
하우스쇼
이전 챔피언공석
소속 단체PLA
Professional Live Action
벨트 창설일2013년 06월 23일


4.1.1. 개요[편집]


2013년 창설된 PLA의 최고 권위 챔피언십이다.


4.1.2. 벨트 디자인 변천사[편집]


파일:PLAIntercham_o.jpg
2013년부터 사용했던 PLA의 첫 인터내셔널 챔피언 벨트이다.

파일:738932_1391993977.png
201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번째 인터내셔널 챔피언 벨트이다.


4.1.3. 역대 챔피언[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이벤트참고
1K.D.H1회2013년 06월 23일 (413일)First Attack[1]
-공석-2014년 08월 09일슬램존[2]
2구스타프1회2014년 10월 18일 (680일)슬램존[3]
-공석-2016년 8월 27일슬램존[4]
3K.D.H2회2017년 06월 24일하우스쇼[5]


4.2. PLA 인천 지역 챔피언십[편집]


파일:7389554444653977.jpg
현재 챔피언뽀리맨
챔피언 등극2018. 3. 10.
쇼다운쇼
이전 챔피언공석
소속 단체PLA
Professional Live Action
벨트 창설일2014년 10월 18일


4.2.1. 개요[편집]


PLA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인천지역을 대표하는 챔피언쉽이다. 시호의 탈단과 함께 김두훈이 없애려고 했던 챔피언쉽이기도 하다.


4.2.2. 벨트 디자인[편집]


파일:PLAIncheon.jpg
벨트를 안고있는 사람은 PLA의 창립자 김두훈.


4.2.3. 역대 챔피언[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기간)이벤트참고
1고초록1회2014년 10월 18일 (0일)슬램존[6]
2불사조1회2014년 10월 18일 (610일)슬램존[7]
3진개성1회2016년 06월 18일 (183일)슬램존
4시호1회2016년 12월 17일 (36일)하우스쇼[8][9]
5진개성2회2017년 01월 21일 (91일)하우스쇼
6원 맨 크루1회2017년 04월 22일 (29일)하우스쇼[10]
7조경호1회2017년 05월 20일 (190일)하우스쇼
8시호2회2017년 11월 25일 (105일)하우스쇼
-공석-2018년 3월 9일시호의 PLA 탈퇴로 인한 반납
9뽀리맨1회2018년 3월 10일쇼다운쇼공석인 벨트를 놓고 불사조와의 대결에서 승리


5. 이벤트[편집]



5.1. PLA 단독 이벤트[편집]


#이벤트명날짜장소참고
1For the Mania2012년 06월 24일부천 PLA GYM
2One More Time2012년 09월 02일부천 PLA GYM
3Triple Threat2012년 10월 28일부천 PLA GYM
4First Attack2013년 06월 23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58월 32일2013년 09월 01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6Third Strike2013년 10월 06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7Third Strike Re-bout2013년 10월 13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인천 서구문화축제로 부터 초청받음
8Never Mind2014년 01월 25일인천 미추홀구청 문화체육센터PLA의 첫 실내 이벤트


5.2. 슬램존[편집]


2014년 3월부터 런칭한 PLA의 이벤트.

#회차날짜장소참고
11회2014년 03월 01일인천 미추홀구청 문화체육센터
22회2014년 03월 29일인천 미추홀구청 문화체육센터
33회2014년 05월 31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44회2014년 07월 05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55회2014년 08월 09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66회2014년 10월 18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77회2015년 05월 24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
88회2015년 06월 28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
99회2015년 08월 09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
1010회2015년 09월 06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
1111회2015년 10월 04일인천 경인아라뱃길 시천가람터
1212회2016년 04월 30일인천 공항철도 검암역 광장
1313회2016년 06월 18일인천 공항철도 검암역 광장
1414회2016년 08월 27일인천 자유공원 광장
1515회2016년 09월 24일인천 월미도 문화의거리


5.3. HOUSE SHOW[편집]


PLA 체육관에서의 이벤트.

#회차날짜장소참고
11회2016년 10월 29일인천 계양구 PLA 체육관
22회2016년 12월 17일인천 계양구 PLA 체육관
33회2017년 01월 21일인천 계양구 PLA 체육관
44회2017년 03월 18일인천 계양구 PLA 체육관
55회2017년 04월 22일인천 계양구 PLA 新체육관
66회2017년 05월 20일인천 계양구 PLA 新체육관
77회2017년 06월 24일인천 계양구 PLA 新체육관


5.4. SHOWDOWN SHOW[편집]


PLA 소극장에서 열리는 이벤트로 화려한 조명으로 새단장 하였다.

11회2017년 08월 12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
22회2017년 09월 16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
33회2017년 10월 28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
44회2017년 11월 25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불럼매치 개최
55회2018년 01월 06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
66회2018년 03월 10일인천 계양구 PLA 소극장


5.5. PLA 기타 이벤트[편집]


#이벤트명날짜장소참고
12010년 07월 07일서울 COEX
22010년 09월 18일의정부 KABO 챔피언스필드와룡 저팔계의 첫 등장
32010년 10월 31일의정부 로데오거리
42011년 06월 15일일산 KINTEX
52011년 07월 17일서울 COEX호모 사피엔스의 데뷔전
62011년 09월 24일의정부 로데오거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8:22:32에 나무위키 PLA(프로레슬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초대 챔피언십 12인 럼블 경기에서 승리한 K.D.H에게 천규덕이 벨트를 하사했다.[2] 2014년 08월 09일 슬램존에서 열린 조경호와 구스타프와 K.D.H간의 3자간 경기에서 더블 핀폴 카운트로 경기가 종료되자 한다경 GM이 벨트를 공석으로 처리했다.[3] 공석이 된 챔피언십을 놓고 열린 럼블 경기에서 구스타프가 前 챔피언 K.D.H를 탈락 시키며 벨트를 거머쥐었다.[4] 판정의 논란이 된 2016년 6월 슬램존의 결과로 인해 한다경 대표가 타이틀 공석 선언을 하였고 젠트라가 대리발표함.[5] 한다경 대표가 논란이 된 구스타프와의 경기를 오랜시간 검토한 결과 김두훈을 챔피언으로 임명하였다. [6] PLA 스태프로서 성실하게 근무하였고 인천 거주자 이기 때문에 GM의 특별 지시로 대리인인 젠트라를 통해 임명을 하였다.[7] 고초록의 타이틀 수여를 반발해 수여식 즉석에서 도전하여 열린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하며 2대 챔피언에 등극하였다.[8] 김두훈과의 불화로 탈단 후 타이틀 보유 기록도 삭제 되었다가 소리소문없이 기록이 부활되었다.[9] 하지만 7월 15일에 올린 글에 달린 7월 27일자 댓글에서 시호의 타이틀 박탈을 재확인 시켜줬으며 심지어 PLA의 로스터였다는 사실조차도 부정하고 있다 링크[10] PLA 최초의 외국인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