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웃캐스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의 아웃캐스트에 대한 내용은 아웃캐스트(동음이의어) 문서
아웃캐스트(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아웃캐스트(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outkast logo.png

[ 디스코그래피 ]
1집2집3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vCcdQ-R6L._SL1500_.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fb1342044850ff4bc9e461a3d2d880a9.953x953x1.jpg
파일:external/static.vibe.com/what-millennials-should-know-about-outkast-aquemini.png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
(1994)
ATLiens
(1996)
Aquemini
(1998)
4집
5
6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1LC0q9ZSL._SL1113_.jpg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Speakerboxxx-The-Love-Below.jpg
파일:external/s3.amazonaws.com/1371761179_outkast_idlewild_cdcov.jpg
Stankonia
(2000)
Idlewild
(2006)


아웃캐스트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카니예 웨스트더 후U2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46위47위48위49위50위
Beck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폴리스
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2000년대 아티스트
6위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15년 가장 위대한 듀오 20팀을 선정한 순위다.
1위2위3위4위5위
에벌리 브라더스아이크 & 티나 터너사이먼 앤 가펑클루빈 브라더스에릭 B & 라킴
6위7위8위9위10위
화이트 스트라입스아웃캐스트리차드 & 린다 톰슨리 헤이즐우드 & 낸시 시나트라카펜터즈
11위12위13위14위15위
오티스 레딩 & 칼라 토마스다프트 펑크수어사이드샘 & 데이브스틸리 댄
16위17위18위19위20위
라이처스 브라더스로버트 프립 & 브라이언 이노소니 & 셰어애쉬포드 & 심슨더 블랙 키스
출처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2000년~2019년)|{{{#b69858 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2000~2019)}}}]]'''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올해의 듀오/그룹상
2003년2004년2005년
3 Doors DownOutKastGreen Day
올해의 200 앨범 그룹상
2003년2004년2005년
-[1]OutKastGreen Day
올해의 Hot 100 듀오/그룹상
2003년2004년2005년
3 Doors DownOutKastGreen Day
[1] 2004년 신설.

파일:outkast logo.png아웃캐스트
Outkast
||
파일:external/consequenceofsound.files.wordpress.com/outkast.jpg
▲왼쪽이 빅 보이, 오른쪽이 안드레 3000.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결성1992년
활동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멤버안드레 3000
빅 보이
장르힙합, 서던 힙합, 프로그레시브 랩
레이블Purple Ribbon Records
LaFace Records
Arista Records
RCA Records
Epic Records
데뷔1994년 1집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ac8482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
활동 시기1992년 ~ 2006년, 2014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마이스페이스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VEVO 로고.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재결합 및 두번째 해체
3. 음악 스타일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4.2.2. 빌보드 핫 100 2 ~ 10위
4.2.3. 빌보드 핫 100 11 ~ 40위
4.2.4.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assets.noisey.com/000ff8a23b4c2a6a0c5665babe4e3f17.jpg
1992년에 데뷔한 이스트 포인트, 애틀랜타, 조지아 기반의 남부 힙합 듀오로 안드레 3000과 빅 보이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엔 Two Shades Deep란 이름으로 활동했지만 추후에 OutKast로 그룹명을 바꿨다.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 전설적인 그룹. 90년대에 펑크(Funk), 소울, 싸이키델리아, 테크노, 가스펠재즈 등의 다양한 장르를 힙합과 접목시켜 남부 힙합을 대중화시킨 그룹이다. 전성기였던 2000년대 초반, 에미넴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힙합 아티스트였으며, 힙합이라는 장르를 확장시킨 서던 힙합의 대부이다. 동시에 전체 장르의 평론가들에게 가장 평가가 높은 힙합 아티스트 중 하나이다.[1]


2. 역사[편집]


1992년 16살일 때 둘은 Tri-Cities 고등학교에서 랩 배틀을 하다가 만나서 그룹을 결성했다고 한다. 그렇게 1994년에 발표하게 된 첫 앨범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으로 성공적으로 데뷔하고 빌보드 200 20위까지 올라간다.

1집의 성공 이후, 레코드 회사는 아웃캐스트에게 음악적 자유를 주었다. 그룹은 이로 인해 발매된 ATLiens, Aquemini 앨범을 통해 획기적 발전을 거두게 된다. 힙합의 동서 갈등이 수그러들고 신선함과 새로운 스타를 원하던 대중들에게 남부 출신이라는 생소한 배경과 스타일이 제대로 먹힌 것. Stankonia는 그룹의 음악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왔고, 400만 장 이상의 앨범 세일즈를 기록한다.



Aquemini 수록 Da Art of Storytellin' 뮤직 비디오

ATLiens, Aquemini와 Stankonia 세 앨범 모두 명반으로 칭송되며, Stankonia에 수록된 B.O.B.는 피치포크가 선정한 2000년대 최고의 노래 500개 중 1위를 차지했다.# 사실상 대중들에게 남부 힙합을 본격적으로 각인시킨 존재.



Stankonia 수록 B.O.B. 뮤직 비디오

2003년에는 Hey Ya!The Way You Move를 포함한 개인 프로젝트 앨범인 Speakerboxxx/The Love Below를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2004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힙합 장르 두번째로 <올해의 앨범상>[2]을 수상한다. Hey Ya!빌보드 핫 100에서 9주 연속 1위를 하는 등 당대 최고의 인기를 얻었고, 2000년대 최고의 싱글로 꼽히기도 한다. 이후 그들은 본인들이 출연하는 2006년 뮤지컬 영화 'Idlewild'의 사운드 트랙을 만든다.



안드레 3000의 The Love Below에 수록된 Hey Ya! 뮤직 비디오

그리고 그들은 개인활동을 하기로 하면서 그룹은 해체되는가 했다...

안드레 3000은 2012년 고릴라즈데이먼 알반, LCD 사운드시스템의 제임스 머피와 함께 컨버스 Three Artists. One Song 프로젝트 DoYaThing에 참여하였다.


2.1. 재결합 및 두번째 해체[편집]


그러나 2014년 1월, 그들이 재결합 발표를 했다. 20주년 기념으로 재결합을 하고 코첼라 2014#를 시작으로 세계 40여 나라 페스티벌에 투어를 한다고 한다. 루머에도 불구하고, 빅 보이는 듀오가 새 앨범을 제작하는 중이 아님을 밝혔다.

결국 일회성으로 그쳐, 같은해 10월 31일 뉴올리언스 공연을 끝으로 다시 활동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 앙드레 3000은 여기다 피처링은 활발하나 그룹이나 솔로 활동엔 별로 열의를 보이지 않아서 새 앨범은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3. 음악 스타일[편집]


아웃캐스트의 음악 스타일과 가사의 주제는 그룹의 커리어를 통틀어 꾸준히 변화하였다. 1집 앨범에서는 남부 스타일의 기타 릭, 소울 멜로디, 부드러운 1970년대 Funk 그루브 등 아날로그 요소를 차용했고, 2, 3집에서는 우주의 영향을 받은 에코와 리버브 효과를 사용하였다. 4집 앨범에서는 레이브 문화를 수용한 첫 힙합 그룹이 되었다.

두 멤버 모두 기본적으로 소위 텅트위스팅이라 말하는 고난도로 연속되는 마찰음을 활용한 속사포 랩에 뛰어나다. 아웃캐스트 멤버들은 둘 다 뛰어난 랩퍼들이지만, 안드레 3000의 음악적 역량이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 빅 보이의 랩은 갱스터, 핌프(...)적인 시선이 담긴 강렬한 속사포 일직선인 실력 좀 되는 랩퍼들의 상위 호환인 반면, 안드레 3000은 같은 앨범 안에서도 곡마다 스타일이 변화 무쌍한데다가 남다른 깊이를 가진 가사로 다른 랩퍼들과는 차원 자체를 달리 한다는 평. 근데 안드레 3000은 가면 갈 수록 랩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어든다는 게... 워낙 안드레의 음악 스타일이 광범위해서 그렇지 그렇다고 빅 보이가 음악 스타일이 한정되었다는 뜻은 아니다. 실제로 메타크리틱 점수 90점을 기록한 2010년 빅 보이의 솔로 앨범 Sir Lucious Left Foot: The Son of Chico Dusty는 서던 힙합을 기반으로 , 일렉트로니카, 덥스텝을 넘나들며 다양한 사운드를 보여주는 등 빅 보이 역시 래퍼들 중에서는 상당히 많은 장르를 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빅 보이는 거리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고, 안드레는 프린스와 같은 가수에게서 영감을 받아 힙합에서 중요한 문화인 거리를 대표한다기 보단 신비주의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정통 힙합 팬들 사이에선 호불호가 갈린다. 한마디로 빅보이는 나스, 우탱클랜 같은 유형의 정통 힙합에 통달한 실력자이고, 안드레 3000은 칸예 웨스트, 퍼렐 윌리엄스 같은 유형의 여러 영역을 넘어다니는 다채로운 예술가라는 느낌이 강하다.사실 안드레 3000이 이들보다 선배 그리고 그런 둘이 아웃캐스트로 낸 음악들은 클럽튠, 트랩, 드릴 등 2000년대 후반 이후 힙합씬의 주류를 이루는 사운드들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힙합 팬들에게 빅 보이가 호불호가 갈리지 않는 대신 전체 장르의 평론가들에게는 안드레 3000이 엄청난 고평가를 받는 것이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앨범[편집]



파일:outkast logo.png

[ 디스코그래피 ]
1집2집3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vCcdQ-R6L._SL1500_.jpg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fb1342044850ff4bc9e461a3d2d880a9.953x953x1.jpg
파일:external/static.vibe.com/what-millennials-should-know-about-outkast-aquemini.png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
(1994)
ATLiens
(1996)
Aquemini
(1998)
4집
5
6집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1LC0q9ZSL._SL1113_.jpg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Speakerboxxx-The-Love-Below.jpg
파일:external/s3.amazonaws.com/1371761179_outkast_idlewild_cdcov.jpg
Stankonia
(2000)
Idlewild
(2006)




4.2. 싱글[편집]



4.2.1. 빌보드 핫 100 1위[편집]




4.2.2. 빌보드 핫 100 2 ~ 10위[편집]




4.2.3. 빌보드 핫 100 11 ~ 40위[편집]


  • Player's Ball (1993) - 37위
  • Elevators (Me & You) (1996) - 12위
  • ATLiens (1996) - 35위
  • So Fresh, So Clean (2001) - 30위
  • The Whole World (2001) - 19위
  • I Can't Wait (2004) - 40위[3]


4.2.4. 빌보드 핫 100 41 ~ 100위[편집]


  • Southernplayalisticadillacmuzik (1994) - 74위
  • Jazzy Belle (1996) - 52위
  • Black Ice (Sky High) (1998) - 50위[4]
  • Watch for the Hook (1998) - 73위[5]
  • Rosa Parks (1999) - 55위
  • Mighty 'O' (2006) - 77위
  • Morris Brown (2006) - 95위
  • Idlewild Blue (Don'tchu Worry 'Bout Me) (2006) - 100위
  • International Players Anthem (I Choose You) (2006) - 70위[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7:39:11에 나무위키 아웃캐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장 나스나 에미넴 등의 경우 전체 장르의 평론가들에게 받는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다. 물론 이들도 평가가 높기는 하지만, 힙합 씬에서 그들이 가진 위상에 비하면 평론가들의 평가가 저평가인 것이 사실. 켄드릭 라마, 칸예 웨스트 등 전체 장르의 평론가들에게 훨씬 높은 평가를 받는 아티스트는 대부분 정통 힙합에 다른 장르를 차용하여 장르 크로스오버를 시도한 아티스트들인데, 이들이 있기 이전 아웃캐스트가 장르 크로스오버를 먼저 시작하였다.[2] 힙합 장르 최초의 올해의 앨범상 수상은 1999년 로린 힐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아이러니하게도 두 앨범 전부 R&B와 힙합의 크로스오버 앨범인 데다 랩보다 보컬의 비중이 더 높은 앨범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3] Sleepy Brown의 곡에 피쳐링.[4] Goodie Mob의 곡에 피쳐링.[5] Cool Breeze의 곡을 Goodie Mob과 함께 피쳐링.[6] UGK의 곡에 피쳐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