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교육지표

덤프버전 : (♥ 0)




1. 개요
2. 통계
2.1. 교육 이수: 25-64세 인구
2.2. 교육 기회의 평등과 교육의 세대간 이동
2.3. 교육수준별 근로자의 상대적 임금 지수
2.4. GDP 대비 공교육비
2.5. 대학 졸업생의 부채



1. 개요[편집]


OECD 국가와 일부 비회원국의 교육 통계를 설명한다.

먼저 일러두자면 이 항목에 소개된 통계는 Education at a Glance Indicators OECD의 극히 일부로써, 원문을 직접 살펴보면 알겠지만 훨씬 다양하고 많은 통계가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원문을 참고할 것.

일부 단어와 통계치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사실관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편집하였음을 알린다.

또한 하단의 통계들은 2014년 쯤에서 갱신이 멈춰있으므로, 2020년대의 현대와는 상황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미리 알린다.

한국어로 번역된 OECD 교육지표 2014


2. 통계[편집]



2.1. 교육 이수: 25-64세 인구 [편집]


국가고등학교 미만고등학교대학교 이상
호주243541
오스트리아176320
벨기에283736
캐나다113753
칠레434018
체코77319
덴마크224335
에스토니아115337
핀란드164539
프랑스284131
독일135828
그리스324226
헝가리186023
아이슬란드303535
아일랜드253440
이스라엘163846
이탈리아434215
일본[1]05346
대한민국184141
룩셈부르크224039
멕시코621918
네덜란드273935
뉴질랜드263440
노르웨이184439
폴란드106625
포르투갈631919
슬로바키아87318
슬로베니아155926
스페인462333
스웨덴135235
스위스145037
튀르키예671915
영국223741
미국114642
OECD 평균244433

2012년 기준 25-64세 인구의 최종 학력을 뜻한다. 예를 들어 호주의 25-64세 인구의 학력은 고등학교 미만 24%, 고졸 35%, 대학교 이상 41%다. 일부 국가의 경우 합계치가 100±1이다.

이 통계를 읽을 때 주의할 점은 첫째 연령대에 따라서 학력이 매우 다른 국가가 여럿 있다. 둘째. 교육기관을 분류하는 체계가 국내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부 통계치의 경우 언론 등에서 인용되는 것과 차이가 날 수 있다.

2.2. 교육 기회의 평등과 교육의 세대간 이동[편집]


파일:attachment/OECD/교육지표/49.png

가로축은 세대간 교육의 평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부모들이 고등교육을 받은 20~34세의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과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부모들의 20~34세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의 비율이다. 프랑스는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의 자식들이 그러지 못한 부모의 자식들보다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6배 가량 높고 미국은 6.8, 이탈리아는 9.5배이다. 반면 캐나다나 한국, 네덜란드와 북유럽 국가들은 이 수치가 3배를 넘지 않는다.

세로축이 교육의 세대간 이동성에 대한 수치인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일본의 세대간 이동성은 낮은 수준인데, 이는 미국과 일본에서 고등교육의 일반화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이탈리아는 부모 세대의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에 세대간 이동성은 높게 나타난다.

참고로 이 단락은 출처가 다르다. OECD 교육지표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으나 훨씬 알기쉽고 명료하게 정리된 자료가 있어 갈음한다. 출처

2.3. 교육수준별 근로자의 상대적 임금 지수[편집]



2012년 기준. 근로소득자만을 대상으로 하며 고졸의 임금을 100으로 했을시 상대 임금이다. 세금을 제외한 순임금값이며 중등 후 비고등교육(Post-secondary non-tertiary education)이란 분류가 따로 있으나 한국은 여기에 해당하는 학제 자체가 없으므로 나무위키의 특성상 생략하였다.


2.4. GDP 대비 공교육비[편집]


파일:attachment/OECD/교육지표/공교육비.jpg

【교육단계별 GDP 대비 공교육비 구성(2011)】
구 분전체초·중등교육고등교육
정부부담민간부담정부부담민간부담정부부담민간부담
한 국7.64.92.84.13.40.82.60.71.9
OECD 평균6.15.30.93.93.60.31.61.10.5

∙GDP 대비 공교육비 산출식 = (정부부담 금액+민간부담 금액)/GDP*100

∙정부부담 = {(정부에서 교육기관에 직접 지출한 총액+학생/가계 지원금+민간이전금)/GDP}*100

∙민간부담 = {(민간부담금(등록금 등)+기타 민간 교육부담금(학교법인 등)-정부의 민간이전금)/GDP}*100


통념과는 달리 교육에 대한 공적투자는 OECD 평균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다. 언론에서 흔히 언급되는 "GDP 대비 정부부담/민간부담 공교육비 상대적 비중" 에서 민간부담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훨씬 높은 건 정부부담이 적어서가 아니라 민간에서 지출하는 비용이 워낙 많아서 그렇다.


2.5. 대학 졸업생의 부채[편집]


국가졸업생의 평균부채
덴마크19,800
핀란드7,990
헝가리9,263
네덜란드13,108
노르웨이25,188
스페인18,918
스웨덴20,238
튀르키예5,152
영국18,057
미국25,400

2010~2011년 기준. 단위는 PPP 기준 USD. 액수가 비슷하더라도 대출 조건이 판이하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학 졸업생의 임금 수준을 감안해야 되는 것은 기본이다.


2.6. 청년실업[편집]


파일:OECDYUR2019-1.jpg

2019년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20:37:05에 나무위키 OECD/교육지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기중등교육단계(중학교) 미만에 해당되는 수치 자체가 없다. 일본 역시 법률상 중학교까지를 의무 교육으로 보지만 대개의 학생이 고교를 진학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고등학교 미만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 0%에 수렴해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