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뉴욕 엑셀시어

덤프버전 :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svg
뉴욕 엑셀시어
New York Excelsior
창단2017년 10월 30일
연고지미국 뉴욕주 뉴욕시
컨퍼런스대서양 컨퍼런스
디비전북부 디비전
홈 경기장Hammerstein Ballroom
모기업파일:NYXL 로고.png
오너파일:미국 국기.svg 제프 윌폰[1]
단장
매니저
감독
코치
약칭NYE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레딧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정규 시즌
(1회)
2018
스테이지
(2회, 최다)
2018 스테이지2, 2018 스테이지3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팀 컬러 및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2023 시즌 유니폼
파일:뉴욕 엑셀시어(앞) 2023 유니폼.png파일:뉴욕 엑셀시어(뒤) 2023 유니폼.png
앞면뒷면

1. 개요
2. 상세
2.1. 출범 시즌
2.2. 2019 시즌
3. 수상 기록
4. 대회 기록
5. 로고 변천
6. 홈 경기장: 해머스타인 볼룸
7. 스폰서
8. 구성원
8.1. 로스터 연혁
8.2. 스태프 연혁
8.3. 영구 결번
9. 아카데미 팀
9.2. NYXL 아카데미
11. 서포터즈 클럽
12. 기타
12.1. 출범 시즌
12.2. 2022 시즌
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뉴욕엑셀시어 2023.jpg
#EverUpward | #XLWeekend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하는 뉴욕 연고팀. 약칭은 NYE.[2]

뉴욕 메츠 COO이자 스털링. VC의 공동 설립자 겸 파트너 제프 윌폰은 오버워치 뉴욕 팀 시드를 구입했으며 팀의 투자를 담당하고 있다.

팀명인 엑셀시어 (Excelsior)는 뉴욕 주의 표어이며, 라틴어로 ‘더욱 더 높이’ (upward)를 의미한다. 로고는 뉴욕의 사거리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20시즌까지 뉴욕을 제외한 한국인 팀은 선수가 모두 갈리거나 하는 시행착오를 겪은 반면[3], 뉴욕은 원년 멤버가 많이 남아있어 전신 팀 Team LW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었다.[4] 다만 오버워치 APEX 활동 이력이 있는 Team LW[5] 출신은 2020년 기준 새별비, 핫바, 넨네다.[6] 그러나 2020 시즌 종료 이후 쪼낙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이적 및 계악 종료됨으로써 옛말이 되었다.

풀 네임은 뉴욕 엑셀시어이고 약자는 NYE지만 별칭인 NYXL로 더 많이 불린다.


2. 상세[편집]



2.1. 출범 시즌[편집]


한국시각으로 2017년 8월 21일 23시 56분,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전 경기를 포기한 LW Blue는 오버워치 리그 진출이라는 이유로 논란거리를 남겨두고 APEX를 떠나버렸다. 그리고 대략 하루 뒤, ESPN 기사에서 LW Blue는 뉴욕팀으로 갈 것이다는 소식을 전해줬다. 서울팀이 루나틱 하이 팀 구성원으로 6명을 구성한 것 처럼, 뉴욕팀은 LW Blue 팀 구성원으로 팀을 조직할 것 처럼 보인다. 다만 루나틱의 후아유 선수가 나이 문제로 서울팀에 합류하지 못하였는데, 마찬가지로 플라워 선수가 블리자드가 규정하고 있는 시간대에 참가 자격 나이를 충족하지 못해 이에 대한 의문이 제시되고 있다. 이후 후속보도에서 플라워 선수는 나이 문제 때문에 일단 계약에서 제외했다고 한다. 구단 창단시 논란이 있었지만 리그 성적자체는 최상위권에 랭크하는 강팀으로, 뉴욕에서 APEX 시즌 도중에 하차하는 한이 있더라도 선점계약으로 탐낼만한 우승후보에 올라갈수있는 잠재력을 충분히 보여주는 팀이라고 평가받았다. 그리고 마침내 10월 30일 멋진 영상과 함께 오버워치 뉴욕팀이 공식적으로 베일을 벗었다. 동시에 이적설이 나돌던 딜러 포지션의 Libero와 메인힐러 Ark 두 선수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뉴욕팀 입단을 공개했다. 상징 영웅은 루시우 로 결정이 났는데 소문으로는 Ark선수를 제외하곤 그리 마음에 들어하지는 않았다고. 한편 플라워 선수는 계약은 하였으나 나이 문제로 다음 시즌부터 출전하게 될 예정이다.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이후 치열한 공방끝에 시즌1을 파죽지세로 연승행진을 달리던 서울팀에 대해 복수를 성공시킴으로서 구단주와 팬들의 기대를 져버리지않고 잠재력을 폭발시켰고 시즌 1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를 압도적 1위로 마무리하고 마침내 스테이지 2의 타이틀 매치를 우승으로 장식하면서 리그 최상위권 팀으로서의 활약을 가감없이 보여주었다.

이 팀이 정말 무서운 이유는 극공형 겐트부터 극수비 위도정크에 거의 모든 딜조합과 라자/윈디/호리사/호그디바 등의 대부분의 탱조합, 스테이지 4 들어서는 메코, 새별비, 리베로 모두 좋은브리기테 숙련도를 보여주는 등 모든 조합을 최상위권으로 다뤄 내는 유연함에 있다. 공격에서는 겐트로 순식간에 침투해 킬링을 쓸어담고 수비에서는 감쪽같이 위도우와 정크랫으로 바꿔 철통수비를 굳히고, 위험하다 싶으면 딜러진이나 쪼낙이 슈퍼플레이로 변수를 만들어 어떻게든 싸움을 유리하게 이끌어나가는 캐리력에 브리기테 궁극기를 돌리면 체력 350짜리 쪼낙은 잡히는게 이상한 무상성 팀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넓은 커버력과 안정성 때문에 모든 경기를 기복 없이 풀어나가고 있으며 리그 내내 선두를 놓치는 일 없이 압도적 1위를 유지했으며, 결국 스테이지4 2주차만에 플레이오프 1위 진출을 확정지었다.[7]

현재 윈스턴랩 오버워치 리그 파워랭킹 1위이며 선수 레이팅 랭킹에서 서브힐 1위(쪼낙), 메인힐 1,2위(아나모,아크)으로 팀의 모든 힐러들이 상위권을 독식하며 탄탄한 뒷라인을 갖춘 팀이다.

본디 인원수가 적으면 같이 경기를 진행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팀합을 가다듬는데는 유리하지만 선수들의 체력에 무리가 가고, 팀 전략에 유연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뉴욕은 철저하게 유리한 상황에서 싸우고 개별 선수들의 기량도 탑급이기에 한 명이 무너져도 상호 보완이 빠르고, 무엇보다도 적은 엔트리로도 완벽한 유연성을 자랑하기 때문에 이러한 마이너스로부터 상당히 자유롭다. 때문에 적은 인원수로도 리그 원탑의 기량/팀합/유연성을 전부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

스테이지4 2주차 기준 리그 최다 승리 30승 및 승률 91%[8], 세트득실 +77 등 수많은 대기록들을 보유한 팀이며, 현지시간 5월 25일 출범 시즌 대서양 디비전 및 정규 시즌 우승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스테이지 4부터 경기력이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며,플레이오프 경기에 집중한다는 분명한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욕을 많이 먹었다.

그리고 마침내 마주한 플레이오프에서는 자신들의 강점을 살릴 수 없는 메타[9]에 하나도 적응하지 못하고 급격히 힘이 빠진 모습을 보여주며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필라델피아 퓨전에게 패배, LW BLUE 시절부터 가지고 있던 무관의 제왕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때의 경기력이 오죽 심각했으면, 새별비-리베로-메코-아크-쪼낙 +페이트,카르페로 로스터가 구성된 2018 오버워치 월드컵 예선 성적마저 걱정하는 소리가 나올 정도이다.

트레이서와 젠야타가 메타의 핵심이던 시절에는 밝혀질 일이 없었던 출범시즌 뉴욕의 약점은 다름아닌 개별선수의 편협한 캐리력. 뉴욕은 새별비의 트레이서, 쪼낙의 젠야타, 그리고 파인의 위도우를 위시한 스타플레이어들이 변수를 만들고 나머지 선수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보조하는데 특화되어 있는데[10] 이 영웅들이 주류 메타에서 밀려나기 시작하자 팀 전체가 극도로 힘을 못 쓰기 시작한 것이다. 차기 시즌에는 보다 다양한 영웅으로 확실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키플레이어들의 기량을 끌어올리거나 팀단위 연구를 통해 이들의 무게를 덜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2019시즌을 준비하면서 진행된 리빌딩에도 물음표가 상당한 상황. 많은 사람들이 지적했던 실질적 빈틈인 야누스를 방출한 것은 좋았지만 이후 추가영입한 넨네와 플라워는 새별비, 리베로와 팀 포지션과 역할이 겹치기 때문에 엔트리 관리 난이도가 높고[11] 단장으로 전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인 nuGget을 영입한 것에도 불안한 시선이 많다. 서울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명장병 걸린 코치들 중 한명이기 때문.


2.2. 2019 시즌[편집]


2019 시즌 시작 전에 리그 팀과의 경기가 2차례나 공개된 유일한 팀. 뉴욕 홈커밍 이벤트전에서 필라델피아 퓨전을 상대로 경기를 했고, 이후 애틀랜타 레인을 상대로 했던 스크림이 결과는 물론 소감, 영상까지 유출되었다. 결과는 필라델피아를 상대로는 3:2 승리, 애틀랜타를 상대로는 3:1 승리. 필라델피아의 경우 마노와 사도의 절망적인 라인하르트 기량차를 포코와 카르페가 필사적으로 땜빵하던 것을 넨네가 카르페와의 자리야 미러전을 막상막하로 끌고가며 승리, 애틀랜타를 상대로는 다프란이 준수하게 플레이했지만 첫 두 세트가 1:1로 끝나자 컨디션이 올라온 뉴욕이 완승했다고 한다.

2019 시즌이 개막되면서 파죽지세로 7연승을 거두면서 스테이지1 플레이오프에 가장 먼저 진출하여 그동안의 리빌딩의 의문점을 보기좋게 뒤집었다.

그러나 2019년 3월 22일 3탱3힐의 극치를 보여주던 뉴욕 엑셀시어는 한 번도 진 적이 없었던 상대인 서울 다이너스티에 패배하였다. 가장 중요한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것이기에 팬들의 아쉬움이 컸다.

시즌2에서 새별비파인을 통 볼수가 없어 특히 해외 팬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무엇보다 3탱 3힐 메타가 가장 큰 원인인데, 넨네와 리베로가 각각 자리야와 브리기테로 특별한 기복 없이 늘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긴 했지만 스테이지 1 전승이라는 좋은 성적을 냈기 때문이다. 넨네가 가끔 필요할 때 히트스캔을 플레이하는데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 팀 입장에서는 새별비와 파인 같은 히트스캔 스페셜리스트를 굳이 쓸 이유를 찾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에서 뉴욕은 특유의 안정적인 고츠만을 고집하다 서울의 솜츠, 딜러조합에 일격을 맞은 바 있다. 또한 스테이지 2에 이르면서 패치의 영향으로 리그에서도 딜러픽이 점점 늘고 있는데도 뉴욕은 계속해서 같은 멤버로 고츠를 고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해외 팬들은 SBB, Pine은 왜 안나오냐고 채팅창을 도배하고 있다. 이것이 단지 투정만은 아닌 것이, 시즌1 후반에 뉴욕이 부진했던 큰 이유가 변화한 메타에 대처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시즌 2 스테이지 2 2주차 뉴욕과 워싱턴의 경기에서 드디어 Fl0w3R가 출전했다. 해외 중계에서는 경기 중간 크리스, 조쉬, 소이의 코멘터리에서 모두 꽃무늬 옷을 입고 플라워의 출전을 환영했다. 또 한편으로 뉴욕의 화려한 벤치 멤버들(파인, 새별비 등)을 소개하면서 새별비와 파인을 앞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 다시 한번 언급했다. Soe는 뉴욕이 선수 개인의 영웅폭이 넓어서 멤버교체 없이도 즉흥적인 조합 변화를 소화해내는 팀이라,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오히려 선수교체를 잘 하지 않는다며 칭찬이 섞인 아쉬움을 토로했다.

시즌 종료 시점에서는 아쉽지만 그래도 기대치 이상의 값을 해 줬다는 평가다. 저번 시즌처럼 그랜드 파이널 직전에서 탈락했지만 '강력한 우승후보였다가 필라델피아 퓨전한테 충격의 2:0 셧아웃 패배'로 탈락한 저번 시즌과는 달리 '플레이오프 최약체 취급이었지만[12] 각성해서 플레이오프 3위'라는 성적을 냈기 때문이다.


3. 수상 기록[편집]




4. 대회 기록[편집]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17년 12월 10일4-8위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프리시즌1/1풀 리그-
2018년 2월 11일준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1 타이틀매치2:3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25,000
2018년 3월 26일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2 타이틀매치3:2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100,000
2018년 5월 7일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3 타이틀매치3:0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100,000
2018년 6월 17일1위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정규시즌34/6풀 리그$300,000
2018년 6월 19일준우승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4 타이틀매치1:3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 LA 발리언트$25,000
2018년 7월 22일4강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포스트시즌0:2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100,000
2019년 3월 25일8강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플레이오프1:3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25,000
2019년 5월 12일4강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2 플레이오프1:4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50,000
2019년 7월 15일8강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플레이오프1: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25,000
2019년 8월 26일3위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22/6풀 리그-
2019년 9월 16일3위2019 오버워치 리그 포스트시즌0:4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450,000
2020년 5월 24일4강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아시아0: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5,000
2020년 7월 5일4강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 아시아0:3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5,000
2020년 8월 9일4강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아시아0: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5,000
2020년 8월 22일7위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16/8풀 리그-
2020년 9월 13일3위2020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 아시아0:3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200.000
2021년 6월 12일4위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0: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20,000
2021년 7월 11일4강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넉아웃 - 동부0:3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21년 8월 15일4강2021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넉아웃 - 동부0:3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 청두 헌터즈-
2021년 8월 15일14위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7/9풀 리그-
2020년 10월 16일19위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4/20풀 리그-
2023년 9월 4일9위2023 오버워치 리그 서부 정규시즌7/9풀 리그-
2023년 9월 10일10위2023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 인 - 서부 1:3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4.1. 출범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출범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2019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2019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2020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2020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2021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2021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2022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2022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2023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2023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로고 변천[편집]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alt.svg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svg
2018 ~ 20212022 ~




6. 홈 경기장: 해머스타인 볼룸[편집]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2.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Milky_Chance_live_in_New_York_City.jpg
해머스타인 볼룸
Hammerstein Ballroom
위치미국 뉴욕뉴욕 311 W 34th St
좌석규모2,200석


2020시즌부터 사용될 예정인 홈 경기장으로, 삼성 갤럭시 노트 언팩 2016 당시 폭탄폰 사고로 유명한 갤럭시 노트7이 공개되었던 장소이다. 또한 과거 프로레슬링 단체 ECW의 성지라고 불리우던 곳이다.

특이 사항으로 통일교 소유다.


7. 스폰서[편집]




8. 구성원[편집]



8.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번호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10Libero김해성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he_Meta_logo.png Meta Athena2017년 10월 31일2020년 11월 18일은퇴
9SAEBYEOLBE[13]박종렬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lw_large.png LW BLUE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21Pine김도현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19년 12월 7일Andbox 스트리머
1Janus송준화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18년 9월 1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7Mano김동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20년 11월 3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11MekO김태홍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19년 10월 18일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44JJonak방성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21년 10월 9일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2Ark홍연준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lw_large.png LW RED2019년 3월 18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97Anamo정태성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350px-Ardeont_logo.png Ardeont2018년 3월 31일2020년 11월 18일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8Fl0w3R황연오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XL2_Academy_edit.png XL2 아카데미2018년 10월 30일2019년 10월 9일파일:Runawaylogo.png RunAway
31Nenne정연관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18년 11월 8일2020년 10월 22일은퇴
17HOTBA최홍준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2019년 11월 16일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13BiaNcA김동욱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XL2_Academy_edit.png XL2 아카데미2019년 11월 23일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2020년 12월 11일2021년 10월 6일은퇴
2Mandu김찬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2019년 11월 27일2020년 11월 4일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23WhoRu이승준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FUN_logo_nofont.png 퓨전 유니버시티2019년 12월 5일2020년 10월 22일은퇴
1Haksal김효종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2020년 6월 6일2020년 10월 20일
29Yakpung조경무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2020년 12월 11일2021년 10월 6일은퇴
1Friday조민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OZ Esports.png OZ Gaming2020년 12월 17일
12Flora임영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2020년 12월 23일2022년 11월 15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14FEATH5R이승우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 Talon Esports2021년 10월 6일은퇴
77ivy이승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2021년 7월 16일
83Gwangboong김광원파일:Team_Cat_cn_logo.png Team Cat2021년 10월 6일
5Kalios신우열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World Game Star 2020.png WGS Phoenix2021년 7월 1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18Kellan김민재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2022년 1월 8일2022년 11월 15일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7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2023년 3월 22일
1Yaki김준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2022년 1월 8일2022년 11월 15일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LA 글래디에이터즈
11GangNamJin강남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13Myunb0ng서상민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2022년 8월 10일
-Vulcan잭 맥아더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Solaris logo.png Solaris2022년 4월 27일2022년 6월 13일파일:Odyssey 2022.png Odyssey
28HO1전호원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2022년 6월 19일2022년 11월 15일은퇴
30ANSOONJAE안순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2022년 8월 10일군 입대
1Fits김동언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2023년 3월 22일
20Seicoe막시밀리안 오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Ex_Oblivione_Logo_2022.png Ex Oblivione
24sHockWave니클라스
스미트 옌센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10Lep조셉
캠브리어니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2023년 7월 11일
20Creative김영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8Aniyun지연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WISP 로고.svg WISP
43Halo헤일리 해먼드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Altiora2023년 7월 11일
14Ojee크리스티안 한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2023년 7월 12일


8.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팀
BEARHANDS스캇 테스터인사 총괄N/A2017년 7월 28일2018년 4월 28일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 플로리다 메이헴 부단장
Pavane유현상감독파일:lw_large.png Team LW 코치2017년 10월 31일2019년 10월 21일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코치
WizardHyeong김형석코치파일:lw_large.png Team LW2017년 10월 31일2018년 9월 1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감독
Andrew앤드류 킴매니저파일:lw_large.png Team LW 분석2017년 10월 31일2019년 12월 5일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zet손세철코치파일:350px-Ardeont_logo.png Ardeont2018년 3월 31일2019년 12월 18일N/A
PRE아론 헥맨분석N/A2018년 5월 18일2018년 12월 4일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코치
nuGget김요한단장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2018년 10월 23일
imt정용철분석[14]N/A2018년 12월 5일2021년 12월 18일N/A
Garrincha박원진코치파일:600px-Seattle_Skyfoxes.png Skyfoxes2019년 4월 15일2020년 9월 19일파일:업라이징 아카데미.png 업라이징 아카데미
WhyNot이주협감독[15]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2019년 12월 2일2021년 10월 13일N/A
Steven김덕중매니저N/A2019년 12월 11일2020년 11월 15일파일:Rio_Company_logo.png Rio Company CEO
Sqix김건용코치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코치2020년 12월 24일2022년 1월 19일N/A
Unknown김민성매니저파일:T1 로고.svg T1 LoL2020년 12월 24일2022년 11월 14일WDG
Undine손영우코치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코치2021년 7월 2일2022년 11월 14일
KuKi김대극감독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감독2022년 1월 20일2022년 07월 27일
Gesture홍재희코치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TANK
2022년 5월 20일2022년 11월 14일
Artist조민호코치파일:SLT 로고.svg SLT 감독2022년 8월 25일
Changgoon박창근감독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감독2023년 4월 27일
Amir아미르 아메드감독파일:teampeps.png Team Peps 코치


8.3. 영구 결번[편집]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NYE Uniform Retired Number List
번호선수
9SAEBYEOLBE

[각주]



9. 아카데미 팀[편집]



9.1. XL2 아카데미[편집]


뉴욕 엑셀시어 산하 아카데미 팀.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에서 활동한다. 팀 단위로 영입하여 모두 한국인 로스터로 이루어진 엑셀시어와는 다르게 북미 선수들이 주축이다.

2019년 11월 11일에 해체를 선언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XL2 아카데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NYXL 아카데미[편집]


뉴욕의 두 번째 아카데미 팀이다. 2023시즌을 준비하며 창단했는데, 기존의 XL2 이름을 쓰지 않고 NYXL 아카데미라는 새로운 이름을 사용했다.
약 4개월 간 존속하면서 Calling All Heroes 및 컨텐더스 북미에 참가하였다. (2023.04.17 ~ 2023.08.05)



10. ORIGIN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뉴욕 엑셀시어/ORIGINS#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서포터즈 클럽[편집]


파일:5dv-store.png
5 Deadly Venoms Crew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오버워치 리그 최초의 서포터즈 클럽. WAYPOINT CAFE NYC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12. 기타[편집]


  • 팀명의 Excelsior(엑스켈시오르, 英 엑셀시어)는 '더욱 위로(ever upward)' 라는 뜻의 라틴어 단어이며, 이 팀의 연고지인 뉴욕 주의 주기와 문장에도 있다. 일종의 표어인 셈. #

  • 팀의 약자는 NYXL과 NYE 두가지가 있다. NYXL은 팀에서 사용하는 약자고, NYE는 대진표 등 오버워치 리그 공식 사이트에서 사용한다. 비공식적으로는 현지 중계진에 의해 '뉴욕 XL'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 팀 연습실이 뉴욕대 기숙사 맞은편에 있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 창단 멤버인 JJoNak이 2021년 10월 9일에 팀을 떠나면서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

  • 뉴욕 연고 팀이지만 선수들이 전원 한국인 선수였다. 22시즌에 30일 계약으로 미국 선수 Vulcan이 들어왔었지만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고 30일 계약이 만료되었다. 그리고 23시즌에 다국적 팀으로 리빌딩되며 올 한국인 팀은 아니게 되었다.



12.1. 출범 시즌[편집]


  • 팀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플라워 선수가 월드컵 국대 옷을 입고 잠깐 나왔다. 정식 영입은 안 됐지만 같이 미국에 있는 듯. https://www.youtube.com/watch?v=G9wYtE8NA7k 또한 파인의 유튜브를 보면 플라워 선수의 마우스 패드를 가지고와 게임을 하는 등등 많이 언급된다

  • 출범 시즌 스테이지 4 중반에 들어서면서 출범 시즌 총합 1위를 확정지었다. 동시에 그랜드 파이널 경기 장소가 뉴욕 바클레이스 센터로 확정되면서 그랜드 파이널의 최고 주역이 될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미 리그 내에서도 세 손가락에 들어갈 정도로 탄탄한 팬층을 자랑하는 만큼[16] 뉴욕 엑셀시어에 대한 응원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플레이오프 준결승전 필라델피아에게 0-2 완패를 당했다.

  • 구단주 제프 윌폰은 초기 팀 창단시 LW BLUE의 한국인 플레이어들만으로 팀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고 한다. 연고지팀 특성상 외국인인 한국인 플레이어 만으로 구성된다면 과연 팬덤이 활성화될 수 있겠냐는게 그 이유였는데, 팀원 영입 담당 스캇 테스터는 그런 구단주에게 프로에겐 오직 실력과 성적만이 모든 것이라며 강하게 구단주를 설득했고, 결국 스캇 테스터의 설득은 그대로 맞아떨어져 뉴욕 엑셀시어는 오버워치 리그 팀들 중에서도 최초로 서포터즈 클럽인 Five Deadly Venoms를 자체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성공할 정도로 팬덤이 강한 팀이 되었다.[17] 실제로 응원 영상을 보면 초기 연고지 팀 구조에서 한국인 플레이어들만 있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가 얼마나 의미 없었는지 알 수 있다.# 뉴욕 엑셀시어는 올 한국인 팀 중에서는 물론, 리그 모든 팀을 통틀어서 가장 인기있는 팀 중 하나이다.

  • 출범 시즌 당시 프로 코스튬 플레이 팀인 스파이럴 캣츠에서 오버워치 뉴욕 엑셀시어 팀의 스킨을 입은 디바와 트레이서를 코스프레 했다. 사실상 오버워치 리그 팀 최초의 팀 전용 스킨 코스프레. 위에 밝혔다시피 마침 그랜드 파이널 경기 장소가 뉴욕인 것도 있고 해서 준결승전 이전에 오퍼를 받아서 결승전 무대에 같이 오를 의향으로 의상 제작에 들어갔는데 팀이 준결승전에서 탈락해버리는 바람에 묘하게 붕 뜬 상황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뉴욕의 오버워치 팬들에게 뉴욕 엑셀시어 홍보를 하기 위해 결승전 장소에 가긴 했다고.


12.2. 2022 시즌[편집]


  • 그동안 미국 연고 팀임에도 한국인 선수들만 영입하다가 최초로 비한국인 선수(미국인)인 탱커 Vulcan을 영입하였다. 다만 30일 계약이었고 Kellan이 주전임에 따라 출전하지 않다가 계약 종료.
  • 로고를 새로 디자인하면서 첫 주에는 기존 로고와 함께 사용했지만 2주차 이후엔 변경된 로고만 사용 중이다. 단순한 색상 변경이 아니라 글자 디자인을 완전히 변경한 건 오버워치 리그 최초이다.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alt 2.svg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alt.svg

1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9:28:17에 나무위키 뉴욕 엑셀시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뉴욕 메츠 최고운영책임자(COO)이였으며 전 뉴욕 메츠 구단주인 프레드 윌폰 (Fred Wilpon)의 아들이다.[2] 리그측에서 사용하는 공식 약칭은 'NYE'이지만 팬덤은 물론 일반적으로 부를 때도 '뉴욕 엑셀시어' 대신 'NYXL'을 더 많이 사용한다. DC인사이드에서도 '뉴욕 엑셀시어' 갤러리가 아니라 'NYXL' 갤러리이다.[3] 2020년 기준으로 서울은 토비만 남아있고 런던은 전멸, 가장 심한 밴쿠버는 신영입 멤버 ChangSik, Teru를 빼면 아예 웨스턴 팀으로 바뀌었다.[4] 또한 한국에서는 Team LW 시절부터 응원했던 팬들이 많다.[5] 블루, 레드 포함[6] 마노, 쪼낙의 경우 LW BLUE 소속으로 한 번도 출전하지 못했는데, 리그 진출을 위한 영입이었다는 추측이 많다.[7] 이게 얼마나 어마어마한 격차냐면, 1위 확정 이후로 남은 경기 8개를 전부 0:4로 패배해도 1위였다. 한 팀이 정규 시즌에 치루는 경기가 40경기라는 것을 생각하면, 경기 진행 80% 시점에서 이미 1등이 판가름난 것.[8] 2위인 LA발리언트의 승률이 65%라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더더욱 엄청난 기록.[9] 현 메타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1.위도우-한조의 더블 스나이퍼 조합, 2.메르시 1힐에 플렉스 서브힐러의 호그,트레 등 다양한 픽 으로 정리가 되는데, 새베로를 쓰면 맞도우에서 밀리고 파베로를 쓰면 위도우를 사용한 조합밖에 못 다뤄내는 데다가 쪼낙의 젠야타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팀 스타일과 정면으로 부딪히는 메타였기 때문에 뉴욕에게 있어선 말 그대로 최악의 메타이다.[10] 마노와 메코는 리그 내에서도 특히나 캐리력보다는 서포팅에 특화된 탱커들이고, 리베로와 아크 역시도 주도적으로 변수를 만들기보다는 안정적으로 팀원을 보조하는데 주력하는 선수들이다.[11] 넨네의 경우 기존 새별비와 파인 체제가 주로 지적받던 문제점인 위도우와 트레이서를 비슷비슷하게 잘 하는 메인딜러가 없다는 점, 그리고 3탱 3힐에서 자리야 실력이 뛰어난 딜러가 필요하다는 점 등 여러 점을 감안한 영입일 가능성이 높다. 플라워의 경우 리베로가 파인의 결장을 만회하기 위해 위도우메이커를 무리하게 영웅폭에 추가한 이후 스테이지 4부터 폼이 급격히 떨어졌던 것을 감안, 서브딜러가 너무 많은 영웅을 맡아 종합적인 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두 선수에게 영웅폭을 분산하려는 시도일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의외로 리그 관계자들은 뉴욕의 5딜러 체제가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보는 시선이 많지만, 동시에 딜러가 이렇게 많으면 코치진이 딜러 선수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팀의 기량이 좌우되기 때문에 코치진의 어깨가 무거울 것이라고 지적했다.[12] 정규시즌 성적은 좋은 편이지만(대서양 1위) 저번 시즌처럼 압도적 1위를 한 건 아니었고, 시즌 후반부로 갈수록 기량이 계속 떨어져서 광저우-청두한테도 0:4 + 스테이지4 15위(3승 4패 -6)가 나오는 등 팀 성적이 곤두박질쳤기 때문에 '뉴욕과 맞붙는 시드는 공짜 시드가 아니냐'라는 이야기까지 나왔을 정도로 팀 기대치가 없었다.[13] saebyeolbe → SAEBYEOLBE[14] 코치→감독→데이터 분석[15] 코치→감독[16] 휴스턴, 댈러스, 뉴욕 3개팀의 팬덤이 리그내에서도 최상위권의 규모를 자랑한다.[17] 구단이 만든게 아니라 팬들이 자체적으로 모여서 만들었다. Richard Ng이라는 브랜드 전략가가 취미로 디스코드로 뉴욕 엑셀시어팀을 다른 플레이어들과 응원하며 의견을 공유하다가, 점점 규모가 커져서 자체적인 응원 파티까지 열게 되었고, 결국 서포터즈 클럽으로까지 발전하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