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오리 성단

덤프버전 : (♥ 0)




메시에 천체
M10
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M11
야생오리 성단
방패자리의 산개성단
M12
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NGC 천체
NGC 6704
방패자리의 산개성단
NGC 6705
방패자리의 산개성단
NGC 6706
공작자리의 타원은하

M11
야생오리 성단
Messier 11
파일:external/apod.nasa.gov/m11_cfht.jpg
관측 정보
위치적경18h 51.1m
적위−06° 16′
별자리방패자리
겉보기 등급6.3
물리적 성질
형태g형 산개성단
명칭
M11, NGC 6705, 야생오리 성단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찾는 방법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Messier 11 / NGC 6705

야생오리 성단방패자리에 있는 산개성단이다.

할로 섀플리 분류법에 의하면 g형[1] 산개성단이며, 트럼플러의 분류법에 따르면 II,2,r형의 산개성단이다.


2. 역사[편집]


1681년 독일의 천문학자 고드프리드 키르히가 베를린 천문대에서 발견하였다. 1733년 윌리엄 더햄이 별로 이루어진 성단임을 입증하였다. 그 후 1764년 5월 30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메시에 천체 목록 11번째 천체로 등재하였다.


3. 특징[편집]


야생오리 성단은 가장 압축된 형태의 산개성단 중에 하나이다. 추정나이는 약 2억 2천만년이고 약 2900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야생오리 성단이란 이름은 성단 내부의 밝은 별들이 삼각형 모양으로 편대비행하는 오리떼의 모습과 닮아서 붙여졌다 한다.[2]


4. 찾는 방법[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00px-Scutum_IAU.svg.png
방패자리 베타에서 남동쪽으로 약 3° 이동하면 찾을 수 있다. 자세한 스타호핑 방법으로는 독수리 자리의 꼬리(람다성)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ㅡ자에 가까운 ㄴ의 별 세개가 이어진다. 이를 파인더로 보게 된다면 세별이 한 눈에 들어오는데 꼬리의 밑에 두 별을 직선으로 잇는 연장선상에 육안으로 산개성단의 모습이 보인다(별로 멀지 않으니 주의 깊게 보도록 하자). 만약 광공해나 날씨의 영향이 있다면 선상을 이어가는 도중에 쌍성이 보인다.그 근처에서 약간만 대물렌즈를 왼쪽으로 옮겨가다 보면 성단이 보인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2:52:12에 나무위키 야생오리 성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별들이 매우 풍부하고 응집되고 촘촘한 형태[2] 혹은 물위에 떠 있는 오리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붙혀졌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