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C백화점 광주역점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현대백화점 광주점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8년에 개점 예정인 더현대 백화점에 대한 내용은 더현대 광주 문서
더현대 광주번 문단을
더현대 광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e2_14811619303015.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NC백화점 로고.svgNC DEPARTMENT STORE
NC백화점 광주역점
||
파일:NC 광주역점.jpg
연계 교통광주역
개점일1995년 3월 10일(송원백화점)
1998년 6월 12일(현대백화점)
2013년 6월 1일(NC백화점)
휴무일
영업시간매일 11:00 ~ 20:00
소유(주)송원 → 이랜드리테일
운영(주)송원 → 현대백화점이랜드리테일
지점장
주소광주광역시 북구 경열로 249 (신안동)
[ 지도 펼치기 · 접기 ]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1. 개요
2. 층별안내
3. 연혁
3.1. 송원백화점 (1995 ~ 1998)
3.2. 현대백화점 (1998 ~ 2013)
3.3. NC백화점 (2013 ~ 현재)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에 위치한 NC백화점 지점이다.


2. 층별안내[편집]


시설
10층투탑스짐/골프존파크/박승철헤어스튜디오/코코몽키즈카페
9층식당가
(로운샤브샤브)
8층모던하우스
7층아동/유아 전문관
6층아웃도어/스포츠 전문관
5층남성/골프 전문관
4층캐주얼 전문관
3층여성 전문관
2층영캐주얼 전문관
1층패션잡화
B1층공실[1]


3. 연혁[편집]



3.1. 송원백화점 (1995 ~ 1998)[편집]


불과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광주에서 백화점을 찾으면 화니백화점과 가든백화점 등등 지금 기준에서는 꼬꼬마 수준의 작은 향토백화점 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처음으로 제대로 된 규모의 백화점이 광주에 들어서게 되는데, 그게 바로 송원백화점이었다.

1990년대 당시 광주출신 중에서 금호그룹 다음으로 컸던 송원그룹[2]이 야심차게 준비했던 송원백화점은 8,000평 규모의 대형 매장[3]과 꼭대기에 수영장, 골프연습장, 에어로빅장을 겸한 스포츠센터, 문화센터, 미술관 등 단순히 물건을 파는 것 외의 다양한 문화시설이 함께 들어서면서 영세한 수준의 백화점만 경험했던 당시 광주 시민들의 눈을 틔이게 해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꼭대기층 수영장 덕분에 송원백화점은 한때 광주에서 ‘부자들이 놀러가는 백화점’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개점 첫 해에 365일 온전히 영업하지도 못했음에도 매출 1,000억원 이상을 기록하면서 성공적인 데뷔를 했고 십수년간 화니-가든 2강 체제였던 광주 백화점 업계의 판도를 뒤집어 엎었다.

하지만 같은 해 8월 광천동 종합버스터미널신세계백화점이 등장하였고 시작부터 엄청난 속도로 송원을 추격하였고 송원 역시 뒤쳐지지 않게 총력을 다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고 신세계에 의해 광주 백화점 업계의 판도가 다시 한번 바뀌기 시작했다.

3.2. 현대백화점 (1998 ~ 2013)[편집]


신세계에 이어 롯데백화점까지 광주 진출을 예고하면서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향토백화점 두 곳이 시장을 양분했던 광주는 지방권 수요를 두고 다투는 전국구 유통공룡들의 싸움판으로 변하게 되었다.

현대백화점 역시 광주 진출의 필요성을 느낀 상황에서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졌고 당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화니백화점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부도를 내면서 현대백화점은 화니의 지분을 사들이는 형식으로 백운광장 앞에 짓고 있던 주월점 건물[4]을 사실상 꿀꺽해보려다가 실패했고 그 후에 찾아간 곳이 송원백화점이었다. 여기도 무리했던 사업확장 때문에 오늘내일하는 상황이었고 앞서 광주 향토백화점 삼총사로 묶이던 화니와 가든이 차례대로 부도를 내고 쓰러지면서 송원 역시 상당히 위기감을 느꼈는지 현대의 제안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게 1998년 6월 12일, 송원백화점 간판이 내려가고 현대백화점 간판이 새로 내걸리면서 광주에 신세계-롯데-현대 3강 체제가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시 외곽에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인구이동과 시청상무지구 이전 및 전남도청무안군 이전으로 인해 구도심이 빠르게 몰락하기 시작했고, 특히 호남지방 특유의 저조한 철도 이용률로 인해 광주역과 가까움에도 전혀 수혜를 받지 못했고[5] 유명 해외명품 매장 선점에도 실패하면서 버스터미널 옆에서 엄청난 유동인구 수혜를 받는 광주신세계와 지역 내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롯데백화점은 꾸준히 매출을 올리면서 승승장구하는 동안 현대백화점은 10년 이상 연매출이 1,300억원대에서 정체되었을 정도로 끔찍하게 장사가 안됐다.

처음 맺은 10년 계약기간이 끝나갈 무렵에는 상무지구로 이전한다는 썰이 돌기도 했는데 다시 5년을 연장하면서 일단락되었다.

추가된 5년의 계약기간마저 지나자 현대백화점 측은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철수를 결정했으며 결국 ‘현대백화점 광주점’은 15년만에 문을 닫게 되었다.[6]

3.3. NC백화점 (2013 ~ 현재)[편집]


현대백화점이 철수를 선언하자마자 곧바로 이랜드가 5년간 임차하겠다고 나선 덕분에 마치 바톤터치 하듯이 영업중단이나 휴점도 없이 또다시 간판만 갈아치워서 2013년 6월 1일 재개장하였다. 그리고 대대적인 매장 리뉴얼을 거쳐 11월 22일부터 완전한 NC백화점으로서 영업을 시작했는데, 이때 기존 매장의 1/3 정도를 내보내고 대신 이랜드 산하 브랜드들로 채웠으며 나머지 브랜드들도 격하되어서 백화점보단 아울렛에 가까워졌다. 그리고 지점명이 ’광주점‘에서 ’광주역점‘이 되었다.

NC에서 운영에 자신감이 붙은건지, 건물주인 (주)송원과 의견이 잘 맞아 떨어진건지 몰라도 오픈 1년여만에 건물을 아예 사버렸다.

하지만 매출은 현대백화점 시절보다 더 쪼그라든 것으로 추정되며 손님도 크게 줄어들어서 현대백화점 시절부터 쭉 이용해 온 찐단골들만 남은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요즘은 더욱 심해보인다. 한편으론 주차장도 널널하고[7] 사회적 거리 두기를 잘 지키면서 쇼핑할 수 있다는 씁쓸한 장점은 있다.

송원백화점 시절부터 유명했던 10층에 수영장이 있는 스포츠센터는 2016년부터 운영이 중단되었고, 2019년에는 문화센터마저 사라지고 그자리에 키즈카페가 들어섰다.

2024년에는 아예 1층 매장 일부를 정리하고 텐퍼센트커피(...)에 매장을 내주고 있다. 보통 백화점 1층은 매장 내에서 가장 가치있고 매출이 높은 매장을 위해 없던 자리까지 만들어서 내주는게 일반적인데, NC백화점의 경우 저가 커피 매장에 1층 가장 좋은 자리를 내줬으니 더욱 씁쓸함을 자아낸다.[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02:08:42에 나무위키 NC백화점 광주역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킴스클럽 식품관과 가구매장, 고객센터가 있었다.[2] 당시 전남 도급순위 1위인 금광기업을 필두로 여러 건설사를 거느렸고 그 외에 계열사로 리조트, 골프장, 물류, 언론사 그리고 송원학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3] 이 역시도 지금 기준으로 보면 작은 수준이지만 당시에는 전국적으로 놓고 봐도 절대 작은 크기가 아니였다.[4] 현재 남구청 건물이다.[5] 심지어 2015년부터는 호남고속철도의 유일한 정차역이 광주송정역이 되면서 광주역으로는 KTX가 들어오지 않게 되자 완전히 유령역으로 전락해버렸다.[6] 그러다가 9년 만에 더현대 광주로 재진출을 선언한 상황이다.[7] 다만 주차장 출입구가 매우 좁고 커브도 심해서 헬 난이도 수준이다. 특히 요즘은 차 자체도 커졌기 때문에 중형 이상의 차량이라면 잠깐만 한눈 팔아도 바로 범퍼를 긁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주의하면서 가야 한다.[8] 다만 광주 1등 백화점인 광주신세계도 오랫동안 1층에 스타벅스 매장이 들어와 있긴 했었다. 그런데 이쪽은 사정이 조금 다른게 신세계백화점 1층이 원래 백화점 용도가 아니라 터미널에 딸린 공공시설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광주신세계가 꼼수를 써서 1층도 점점 백화점처럼 만들고 있으며 2023년에는 마지막 남은 스타벅스 마저 내보내고 그 자리에 티파니앤코를 입점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