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국제항공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미얀마의 항공사에 대한 내용은 미얀마 내셔널 항공 문서
미얀마 내셔널 항공번 문단을
미얀마 내셔널 항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얀마 국제항공
အပြည်ပြည်ဆိုင်ရာ မြန်မာ့လေကြောင်း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파일:Myanmar_Airways.png
부호콜사인 (MYANMAR)
IATA (8M) ICAO (MMA) BCC (-)
항공권 식별 번호599
설립 연도1946년
허브 공항양곤 국제공항
만달레이 국제공항[1]
보유 항공기 수10
취항지 수26
링크파일:Myanmar_Airways.png


1. 개요
2. 노선
2.1. 국내선
2.2. 국제선
2.3. 대한민국 노선
3. 보유 기종
4. 기타



1. 개요[편집]


미얀마의 국영 항공사이다. 양곤 국제공항를 허브, 만달레이 국제공항를 보조 허브로 하고 있다. 1946년에 유니온 오브 버마 항공으로 설립되고 지금의 미얀마 국제항공으로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미얀마 국제항공(Myanmar Airways International)과 미얀마 내셔널 항공(Myanmar National Airlines)은 사명이 비슷하나 다른 항공사이다.

2. 노선[편집]



2.1. 국내선[편집]


취항지
다웨이 · 헤호 · 카우퉁 · 몌이 · 만달레이[2] · 마이익 · 미잇키나 · 나융우 · 푸타오 · 싯웨 · 딴웨 · 양곤[3]

2.2. 국제선[편집]


국제선
국가취항지
캄보디아프놈펜
중국베이징(서우두) · 쿤밍[4]
인도델리 · 첸나이 · 가야 · 콜카타
일본도쿄(나리타)[5] · 오사카(간사이)[6]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러시아톨마초보[7]
싱가포르싱가포르(창이)
대한민국서울(인천)
태국방콕(수완나품) · 치앙마이 · 푸켓
아랍에미리트두바이
베트남하노이 · 호찌민

2.3. 대한민국 노선[편집]


주 3회[8]로 운항하고 있다. 출발 시간, 도착 시간이 늦어지거나 빨라질 수도 있다는 점 주의.

시간표
자사기재 직항
양곤(RGN)/T1서울(ICN)/T1양곤(RGN)/T1서울(ICN)/T1 8M801서울(ICN)/T1양곤(RGN)/T1 8M802기종
7:15(CEST) 출발/15:30(KST) 도착16:45(KST) 출발/18:15(CET) 도착A319-100, A320-200

3. 보유 기종[편집]


파일:Myanmar_Airways.png
보유기종
기종대수
A319-1004
A320-2003
E190-1003
B787-90(+2)
총합10

4.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2:34:19에 나무위키 미얀마 국제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조 허브다.[2] 보조 허브[3] 허브[4] 운행 중단[5] 운행 중단[6] 운행 중단[7] 2023년 9월 5일 취항 예정[8] 일요일, 화요일, 금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