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래자리 A 은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고슬라비아의 기관총에 대한 내용은 자스타바 M77 문서
자스타바 M77번 문단을
자스타바 M77#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메시에 천체
M76
작은 아령 성운
페르세우스자리의 행성상성운
M77
고래자리 A 은하
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M78
메시에 78
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NGC 천체
NGC 1067
삼각형자리의 중간나선은하
NGC 1068
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NGC 1069
고래자리의 중간나선은하

M77
고래자리 A 은하
Cetus A
파일:external/apod.nasa.gov/heic1305aM77_2948.jpg
관측 정보
위치적경02h 42m 40.771s
적위-00° 00’ 47.84”
별자리고래자리
겉보기 등급9.61
물리적 성질
형태(R)SA(rs)b형 막대나선은하
거리14,400,000 pc
46,940,000 광년
질량1.0×1012M
운동시선속도1,137(±3) km/s
(적색편이량 : z = 0.003793)
규모
장축 지름85,000 광년
겉보기 크기7′.1 × 6′.0
명칭
M77, NGC 1068, Cetus A
Arp 37, PGC 10266, UGC 2188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위치 및 찾는 방법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고래자리 A 은하(Messier 77, M77, NGC 1068, Cetus A)는 고래자리에 있는 막대나선은하이다. 1780년 피에르 메셍이 발견하였다. 허블 분류상 (R)SA(rs)b형 은하이다.


2. 역사[편집]


1780년 10월 29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메셍이 처음 발견하였는데 그는 이 은하성운으로 생각했다. 메셍은 동업자이자 친구인 샤를 메시에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메시에는 같은 해 12월 17일 M77을 찾아 관측하고 메시에 천체 목록에 기록한다. 그는 M77을 성운기가 있는 성단으로 생각하였다.
1783년 M77을 관측한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도 성운이 감싸고 있는 성단으로 생각했다.
윌리엄 허셜의 아들인 존 허셜도 M77을 관측한 뒤 기록하였고 나중에 그가 정리한 GC에 등재시킨다.
1836년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헨리 스미스 제독이 관측 후 기록을 남겼다.
1850년 3대 로스 백작 윌리엄 파슨스가 14개의 나선 성운 중 하나로 M77을 기록하였다.


3. 특징[편집]


고래자리A 은하은 지구에서 고래자리 방향으로 약 4,7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이다. 메시에 천체 목록의 천체 중 가장 큰 크기인 약 17만 광년의 지름에 3000억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하의 총 질량은 태양질량의 약 1조배이다. 현재 지구와 1,137km/s의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
이 은하는 M77 은하군이라고 불리는 작은 규모의 은하군의 대장 노릇을 하고 있다.
고래자리A 은하는 활동 은하핵을 지닌 세이퍼트 2형(Type 2 Seyfert)의 활동 은하로, 이런 종류의 은하 중에서는 밝은 편의 은하이지만 중심핵은 성간물질 때문에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다. M77은 세이퍼트 은하중에서 가장 처음 발견된 은하이자, 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은하 중 하나로 매우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은하이기도 하다.
M77의 스펙트럼은 넓은 방출선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거대한 가스 구름이 빠른 속도로 은하를 회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 졌다. 약 100km/s의 속도로 M77을 회전하고 있다. 이렇게 가스를 가속시킨 원인은 은하 중심의 블랙홀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77-galaxy-1024x925.jpg
지상에서 촬영한 고래자리A 은하. 거대한 헤일로가 인상적이다.

맨눈으로는 포기하자. 쌍안경이나 파인더로는 주변의 작은 별과 구분해내기 힘들다. 4인치 정도로는 빛이 번져보이는 별처럼 보이나 좋은 조건에서 본다면 희미한 나선팔을 볼 수도 있다. 8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은하 중심의 빛구름과 주변의 흐릿한 나선팔을 볼 수 있다. 좀 더 고배율에서 관측한다면 나선팔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을 것이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편집]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77-location.png
고래자리 델타(δ)에서 남동쪽으로 약 1° 떨어져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7:20:02에 나무위키 고래자리 A 은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