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23/M125

덤프버전 : (♥ 0)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미군기갑차량
기타전차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경전차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차륜형 장갑차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소형M151, 험비, M1009 CUCV
트럭건 트럭, M602, M35, M37, M715, M809 5tR, M939 5tR, M977 HEMTT
자주포자주곡사포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4 (105)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자주박격포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파일:M123_AND_m125.1_(2).jpg
M123/M125 10-ton 6x6 truck (G792)
1. 개요
2. 제원
3. 역사
4. 특징
5. 계열 차량
5.1. M123
5.2. M125
6. 파생형
7. 실전
8. 운용국
9. 미디어
9.1. 모형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50년대에 미국맥 트럭이 개발한 10톤급 6x6 군용 트럭.참조

2. 제원[편집]


M123/M125 10-ton 6x6 truck
M123/M125 10톤 6x6 트럭
생산맥 트럭, CONDEC
중량14,740kg
전장7.11m
전폭2.90m
전고2.82m
승무원(탑승병력)n(n)명
엔진마력Le Roi TH-844(297hp)
변속기5단 기어&2단 트랜스퍼 케이스
현가장치리지드 액슬 서스펜션&리프 스프링
구동계6x6
최대속도68km/h
항속거리482.8km
생산년도1955년-1996년
생산량


3. 역사[편집]


1949년에 미 육군은 초대형 10톤급 오프로드 주행 가능한 6x6 군용 트럭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설정했으며, 이에 제2차 세계 대전기에 사용된 맥 NO 시리즈( 7+1 ⁄ 2 톤, 6x6 트럭)의 영향을 받은 맥 사의 설계안이 선택되었다. 맥 사의 설계안은 전체 트럭 제품군으로 설계되었지만 세미 트랙터와 화물/원동기만 제작되었다.

392대의 M123이 1955년에서 1957년 사이에 생산되었고 552대의 M125가 1957년에서 1958년 사이에 생산되었다.

1965년에 CONDEC사는 3,188대의 디젤 엔진 탑재형 M123A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Mack 사는 1968년에 420대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1969년에 Mack사는 210개의 가솔린 엔진 모델을 디젤 엔진으로 업그레이드했다.


4. 특징[편집]




5. 계열 차량[편집]



5.1. M123[편집]


기본형 세미트럭. M123은 M25 드래곤 웨건을 대체하는 MBT 운반용 HET(M15A1, M747 세미트레일러 사용) 역할과 공병 장비 운반용으로(M127 트레일러 사용) 사용되었다.

세부 형식은 다음과 같다.

M123: 이중 윈치와 높이 장착된 5번륜,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M123C: 단일 중앙 윈치와 낮게 장착된 5번륜이 있고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

M123D: 이중 중앙 윈치와 낮게 장착된 5번륜, 가솔린 엔진을 갖추고 있다.

M123A1: 단일 후방 윈치와 V8 디젤 엔진(300hp(224kW))을 갖추고 있다.1965년부터 1969년까지 CONDEC에서 제작한 M123A1C는 디젤 엔진과 단일 후방 윈치를 갖추고 있었다.

M123E1: 디젤 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된 M123.

M123E2: 이중 후방 윈치, 디젤 엔진 사용.


5.2. M125[편집]


맥 NO 시리즈를 이은 대형 화물 운송차 겸 155mm와 8인치 야포 견인용으로 사용되었다. 섀시 형식은 M121.

접이식 병력 좌석, 선수 및 캔버스 덮개가 있는 4.27m(14피트) 강철 화물칸을 갖추고 있다. 전면에는 Garwood DSA716 20,000kg급 단일 윈치가 장착되었고 후면에는 탄약 처리용 체인 호이스트가 장착되었다.

냉전기 들어서 미국 육군이 더 많은 자주포를 사용함에 따라 포병 트랙터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M125는 후속작 없이 생산 중단되었다.



6. 파생형[편집]





7. 실전[편집]



7.1. 베트남 전쟁[편집]



8. 운용국[편집]



8.1. 아메리카[편집]



8.1.1. 북아메리카[편집]



8.1.1.1. 미국[편집]

원조 사용국. M123과 M125는 모두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M123 트랙터는 1990년대까지 육군에서 사용되었다.

M123은 미 육군 외에도 미 해병대가 사용했으며 호주, 스페인 등의 미국 동맹국들에도 수출됐다.

9. 미디어[편집]




9.1. 모형[편집]




10.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1 23:46:03에 나무위키 M123/M12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