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성민(프로게이머)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홍승민 문서
홍승민번 문단을
홍승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2023 KDL_Luning.png
{{{#fff Seongnam ROX
{{{#ef0d4d C}}}
}}}
Luning
홍성민 (洪成民[1] | Hong Sung-min)
출생2005년 3월 3일 (19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족부모님
직업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학력한울중학교 (졸업)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재학)
포지션SPEED ACE
데뷔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소속ReBoot
(2023.03.26~2023.05.03)
AURA
(2023.05.19~2023.08.04)
Seongnam ROX
(2023.08.07~)
IDLüning
라이센스
병역미필
[ 펼치기ㆍ접기 ]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svg
ID흥성민
[닉네임 변천사]
프페홍성민 → 두두카홍성민 → 화장실급햠 → 이게홍성민 → H1S8M → 업보들각오해 → 무지성들이대 → 똥덩민 → lDDK홍성민l → SVG홍성민 → 흥성민
라이센스파일:라이센스 Pro.png
클럽말썽
[클럽 변천사]
ProFessionalTeam → 두두카클럽 → 말썽
카트라이더 리그
포지션RUNNER[1]
데뷔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22위, 팀전 6위
데뷔일2022년 3월 9일
831일째
소속Phase
(2022.02.26~2022.05.07)
Lunatic
(2022.07.23~2022.12.17)
[전환]

[1] 22-S 이전까진 HYBRID 포지션을 맡았다.[전환]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로 전환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1. 개요
2. 주요 입상 기록
3. 선수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별명
6. 여담
7. 카트라이더 기록
7.1. 대회 입상
7.2. 입상 실패 리그
8.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기록
8.1. 대회 입상
8.2. 입상 실패 리그
9. 타임어택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홍성민 주먹 세레모니.jpg
대한민국의 現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이머.


2. 주요 입상 기록[편집]


파일:KDL PRE 2 Luning CHAMPION.png
파일:KDL logo.pn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우승 기록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개인전 우승
이재혁
Zzz
홍성민
Luning
정규 시즌 전환

3. 선수 경력[편집]


홍성민의 선수 경력
[ 펼치기 · 접기 ]


4. 플레이 스타일[편집]


하이브리드로 표기된 선수지만, 주행이 좋은 러너 성향의 선수.[2] 페이즈 시절에는 크롬 버스트를 타고 미들 역할을 수행했으나, 세비지에서는 플라즈마를 타고 1번 러너 역할을 맡고 있다. 몸싸움도 준수한 편이라 앞에서 버텨주는 역할을 잘 하고 센스플레이와 회복력도 좋은 편이지만, 순위를 터뜨리기 위해 무리하다가 사고를 내고 쳐지는 경우도 많다.

아이템 역시 러너 성향이 강해 앞에서 달리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래서 케라우노스나 맷돌처럼 앞순위를 잡아줘야 하는 카트를 주로 탑승하는 편.

개인전은 주로 변칙적인 카트바디 선택을 즐긴다. 경험이 부족했을 때는 생각보다 승부수가 잘 안 통했지만, 금방 보완해서 우승까지 했다.

1대1은 예선이나 기타 대회에서 에결주자로 자주 나온 덕분에 경험이 생각보다 풍부하다. 본인이 앞순위를 잡는 것을 선호하며, 주행도 준수한 편이다. 잔실수가 많은 편이긴 하지만, 웬만한 실수는 금방 만회하고 뒤따라간다. 신인 선수들이 에결에서 긴장하다 실수로 자멸하는 경우가 많은데, 멘탈적으로 잘 극복하는 편이다.


5. 별명[편집]



6. 여담[편집]












7. 카트라이더 기록[편집]



7.1. 대회 입상[편집]


연도대회명순위비고상금
2020제2회 WeC 경기 국제 e-스포츠 대회 카트라이더우승영상5,000,000원 / 5= 1,000,000원
2021제13회 대통령배 KeG 카트라이더 부문 결승전준우승영상800,000원

7.2. 입상 실패 리그[편집]


연도대회명순위비고상금
2022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22위[5]
2022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팀전6위3,000,000 / 5= 600,000
2022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4위[6]8,000,000 / 5= 1,600,000
2022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4위[7]5,000,000 / 5= 1,000,000


8.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기록[편집]




8.1. 대회 입상[편집]


연도대회명순위비고상금
202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개인전우승비정규 리그₩ 10,000,000

8.2. 입상 실패 리그[편집]


연도대회명순위비고상금
202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개인전13위비정규 리그-
202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팀전7위비정규 리그₩ 2,000,000 / 5 = 400,000
202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팀전5위비정규 리그₩ 2,000,000 / 5 = 400,000
2023대전 레이싱 챌린지 팀전4위이벤트 리그₩ 250,000 / 5 = 50,000
2023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팀전4위[8]₩ 8,000,000 / 5 = 1,600,000
2023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개인전6위₩ 1,000,000

9. 타임어택[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감독공석
로스터
ACTIVESPEED AC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 최은성
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8. 황혁
SWEEP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 한승민
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홍성민
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 원종태
카트라이더 리그 참가팀 로스터





파일:KDL_ReBoot.pngReBoot
해체 당시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감독공석
로스터
ACTIVESPEED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정현
Load
RUN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재
DDing
MIDDL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래
Cosu
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민
Luning
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순우
Pure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참가팀 로스터


파일:KDL_Aura_white_logo.pngAURA
해체 당시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00:29에 나무위키 홍성민(프로게이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화권 기준[2]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선수들은 스위퍼 성향이 강하며, 러너 성향이 강한 선수는 김승태, 유창현, 배성빈 정도로 드물다.[3] 비정규 리그에서 하위 시드로 우승해, 시드의 이미지를 바꾼 선수는 듀얼 레이스 X 당시 그린 시드로 양대우승을 차지하며, 세대 교체의 시작을 알린 박인수가 있다. 홍성민 역시 차세대 BIG 3 후보로 엮이는 선수인점을 보면, 박인수의 행보와 비슷하지만 팀전 입상의 경험이 없다는 것이 차이다. 그러나, 박인수가 19 S1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리그의 인기가 절정이었을 때를 만든 점을 보면 홍성민도 박인수처럼 될수 있다는 여지는 남겨둔 셈이다. [4] 같은 팀이었던 박인수는 Insu, 이재혁은 Zzz, 송용준은 Knock이다. 이후 박인수는 KDL에서 InSoo로 변경했고, 이재혁은 프리시즌 1에서는 Zzz를 그대로 썼다가 시청자들의 지적을 받아 Cool로 변경했다.[5] 32강 D조 6위.[6] 준플레이오프 탈락.[7] 준플레이오프 패배.[8] 준플레이오프 패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