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우주의 조약돌

덤프버전 : (♥ 0)

우주의조약돌
Spacekids
파일:우주의 조약돌 아이콘.jpg
프로그램명우주의 조약돌
기간2022년~
주최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주)한화
주관KAIST •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협력기관과학책방 갈다
담당 교수진전은지 교수, 이대영 교수, 이전윤 교수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교육 프로그램
2.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2.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
2.3. 프로젝트 성과 발표회
2.4. Honor Club
3. 역대 프로그램
3.1. 우주의 조약돌 1기
3.2. 우주의 조약돌 2기
3.2.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3.2.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
3.2.3. 수료식 및 해외 탐방
3.2.4. 수료 학생
3.3. 우주의 조약돌 3기
3.3.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3.3.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박세린의 청국장 논란
4.2. 김범진의 팔짱 논란
4.3. 김시연과 안건우의 관계
5. 관련 기사
5.1. 1기
5.2. 2기
5.3. 3기



1. 개요[편집]


세상에 없던 우주 교육[1]

우주의 비밀과 무한한 가능성을 담은 우주의 조약돌. KAIST 교수진과 함께 우주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배우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키우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우주 과학자로 성장하게 됩니다.


2. 교육 프로그램[편집]



2.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편집]


과학 업계를 이끌어 나가는 과학자, 우주인, SF 작가, 연구원 등 다양한 강연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주제 토론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나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2.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편집]


KAIST 석・박사들의 팀프로젝트에 주로 쓰이던 개념설계 과정을 중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녹인 우주의 조약돌의 메인 프로그램입니다. 학생들이 직접 선정한 주제를 스스로 완성하는 팀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개념설계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2.3. 프로젝트 성과 발표회[편집]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진과 석・박사 멘토들이 학생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모으고 토론하는 발표 준비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엄청난 시너지와 팀워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과 프로젝트 성과물에 대해 논의하며 아이디어에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2.4. Honor Club[편집]


미래 우주 산업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과학 인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졸업생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KAIST 총장 수료증과 영재 교육원 수강권을 지원합니다. 또한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외 탐방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3. 역대 프로그램[편집]



3.1. 우주의 조약돌 1기[편집]


목적지는 달.


3.2. 우주의 조약돌 2기[편집]


"이번 목적지는 화성입니다"


3.2.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편집]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1차시] 김상욱 교수, 유현준 교수, 손상모 박사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2차시] 김초엽 작가, 궤도(인물), 배명훈 작가


3.2.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편집]


- 카이스트 및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2]
- 우주 미션 해결 위한 개념설계과정의 팀 프로젝트

프로젝트 주제 선정부터 논리 구체화, 과제 완료까지 자기 주도형 과정



3.2.3. 수료식 및 해외 탐방[편집]


카이스트 E9, 학술문화관에서 최종 발표 및 수료식 진행
일본으로의 해외 탐방. JAXA 견학, TeamLab, 도쿄타워 견학, 모리 마모루 박사의 강연, 도쿄대학교 석박사 멘토들의 강연 등이 있다.


3.2.4. 수료 학생[편집]


[ 펼치기 · 접기 ]
강민석[1]
김준엽
권규민
김로이
김민서
김민지
김범진[2]
김비찬
김성원
김시연[3]
김시현
김예서
김주하
김태랑
김현
김호현
박서연
박세린[4]
박효재
백종원
서연우
안건우
오신현
윤동규
이민제
이상은
이수호
이지나
장세린
정유진
정율리
정재황[5]
최민진
최재희
최정원
한명희
한지윤
홍서준
송시언
[1] 7팀[2] 팔짱논란[3] 강민석이 "생각해보니까 우리 만난지도 이제 1년이 다 돼 가네"라고 발언하자 "하지만 서로 알게된지는 4개월쯤ㅋ"이라며 '자기 팀원들하고 친하다고 느끼지 않았다는...'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4] 청국장 논란이 있다[5] 아버지의 사진기(?)를 일본에 가져갔다



3.3. 우주의 조약돌 3기[편집]


지구를 위한 우주기술


3.3.1.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편집]


과학과 인문학의 길을 먼저 걷고 있는 선배들과 함께 상상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3]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첫 번째 강연으로는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인물)가 토론의 장으로 초대되었다.
[1차[* 한화 빌딩에서 진행]] 손상모 박사, 장동선 박사
[2차[* 대전 카이스트 본원에서 진행]] 김상욱 교수, 정재승 교수


3.3.2. 중학생 맞춤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편집]


- 카이스트 및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4]
- 우주 미션 해결 위한 개념설계과정의 팀 프로젝트

프로젝트 주제 선정부터 논리 구체화, 과제 완료까지 자기 주도형 과정



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4.1. 박세린의 청국장 논란[편집]



4.2. 김범진의 팔짱 논란[편집]



4.3. 김시연과 안건우의 관계[편집]




5. 관련 기사[편집]



5.1. 1기[편집]


한화 스페이스 허브xKAIST '우주의 조약돌' 1기 경쟁률 47대 1
한화스페이스허브, '우주의 조약돌' 프로그램 1기 경쟁률 47대1


5.2. 2기[편집]


한화, 한국판 NASA 우주학교 '우주의 조약돌' 2기 선발…경쟁률 16대1
한화,'우주의 조약돌' 2기 수료식
한화, '우주의 조약돌' 2기 완료… 우주 인재 육성 인프라 구축


5.3. 3기[편집]


[과학게시판] 한화, 한국판 NASA 우주학교 '우주의 조약돌' 3기 모집 外
[과학게시판] 한화 '우주의 조약돌' 3기 모집… “우주 인재 발굴 육성 취지"
한화, '우주의 조약돌' 3기 모집…주제는 '지구를 위한 우주기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7 23:20:13에 나무위키 KAIST 우주의 조약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주의 조약돌 슬로건[2] 2023년 7월~12월[3] 2024년 7월~8월[4] 2024년 7월~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