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u 89

덤프버전 :

파일:jks.png
[ 융커스 항공기 목록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c0c0c0,#3f3f3f> 여객기 ||Ju 52Ju 90 ||
|| 수송기 ||Ju 52Ju 90G.38Ju 290 ||
|| 연락기 및 수상기 || ||
||<-2><bgcolor=#315288> 군용기 ||
|| 전투기 || ||
|| 급강하폭격기 및 공격기 ||Ju 87Ju 87G "Kanonenvogel"Ju 88P ||
|| 중(中)폭격기 ||Ju 52 ‧ Ju 86 ‧ Ju 88Ju 188Ju 288Ju 388Ju 287 ||
|| 중(重)폭격기 ||Ju 89Ju 390Ju 488 ||
|| 야간전투기 및 요격기 ||Ju 88R/GDuka-88 ||







파일:0ea3420fbb878b787a4f21da5dfd15fa.jpg
Junkers Ju 89

1. 개요
2. 제원
3. 개발 비화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Ju 89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융커스사가 제작한 중(重)폭격기였다. 시제기 2기가 만들어졌지만, 정식으로 양산되지는 못하고 모두 해체되고 만다.

파일:Ju89 flying.jpg
비행중인 Ju 89.


2. 제원[편집]


  • 승무원 : 5명
  • 길이 : 26m
  • 전폭 : 35m
  • 전고 : 7.6m
  • 자체 중량 : 17,164kg
  • 만재 중량 : 22,800kg
  • 엔진 : 다임러 벤츠 DB 600A V-12 역 공랭식 피스톤 엔진 4개
  • 출력 : 960 hp(720 kW)
  • 최고 속도 : 389.5km/h
  • 최대 고도 : 7,000m
  • 항속 거리 : 1,601km
  • 무장
    • 20mm MG FF 기관포 2문
    • MG 15 기관총 2정
    • 1,600kg 폭탄


3. 개발 비화 [편집]


1933년, 독일의 장성 발터 베버는 훗날 독일의 전쟁에 쓰일 새로운 중폭격기/전략 폭격기의 개발을 건의하였다. 이윽고 도르니에 사와 융커스 사가 서로 경합에 들어가는데, 이때 도르네어 사는 Do 19를 개발했고, 융커스 사는 Ju 89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1936년, 두 회사가 모두 시제기를 완성할 때쯤 하필이면 비행기 추락 사고로 발터 베버가 사망하고 만다. 이후 그의 후임이었던 알베르트 케셀링이나 에른스트 우데트, 한스 예쇼네크 등은 Ju 87 등의 소형 폭격기가 중심이 되는, 공군의 자체적인 작전보다는 육군을 지원하는 목적의 공군, 즉 전술 공군을 추구하였고, 결국 Do 19와 Ju 89는 그대로 묻히고 만다.

비록 중폭격기 프로젝트를 시작한 베버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로도 Ju 89의 개발은 계속해서 진행되었고, 1937년에는 초도 비행에 성공한다. 심지어 1938년에는 폭탄을 달고 한 시험 비행도 실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10,000kg의 폭탄을 달고 무려 고도 7천 2백여 미터까지 올라가는 대기록도 세운다. 하지만 전술했듯이 케셀링을 위시한 공군 장성들은 중폭격기 개발에 일체 관심이 없었고, 결국 1939년, 만들어진 시제기 두 기는 모두 스크랩된 다음 전쟁 물자로 징발되고 만다. 단 일부 자료에서는 Ju 89가 스크랩되지 않고 노르웨이에서 계속 쓰였다고도 한다.

최근에 밝혀진 설로는, 의외로 나치독일의 장성들 역시 기존 전술폭격기의 빈약한 폭장량을 문제삼고 있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우수한 비행성능을 보였던 Ju 88 쌍발폭격기의 설계를 기반으로 대형화 시킨 4발엔진 폭격기의 개발을 추진하려고 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시험비행 과정에서 4발폭격기들의 이착륙시 기체가 심하게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계속 보고되었고, 이 문제를 해결할 시간도 돈도 없었기에 프로젝트 자체를 폐기한 것이라고.


4.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