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Story Cup Ⅸ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이모저모
3. 예선
4. 본선
4.1. 출전자
4.2. 일정
4.2.1. 1라운드
4.2.2. 2라운드
4.2.3. 결선 라운드
5. 결과
6. 통계
7. 총평


1. 개요[편집]




2. 이모저모[편집]


스타크래프트 2로 전향한 송병구의 첫 해외 대회이다.[1]

3. 예선[편집]


예선에서 선발하는 숫자가 크게 늘었다. 한국·북미를 대상으로 각 2명씩, 그리고 유럽을 대상으로 4명을 선발한다.
송병구가 한국 예선을 뚫었다. 그것도 우승. 송병구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음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예선을 통과한 8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8인 토너먼트를 열었는데, 우승자는 독일까지의 경비를 지원받는다. 돈 들이지 않고 독일로 가게 된 행운아는 박진혁이 되었다.

4. 본선[편집]



4.1. 출전자[편집]


테란 파일:TerranIcon.png저그 파일:ZergIcon.png프로토스 파일:ProtossIcon.png
지역소속국적성명지역소속국적성명지역소속국적성명
초청America(무소속)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지성America파일:800px-EG.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제동America파일:800px-EG.png파일:미국 국기.svgGeoff Robinson
America파일:600px-Team_liquid_logo_2017.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Taeja
윤영서
Europe파일:800px-Mouz_logo.png파일:독일 국기.svgDennis Schneider
한국
예선 통과
Korea파일:삼성갤럭시1.jpg파일:대한민국 국기.svgArmani
박진혁
Korea파일:삼성갤럭시1.jpg파일:대한민국 국기.svgStork
송병구
북미
예선 통과
America(무소속)파일:대한민국 국기.svgPolt
최성훈
America(무소속)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동환
유럽
예선 통과
Europe(무소속)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병현Europe파일:IsIMBA.jpg
NewRoSoft
파일:독일 국기.svgMarvin Gebhart
Europe파일:Imaginary_Gaming_Logo.png
Imaginary Gamin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Kristoffer Marthinsen
Europe파일:Teamrevo.jpg
Punchline ESC
파일:프랑스 국기.svgSébastien Lebbe

4.2. 일정[편집]


대회 방식은 GSL 코드 S와 완전히 같다. 단, 준결승전은 7전제가 아닌 5전제이며, 3·4위전이 따로 있다.

4.2.1. 1라운드[편집]


A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TLO20iNcontorL
2경기문성원20BlinG
승자전TLO21문성원
패자전iNcontroL02BlinG
최종전문성원20BlinG

B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HeRoMaRinE12정지훈
2경기NightEnD02TragA
승자전정지훈20TragA
패자전HeRoMaRinE21NightEnD
최종전TragA02NightEnD

C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Harstem21FireCake
2경기장민철21Dayshi
승자전Harstem02장민철
패자전FireCake02Dayshi
최종전Harstem12Dayshi

D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Snute20White-Ra
2경기송병구20DeMusliM
승자전Snute21송병구
패자전White-Ra21DeMusliM
최종전송병구20White-Ra

E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최지성20Ret
2경기ToD02정우준
승자전최지성12정우준
패자전Ret21ToD
최종전최지성21Ret

F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Socke02이제동
2경기MaNa12최병현
승자전이제동21최병현
패자전Socke02MaNa
최종전최병현02MaNa

G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박진혁20HasuObs
2경기Bunny20Stephano
승자전박진혁21Bunny
패자전HasuObs21Stephano
최종전Bunny02HasuObs

H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윤영서20roof
2경기조지현02Scarlett
승자전윤영서12Scarlett
패자전roof02조지현
최종전윤영서20조지현

4.2.2. 2라운드[편집]


A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TLO02최지성
2경기Scarlett02송병구
승자전최지성20송병구
패자전TLO12Scarlett
최종전[송병구02Scarlett

B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정지훈21MaNa
2경기박진혁21Dayshi
승자전박진혁12정지훈
패자전Dayshi20MaNa
최종전박진혁12Dayshi

C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장민철12HasuObs
2경기NightEnD02이제동
승자전HasuObs12이제동
패자전장민철NightEnD
최종전

D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Snute21윤영서
2경기정우준02문성원
승자전Snute12문성원
패자전윤영서20정우준
최종전Snute02윤영서

4.2.3. 결선 라운드[편집]


5판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1차전~5차전까지 맵 순이다. 미리 선취점 3점에 성공한 경우에는 뒷 경기들은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8강전
선수승점승점선수날짜
1경기이제동23TaejaFrost(이제동 승)-Merry Go Round(Taeja 승)-Waystation(이제동 승)-Habitation Station(Taeja 승)-Overgrowth(Taeja 승)2014년 6월 8일 오후 3시(현지 시각)
2경기MMA13ScarlettHabitation Station(Scarlett 승)Overgrowth(MMA 승)King Sejong Station(Scarlett 승)Waystation(Scarlett 승)2014년 6월 8일 오후 4시 45분(현지 시각)
3경기Bomber23Dayshi2014년 6월 8일 오후 3시 15분(현지 시각)
4경기jjakji03MC2014년 6월 8일 오후 5시 10분 (현지 시각)

준결승전
선수승점승점선수날짜
1경기Taeja3Scarlett1
2경기Dayshi1MC3


결승전
선수승점승점선수날짜
Taeja4MC0

5. 결과[편집]


순위상금포인트성명
우승$10000750점윤영서
준우승$6500500점장민철
3위$3000375점Scarlett
4위$2000Dayashi
5위$875250점이제동문성원
최지성정지훈
9위125점SnuteHasuObs
박진혁송병구
13위정우준NightEnD
MaNaTLO

6. 통계[편집]



7. 총평[편집]


단기 대회 최강자 윤영서. 홈스토리컵 3연패에 성공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2:24:00에 나무위키 HomeStory Cup 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타크래프트1 시절 메이저급 해외대회로는 WCG에 출전한 적은 있다. 그것도 금메달.그 밖에 ief나 블리즈컨에서도 좋은성적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