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ffin/오버워치/2017년 11월 이전

덤프버전 : r20210301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Griffin/오버워치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임단 GriffinKONGDOO PANTHERA/Cloud9 KONGDOO로 활동하던 2017년 11월 이전까지의 대회 기록을 다룬 문서.


2. KONGDOO PANTHERA (2016.09. ~ 2017.09.20.)[편집]



2.1. 인텔 오버워치 APEX 시즌 1[편집]


인텔 오버워치 APEX 시즌 1 16강에 진출하였으나 1승 2패 조 3위로 탈락했다. LW BLUEREUNITED에게 2연패를 당하며 탈락이 확실시된 상황에서 RunAway를 잡아내는 이변 아닌 이변을 일으키며 RunAway를 8강 문턱에서 좌절시켰다. APEX 논개 그와 동시에 조 3위를 하면서 승강전을 치르지 않게 되었다.

2016년 10월 중국의 오버워치 대회인 오버워치 넥서스컵 할로윈 시즌에서 무패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같은 해 12월에 열린 IEM Season XI - Gyeonggi에서 대회 우승팀인 LW RED에게 0:3 셧아웃 패배를 당하며 첫 경기인 8강에서 다시 탈락하고 말았다. 2회 연속 APEX 승강전에서 탈락한 LW RED이지만, 여러모로 칼을 갈고 나왔으며, 끊임없는 변수 창출을 통해 판테라를 압도했다. 다만 실험적인 요소가 자주 보였던[1] 이번 대회인만큼 Rascal이 본인의 주 영웅인 솜브라파라가 아닌 메이를 들고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실험적인 요소가 있었던 경기인만큼 크게 상심하진 않은듯.

2016년 12월 28일 2016 오버워치 넥서스컵 Grand Finals 결승에서 형제팀인 콩두 운시아를 4:0으로 꺾으며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메타 적응을 끝마쳤고, 포지션별로 부족한 점 하나 없었기 때문에 APEX 시즌 2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다만 판테라가 유독 넥서스컵에만 강했다는 것은 함정.


2.2.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2[편집]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2에선 절치부심하여 FnaticRunAway를 둘다 3:0으로 완파하여 2승 고지를 선점, 사실상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7년 2월 21일 Flash Lux를 3:0으로 완파, 무실세트라는 기록으로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어 8강 첫 상대인 LW BLUE를 상대로 패패승승승 3:2 역전승을 거두며 승자전에 선착해 Meta Athena를 상대했으나, 팀워크와 영웅폭 측면에서 압도적인 기량을 자랑하는 메타 아테나의 체계적이고 변칙적인 전략에 말려들어 0:3 완패를 당했다.

그리고... 마지막 준결승 티켓을 두고 벌어진 LW BLUE와의 리턴매치에서는 EVERMORE를 비롯한 선수들의 연이은 실수에 의해 1:3으로 패하며 4강행이 좌절되고 말았다. 이미 8강 1차전에서 꺾어본 팀에게 리벤지를 당한 것인지라 더욱 뼈아픈 패배. 게다가 자신들이 조별예선에서 꺾은 바 있는 RunAway가 전략을 수정한 뒤 형제팀인 콩두 운시아와 아시아 랭킹 1위 팀 루나틱 하이를 제압하고 4강에 선착한 것도 모자라, 자신들을 좌절시킨 LW를 접전 끝에 꺾고 결승에 선착한 것을 생각한다면 더욱 씁쓸한 결과. 선수들 개개인의 측면에 있어서는 이전에 비해 발전한 기량을 보여주었으나, 결정적인 순간에 팀워크 부재로 좌절하며 전 시즌에 보여주었던 팀워크와 멘탈 관리 문제를 다시금 해결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다음 시즌을 준비하게 되었다.


2.3.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3[편집]


APEX 시즌 3을 앞두고 리빌딩이 진행되었다. DPS 자리에 Birdring이 운시아에서 넘어왔고, 서브탱커 자리에 Void가 합류, wakawaka가 메인힐러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개막전이었던 루나틱전에서는 아쉽게 2:3으로 역스윕 패배했다. 다음 경기에서 Rogue#s=3.2를 상대로 한국 팀과 해외 팀의 수준차를 보여주며 3:1로 승리했으나 승격팀 Mighty AOD에게 2:3으로 패배, 세트득실로 조 2위에 진출했지만 16강을 찜찜하게 마무리하게 되었다.

8강에서 죽음의 조에 배정되었지만 조 1위로 4강에 진출했다. 첫 상대로 다시 만난 루나틱 하이를 3대1로 제압하며 승자전에 올라갔고, 이어진 승자전에서 Janus가 빠진 LW BLUE를 상대로 3:1로 승리했고, 4강에서 EnVyUs를 상대하게 된다.

4강전에서 EnVyUs를 4대0으로 완벽하게 제압하며 사상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고[2], 결승에서 루나틱 하이를 만나게 되었다.[3] 그리고 결승에서, 에이펙스 최고의 명승부를 보여주며 마지막 세트까지 갔으나, 결국 패배하고 만다.


2.4.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편집]


APEX 시즌 4 진행 도중에 오버워치 리그 런던 연고지를 구매한 Cloud 9오버워치 리그 참가를 목적으로 KONGDOO PANTHERA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 이에 따라 8강 도중[4]부터는 Cloud9 KONGDOO로서 시즌을 진행했다.


3. Cloud9 KONGDOO (2017.09.20. ~ 2017.11.04.)[편집]


파일:Cloud9 KONGDOO.png
클라우드 나인 콩두
Cloud9 KONGDOO
감독권평 / Danan Flander(Danan)
코치김정민(JFeel) / 이범준(Bishop)
팀명 환원 전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메인 DP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혁
birdr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영민
Curious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서브 DP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준
Rascal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메인 T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찬형
Fissure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서브 T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준우
Void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메인 SU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지호
wakawak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지훈[L]
Quatermain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서브 SU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승태
Bdosin


3.1.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편집]


APEX 시즌 4의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다. 16강과 8강에서 5전 전승을 거두며 무난히 4강에 올라섰고, C9과 함께 OWL의 런던 팀에 입성한다는 좋은 소식까지 들려오면서 루나틱 하이가 8강에서 떨어진 지금이 최고의 우승 기회라고 많은 팬들이 기대했다. 그러나 4강 상대는 그 루나틱을 6:0으로 짓밟고 올라온 GC Busan이었고, 그래도 콩두가 유리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4:0으로 완패를 당하면서 3-4위전으로 떨어졌다.

3-4위전에서 RX Foxes를 이기며 체면은 지켰으나, 결국 시즌 3의 3위 팀 Afreeca Freecs의 데자뷰를 보여주고 말았다. Rascal, Bdosin과 팬덤 간 갈등 및 Void 관련 논란[5]과 더불어 팀의 분위기가 좋지만은 않았던 걸 생각하면 오히려 3위를 한 게 그나마 다행일 수도 있지만[6], 그래도 APEX 우승을 못 하고 오버워치 리그로 가게 되었기에 여러모로 아쉽게 되었다.


3.2. 서울컵 OGN 슈퍼매치 2017[편집]


파일:c9kongdoo.png
서울컵 OGN 슈퍼매치 당시 로스터. 콩두 운시아QuarterMain이 잠시 C9 KONGDOO로서 뛰었다. 4강에서 무난하게 Lucky Future를 물리쳤으나 결승에서는 루나틱에게 패배. 이후 멤버들은 예정대로 런던 스핏파이어에 합류했으나, 입단할 예정이었던 보이드와 와카와카는 입단하지 못하고 낙오되고 말았으며,[7] 큐리어스는 입단을 포기하고 배틀그라운드로 전향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4명만이 런던 스핏파이어에 입단하게 되었다. 10월 25일 올라온 공지에 따르면, Cloud9과의 계약이 끝나면서 팀명이 콩두 판테라로 환원되었으며, 운시아를 합병한 단일 팀으로 활동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고 리빌딩 결과를 공개했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8년 이후의 대회 기록에 대한 내용은 Griffin/오버워치 문서
3번 문단을
Griffin/오버워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편집]


오버워치 넥서스컵에서만 강하고 오버워치 APEX에서는 영 아니라는 평도 받았으나 시즌이 진행될수록 성적이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APEX 시즌 4에서 유일한 라이벌이었던 루나틱하이가 8강에서 GC 부산에게 연달아 패배하면서 몰락해버린 시점에서 에이펙스의 최강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그런데 본인들도 그 부산에게 0:4 셧아웃을 당하면서 동병상련의 처지가 되었다. 그리고 귀신같이 이번시즌을 끝으로 에이펙스를 떠나는 두팀

이벤트 매치인 서울컵에서는 루나틱과 결승에서 중간에 팀합이 살아나는 모습도 보이며 잘 싸웠지만 결과적으로 리빌딩 중인 루나틱에게 패배했다. 리그전에서 성적은 앞으로 과제로 남게 되었다.


5. 관련 문서[편집]



[1] Lunatic-Hai류제홍은 본인의 약점이라고 여겨지는 위도우메이커를 들고 나왔다![2] 시즌 1 16강 탈락, 시즌 2 8강 탈락을 생각하면 엄청난 기세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이걸로 APEX 시즌 3에서만 루나틱 하이와 3번 만난다!!![4] 당시 팀은 8강 A조였으며, 9월 21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기에 A조 2경기부터 Cloud9으로 출전하게 되었다.[L] KONGDOO UNCIA에서 임대[5] 강준우(프로게이머) 문서의 논란 문단 참조.[6] 당시 분위기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4강전에서 신생팀인 부산에게 응원전에서 밀렸다. 물론 부산이 루나틱을 2연속 스윕한 이후 부산 팬들이 늘어난 것도 있지만, 그것을 논하기 이전에 콩두 팬들의 함성이 너무나도 작았다.[7] 이후 보이드는 약 5개월 뒤 LA 글래디에이터즈에 입단하여 오버워치 리그 입성에 성공했으나, 와카와카는 서울컵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은퇴를 선언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