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C(자동차)

덤프버전 : (♥ 0)

분류


GMC
파일:GMC 로고.svg
정식 명칭GMC Division of General Motors LLC
한국어 명칭제너럴 모터스 유한책임회사 GMC 사업부
설립일1911년 7월 22일 (112주년)
설립자윌리엄 C. 듀런트
본사 소재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시간, 디트로이트
업종자동차 제조
소유제너럴 모터스
홈페이지미국 공식 홈페이지
대한민국 공식 홈페이지
SNS미국 공식 인스타그램
대한민국 공식 유튜브
대한민국 공식 인스타그램

We Are Professional Grade.

북미 및 주요 판매국의 캐치프레이즈.[1]

1. 개요
2. 특징
3. 대한민국 공식 진출
4. 생산차량
5. 단종된 차량
6. 콘셉트 카




1. 개요[편집]



제너럴 모터스의 SUV 및 상용차 브랜드. 주로 SUV, , 픽업트럭, 버스, 트럭을 생산한다.[2] 이름은 General Motors Commercial 또는 General Motors Truck Company의 약자. 생산 차량은 다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브랜드들이 그렇듯 같은 플랫폼으로 만들어진다.


2. 특징[편집]


이 브랜드의 차들은 대부분 쉐보레에도 비슷한 형제 차량이 있다. 심지어 두 차량을 같은 공장과 생산 라인에서 제작한다. 그럼에도 2008년에 허머, 폰티악, 새턴 등 GM 산하의 브랜드들이 썰려나갈 때 유지되었다. 쉐보레와의 차이점은 브랜딩인데, GMC의 SUV/픽업트럭은 판매가 40,000달러 이상의 고급 트림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쉐보레는 좀 더 다양한 타입들을 판매하며 SUV/픽업트럭도 판매가 20,000~30,000달러 대의 대중적인 트림에 비중을 두고 있다.[3] 같은 공장에서 제조하기는 하나, 깨알같이 쉐보레 브랜드로 나오는 SUV/트럭들의 최종 검사 항목 개수는 100개 미만인데 비해 GMC 브랜드로 나올 경우 120개 항목이다. 또한 스펙상으로도 헷갈릴 만큼 두 회사의 차량은 비슷하지만, 의외로 고객층은 그다지 겹치지 않는다고 한다. 즉, 쉐보레보다 GMC가 더 고급차량으로 간주된다.

국내의 나이 지긋한 어르신과 군 수송병 일부가 가끔 '제무씨'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일본식 독음인 '지 에무 시'에서 나온 것이다. 과거 6.25 전쟁 전후로 미군을 통해 GMC 트럭이 국내에 꽤 들어왔기 때문에 옛 세대들은 비교적 친숙한 브랜드이다.(CCKW 참고) 참고로 CCKW는 대부분 1940년대에 제작되었으며, 시골에서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다닌다. 더 놀라운 건 통나무를 잔뜩 싣고도 높은 경사로를 잘 올라간다. 물론 오래된 연식 탓인지 승차감은 안좋고 편의 기능도 없다. 낮은 연비는 덤. #

그 외에도 1970년경에 그레이하운드가 한국에 진출했을때 미국에서 운행되었던 GMC PD-4501 중고차를 들여와서 1980년대 초반 까지 운행한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일명 개그린버스로 불리우기도 했었다.

1970년에 기아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대한민국에 진출하려 했으나 무산됐고, 2년 후인 1972년에 신진자동차와 GM이 50:50 합작으로 GM코리아를 설립하면서 GM코리아를 통해 1974년경에 GMC 9500 34톤 트랙터를 잠시 수입했던 적이 있었다. # 하지만 당시 국내 대형 트랙터 시장은 미쓰비시 후소, 이스즈, 히노, 닛산 디젤 같은 일본산 차량들이 꽉 잡고 있던 시절이라서 그리 많이 팔리지는 않았다.


3. 대한민국 공식 진출[편집]


2022년 6월 22일, GM 한국사업장이 개최한 GM 브랜드 데이를 통해 GMC 시에라를 공개하며 GMC의 대한민국 정식 진출을 알렸다. 이후 2022년 11월 12일에 개최된 GM 미래 성장 미디어 간담회를 통해 2022년 중 도입을 예고했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연기되어 2023년 2월 7일에 대한민국에 브랜드 출범과 동시에 GMC 시에라를 출시했다.

추후에도 타 GMC 차량도 대한민국에 판매할 생각이 있는 듯하다. 대표적으로 GMC 허머 EV.


4. 생산차량[편집]


||


  • 터레인[4]
  • 아카디아[5]
  • 유콘/유콘 XL[6]
  • 캐니언[7]
  • 시에라[8]
  • 시에라 EV
  • 사바나[9]
  • 허머 EV[10]


5. 단종된 차량[편집]


  • CCKW
  • DUKW
  • M35
  • 셰베트
  • 엔보이
  • 지미
  • 타이푼[11]
  • 소노마
  • 사이클론[12]
  • 사파리
  • 밴듀라[13]
  • RTS[14]
  • 톱킥[15]
  • 200 스테이크 트럭
  • 집시
  • 한디밴
  • 100 시리즈
  • 지미
  • 모터홈[16]


6. 콘셉트 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MC/콘셉트 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20:18:16에 나무위키 GMC(자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계속 써먹고 있다.[2] 홈페이지에서는 SUV와 밴, 픽업트럭 모델만 소개하고 있는데, 버스와 대형트럭 부문은 타 회사에 매각하였기 때문이다.[3] 주력 트림이 다르다는 거지, 비슷한 트림을 산다고 가정한다면 가격 차이는 거의 나지 않는다.[4] 쉐보레 이쿼녹스뷰익 엔비전, 캐딜락 XT4의 형제 격인 차.[5] 쉐보레 트래버스뷰익 엔클레이브, 캐딜락 XT6의 형제 격인 차.[6] 쉐보레 타호/서버번,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에스컬레이드 ESV의 형제 격인 차.[7] 쉐보레 콜로라도리뱃징 차량.[8] 쉐보레 실버라도리뱃징 차량.[9] 쉐보레 익스프레스리뱃징 차량.[10] 2021년 공개된 전기차.[11] 사이클론의 SUV 버전.[12] 위 소노마의 고성능 버전으로, 4.3리터 V6 엔진과 4륜구동을 얹었다. 무려 제로백 4.6초의 괴물로, 당대 머스탱, 콜벳을 직선주로에서 이길 정도였다.[13] A특공대에 등장하는 개조된 밴이 이 차량이다.[14] 자일대우버스BH115가 이 차량의 디자인을 참고해 만들어졌다.[15]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아이언하이드의 비클 모드로 나온다. 단종 후에는 실버라도의 샤시캡 HD 사양으로 일원화되었다.[16] 1973~1978년 사이 생산된 전륜구동 원박스 캠핑카. 당시 캐딜락 엘도라도, 올즈모빌 토로나도와 함께 GM에서 몇 없는 전륜구동 라인업이었다. 벤10 시리즈에서 맥스 테니슨이 타는 캠핑카 '러스트 버킷'의 베이스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