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LEAGUE Major: Boston 2018

덤프버전 :

CS:GO Major Championship
파일:PGL_Major_Krakow_2017_Logo.png
PGL Major Kraków 2017
파일:ELEAGUE_icon.png
ELEAGUE Major: Boston 2018
파일:FACEIT_Major_icon.png
FACEIT Major: London 2018
ELEAGUE Major: Boston 2018 우승팀
Gambit EsportsCloud9Astralis
ELEAGUE Major: Boston 2018 MVP
다우렌 키스타우바예프
(AdreN)
타릭 셀릭
(tarik)
니콜라이 릿츠
(dev1ce)

파일:ELEAGUE-Major-Boston-Esports-CSGO-Counter-Strike-Schedule-Dates-Ticket-626x314.jpg
ELEAGUE Major: Boston 2018
주최파일:ELEAGUE-logo.png
후원파일:밸브 코퍼레이션 로고.svg
(대회 스폰서) 에일리언웨어 / HyperX / 미합중국 공군
경기 형식스위스 라운드 (챌린저스 / 레전드 스테이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챔피언 스테이지)
본선 기간챌린저스 스테이지
2018년 1월 12일 ~ 1월 15일
레전드 스테이지
2018년 1월 19일 ~ 1월 22일
챔피언 스테이지
2018년 1월 26일 ~ 1월 28일
대회 장소챌린저스 / 레전드 스테이지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란타 E-리그 아레나
챔피언 스테이지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Agganis Arena
참가팀24팀
총 상금$1,000,000
우승 상금$500,000
중계영어

1. 개요
2. 대회진행
2.1. 참가팀
2.1.2. 첼린저스 스테이지
2.1.2.1. 라운드 1
2.1.2.2. 라운드 2
2.1.2.3. 라운드 3
2.1.2.4. 라운드 4
2.1.2.5. 라운드 5
2.1.2.6. 패자부활전[1]
2.1.3. 레전드 스테이지
2.1.3.1. 라운드 1
2.1.3.2. 라운드 2
2.1.3.3. 라운드 3
2.1.3.4. 라운드 4
2.1.3.5. 라운드 5
2.1.4. 챔피언 스테이지
2.1.4.1. 8강
2.1.4.2. 4강(준결승)
2.1.4.3. 결승
2.2. 결과
2.3. 총평
2.4. 여담
3. 하이라이트



1. 개요[편집]


밸브가 후원하는 PC게임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의 12번째 메이저 대회.

총 16팀이 참가했던 이전 대회들과 달리, 기존의 최종 예선까지 본선에 포함시켜 총 24팀이 참가한다. 대회 진행 방식은 사실상 이전 대회들과 같다. Challengers Stage는 이전의 최종 예선에 해당되며, 지역 예선을 통과한 8팀과 이전 대회 그룹 스테이지 탈락팀 8팀이 경쟁한다. 여기서 상위 8팀은 기존의 그룹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New Legends Stage에서 이전 대회 8강 진출팀 8팀과 경쟁한다. 여기서 다시 상위 8팀은 기존의 플레이오프에 해당하는 New Champions Stage에 진출한다.

Challengers Stage와 New Challengers Stage는 Swiss Format이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승패 수가 같은 팀끼리 경기를 해서 총 3승을 하면 다음 스테이지 진출, 총 3패를 하면 탈락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6팀 모두가 각자 1 경기씩 하면 1승 팀과 1패 팀이 생긴다. 여기서 1승 팀들은 1승 팀들끼리, 1패 팀들은 1패 팀들끼리 두번째 경기를 한다. 그러면 2승 팀, 1승 1패 팀, 2패 팀이 생긴다. 그 다음 세번째로 2승 팀들끼리, 1승 1패 팀들끼리, 2패 팀들끼리 경기를 한다. 여기서 3승/3패 팀은 진출/탈락하고 나머지 팀들은 같은 방식으로 경기를 이어나간다. 이런 식으로 해서 3승 팀, 3승 1패 팀, 3승 2패 팀은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하고 2승 3패 팀, 1승 3패 팀, 3패 팀은 탈락한다. New Champions Stage부터는 흔히 알고 있는 토너먼트 방식, 즉 8강-4강-결승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3세트 2선승제이다.


2. 대회진행[편집]



New Challengers Stage
(스위스 라운드)
New Legends Stage
(스위스 라운드)
New Champions Stage
(싱글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2.1. 참가팀[편집]


구분팀명플레이어이전 대회 성적
이전 대회 8강 진출팀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Gambit Esports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HObbit, 파일:러시아 국기.svg Dosia,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fitch,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AdreN,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mou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100 Thieves[2]파일:브라질 국기.svg HEN1, 파일:브라질 국기.svg LUCAS1, 파일:브라질 국기.svg kNgV-, 파일:브라질 국기.svg fnx, 파일:브라질 국기.svg BIT준우승
파일:덴마크 국기.svg Astralis파일:덴마크 국기.svg gla1ve, 파일:덴마크 국기.svg dev1ce, 파일:덴마크 국기.svg dupreeh, 파일:덴마크 국기.svg Xyp9x, 파일:덴마크 국기.svg Kjaerbye4강
파일:폴란드 국기.svg Virtus.pro파일:폴란드 국기.svg NEO, 파일:폴란드 국기.svg TaZ, 파일:폴란드 국기.svg pashaBiceps, 파일:폴란드 국기.svg Snax, 파일:폴란드 국기.svg byali4강
파일:브라질 국기.svg SK Gaming파일:브라질 국기.svg coldzera, 파일:브라질 국기.svg FalleN, 파일:브라질 국기.svg fer, 파일:브라질 국기.svg TACO, 파일:브라질 국기.svg felps8강
파일:스웨덴 국기.svg Fnatic파일:스웨덴 국기.svg Golden, 파일:스웨덴 국기.svg Lekr0, 파일:스웨덴 국기.svg KRIMZ, 파일:스웨덴 국기.svg JW, 파일:스웨덴 국기.svg flusha8강
파일:독일 국기.svg BIG파일:독일 국기.svg gob b, 파일:독일 국기.svg tabseN, 파일:독일 국기.svg nex, 파일:독일 국기.svg keev, 파일:독일 국기.svg LEGIJA8강
파일:덴마크 국기.svg North파일:덴마크 국기.svg cajunb, 파일:덴마크 국기.svg MSL, 파일:덴마크 국기.svg k0nfig, 파일:덴마크 국기.svg valde, 파일:덴마크 국기.svg aizy8강
이전 대회 조별리그 탈락팀파일:프랑스 국기.svg G2 Esports파일:프랑스 국기.svg shox, 파일:프랑스 국기.svg NBK-, 파일:프랑스 국기.svg kennyS, 파일:프랑스 국기.svg apEX, 파일:프랑스 국기.svg bodyy9~11위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FlipSid3 Tactics파일:러시아 국기.svg WorldEdit,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B1ad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markeloff, 파일:핀란드 국기.svg wayLander, 파일:러시아 국기.svg seized9~11위
파일:미국 국기.svg Cloud9파일:미국 국기.svg tarik, 파일:미국 국기.svg Skadoodle, 파일:미국 국기.svg Stewie2K, 파일:미국 국기.svg autimatic, 파일:미국 국기.svg RUSH9~11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Natus Vincere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Edward,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1mple, 파일:러시아 국기.svg flamie,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Zeus, 파일:러시아 국기.svg electronic12~14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mousesports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STYKO,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ropz,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hrisJ, 파일:체코 국기.svg oskar, 파일:핀란드 국기.svg suNny12~14위
파일:독일 국기.svg Sprout[3]파일:독일 국기.svg kRYSTAL, 파일:폴란드 국기.svg innocent, 파일:핀란드 국기.svg zehN, 파일:독일 국기.svg denis, 파일:독일 국기.svg Spiidi12~14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FaZe Clan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NiKo, 파일:덴마크 국기.svg karrigan,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ain, 파일:스웨덴 국기.svg olofmeister,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GuardiaN15~16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Vega Squadron파일:러시아 국기.svg Mir, 파일:러시아 국기.svg Keshandr, 파일:러시아 국기.svg hutji, 파일:러시아 국기.svg choppe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jR15~16위
아시아 예선 우승파일:호주 국기.svg Renegades파일:호주 국기.svg jks, 파일:호주 국기.svg AZR, 파일:호주 국기.svg USTILO, 파일:미국 국기.svg Nifty, 파일:캐나다 국기.svg NAF최종 예선 12~14위
아시아 예선 3위[4]파일:중국 국기.svg Flash Gaming파일:중국 국기.svg Summer, 파일:중국 국기.svg AttackeR,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kaze, 파일:중국 국기.svg karsa, 파일:중국 국기.svg LOVEYY아시아 예선 4위
CIS 예선 우승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AVANGAR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Buster,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KrizzeN,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Qikert,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dimasick, 파일:러시아 국기.svg Jame
CIS 예선 준우승파일:러시아 국기.svg Quantum Bellator Fire파일:러시아 국기.svg balblna, 파일:러시아 국기.svg jmqa, 파일:러시아 국기.svg waterfaLLZ, 파일:러시아 국기.svg Boombl4,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Kvik
유럽 예선 우승파일:튀르키예 국기.svg Space Soldiers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AJ3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XANTARE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Caly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paz,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ngiN
유럽 예선 준우승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EnVyUs파일:프랑스 국기.svg Happy, 파일:프랑스 국기.svg SIXER, 파일:프랑스 국기.svg RpK, 파일:프랑스 국기.svg xms, 파일:벨기에 국기.svg ScreaM유럽 예선 4위
아메리카 예선 우승파일:미국 국기.svg Team Liquid파일:미국 국기.svg jdm64, 파일:미국 국기.svg EliGE, 파일:미국 국기.svg nitr0, 파일:캐나다 국기.svg Twistzz, 파일:브라질 국기.svg zews[5]최종예선 9~11위
아메리카 예선 준우승파일:미국 국기.svg Misfits파일:미국 국기.svg seang@res, 파일:미국 국기.svg ShahZaM, 파일:미국 국기.svg SicK, 파일:프랑스 국기.svg AmaNEk, 파일:프랑스 국기.svg devoduvek


2.1.1. ELEAGUE Major 2018/지역 예선 마이너 결과[편집]


오프라인 최종 예선 진출팀
  • 아시아: 파일:호주 국기.svg Renegades, 파일:중국 국기.svg TYLOO[6]파일:중국 국기.svg Flash Gaming[7]
  • CIS: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AVANGAR, 파일:러시아 국기.svg Quantum Bellator Fire
  • 유럽: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Space Soldiers, 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EnVyUs
  •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Team Liquid, 파일:미국 국기.svg Misfits

오프라인 최종 예선 탈락팀
  • 아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The Mongol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VP PK, 파일:호주 국기.svg Kings Gaming Club,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B.O.O.T-d[S], 파일:호주 국기.svg Tainted Minds
  • CIS: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Tengri, 파일:러시아 국기.svg Team Spirit,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pro100, 파일:러시아 국기.svg forZe,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Nemiga Gaming,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NOTBAD
  •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OpTic Gaming, 파일:폴란드 국기.svg AGO Gamin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Windigo Gaming[8], 파일:스웨덴 국기.svg GODSENT, 파일:폴란드 국기.svg PRIDE,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eXtatus
  •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CLG, 파일:미국 국기.svg Complexity Gaming, 파일:미국 국기.svg NRG Esports, 파일:브라질 국기.svg Luminosity Gaming, 파일:캐나다 국기.svg Rise Nation, 파일:브라질 국기.svg TeamOne


2.1.2. 첼린저스 스테이지[편집]


순위팀명승패라운드 득실득실차라운드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5
1-2파일:C9logo_std.pngCloud93-048 - 21+27EnVySproutmouz
1-2파일:G2esplogo_std.pngG2 Esports3-051 - 32+19FlashMisfitsVega
3-5파일:FaZe_Clanlogo_std.pngFaZe Clan3-154 - 40+14LiquidVegaQBFNa'Vi
3-5파일:Vega2016logo_std.pngVega Squadron3-164 - 53+11RNGFaZeG2Liquid
3-5파일:Space_Soldierslogo_std.pngSpace Soldiers3-162 - 55+7SproutAVNGRMisfitsmouz
6-8파일:Mousesportslogo_std.pngmousesports3-270 - 53+17AVNGRNa'ViC9SSRNG
6-8파일:Navilogo_std.pngNatus Vincere3-254 - 48+6QBFmouzSproutFaZeLiquid
6-8파일:Quantum_Bellator_Firelogo_std.pngQuantum Bellator Fire3-262 - 63-1Na'ViFlashFaZeEnvyAVNGR
9-11파일:Renegadeslogo_std.pngRenegades2-364 - 640VegaEnVyLiquidSproutmouz
9-11파일:Liquid2017logo_std.pngTeam Liquid2-365 - 72-7FaZeF3RNGVegaNa'Vi
9-11파일:AVANGAR_logo_std.pngAVANGAR2-359 - 68-9mouzSSF3MisfitsQBF
12-14파일:Misfits2017logo_std.pngMisfits1-347 - 52-5F3G2SSAVNGR
12-14파일:Team_EnVyUs_LoL_Logo_std.pngTeam EnVyUs1-345 - 61-16C9RNGFlashQBF
12-14파일:Sproutlogo_std.pngSprout1-334 - 59-25SSC9Na'ViRNG
15-16파일:Flash_Gaminglogo_std.pngFlash Gaming0-337 - 48-11G2QBFEnvy
15-16파일:Flipsid3logo_std.pngFlipSid3 Tactics0-321 - 48-27MisfitsLiquidAVNGR

* 패자부활전
순위팀명결과1차전최종전
9파일:Liquid2017logo_std.pngTeam Liquid진출부전승AVNGR
10파일:AVANGAR_logo_std.pngAVANGAR탈락RNGLiquid
11파일:Renegadeslogo_std.pngRenegades탈락AVNGR


2.1.2.1. 라운드 1[편집]

팀명스코어팀명
Vega16 - 14RNGde_mirage
mouz16 - 12AVNGRde_mirage
FaZe16 - 14Liquidde_overpass
F34 - 16Misfitsde_overpass
Sprout16 - 11SSde_cobblestone
Na`Vi16 - 8QBFde_inferno
G216 - 11Flashde_inferno
C916 - 11nVde_cache


2.1.2.2. 라운드 2[편집]

High(1승)
팀명스코어팀명
FaZe6 - 16Vegade_inferno
Sprout5 - 16C9de_inferno
mouz16 - 2Na`Vide_mirage
Misfits5 - 16G2de_cobblestone
Low(1패)
팀명스코어팀명
F310 - 16Liquidde_cobblestone
Flash13 - 16QBFde_inferno
nV6 - 16RNGde_cache
SS16 - 9AVNGRde_mirage


2.1.2.3. 라운드 3[편집]

High(2승)
팀명스코어팀명
Vega16 - 19G2de_overpass
mouz5 - 16C9de_train
Mid(1승 1패)
팀명스코어팀명
FaZe16 - 6QBFde_mirage
RNG14 - 16Liquidde_cobblestone
Misfits13 - 16SSde_train
Sprout3 - 16Na`Vide_mirage
Low(2패)
팀명스코어팀명
F37 - 16AVNGRde_train
Flash13 - 16nVde_inferno


2.1.2.4. 라운드 4[편집]

High(2승 1패)
팀명스코어팀명
SS19 - 17mouzde_mirage
Liquid14 - 16Vegade_mirage
FaZe16 - 4Na`Vide_train
Low(1승 2패)
팀명스코어팀명
QBF16 - 12nVde_inferno
Misfits13 - 16AVNGRde_cache
RNG16 - 10Sproutde_cobblestone


2.1.2.5. 라운드 5[편집]

팀명스코어팀명
Na`Vi16 - 5Liquidde_inferno
mouz16 - 4RNGde_mirage
AVNGR6 - 16QBFde_train

최종적으로 2승 3패를 기록한 세 팀은 후술할 패자부활전의 기회를 갖게 된다


2.1.2.6. 패자부활전[9][편집]

1차전
팀명스코어팀명
RNG10 - 16AVNGRde_mirage
최종전
팀명스코어팀명
AVNGR15 - 19Liquidde_mirage


2.1.3. 레전드 스테이지[편집]


순위팀명승패라운드 득실득실차라운드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5
1-2파일:G2esplogo_std.pngG2 Esports3-048 - 20+28C9LiquidQBF
1-2파일:FaZe_Clanlogo_std.pngFaZe Clan3-048 - 23+25FNCVegaSK
3-5파일:Navilogo_std.pngNatus Vincere3-153 - 33+20GMBBIGLiquidFNC
3-5파일:Sklogo_std.pngSK Gaming3-160 - 51+9SSmouzFaZeGMB
3-5파일:Quantum_Bellator_Firelogo_std.pngQuantum Bellator Fire3-155 - 49+6VPGMBG2mouz
6-8파일:Mousesportslogo_std.pngmousesports3-274 - 50+24AstralisSKVegaQBFSS
6-8파일:C9logo_std.pngCloud93-269 - 49+20G2SSVPAstralisVega
6-8파일:Fnaticlogo_std.pngFnatic3-263 - 48+15FaZeVPAstralisNa'ViGMB
9-11파일:Space_Soldierslogo_std.pngSpace Soldiers2-371 - 69+2SKC9GMBBIGmouz
9-11파일:Gambit_newlogo_std.pngGambit Esports2-360 - 69-9Na'ViQBFSSSKFNC
9-11파일:Vega2016logo_std.pngVega Squadron2-342 - 70-28NorthFaZemouzLiquidC9
12-14파일:Liquid2017logo_std.pngTeam Liquid1-345 - 53-8BIGG2Na'ViVega
12-14파일:Astralislogo_std.pngAstralis1-332 - 62-30mouzNorthFNCC9
12-14파일:BIG_logo_std.pngBIG1-330 - 60-30LiquidNa'ViNorthSS
15-16파일:North_logo_std.pngNorth0-336 - 48-12VegaAstralisBIG
15-16파일:Virtuslogo_std.pngVirtus.pro0-316 - 48-32QBFFNCC9


2.1.3.1. 라운드 1[편집]

팀명스코어팀명
GAMBIT16 - 5Na`Vide_nuke
Ast2 - 16mouzde_cache
VP3 - 16QBFde_cache
FNC8 - 16FaZede_cache
SK16 - 13SSde_mirage
BIG5 - 16Liquidde_inferno
North10 - 16Vegade_overpass
C98 - 16G2de_cache


2.1.3.2. 라운드 2[편집]

High (1승)
팀명스코어팀명
FaZe16 - 3Vegade_train
G216 - 8Liquidde_inferno
QBF19 - 16GAMBITde_inferno
SK16 - 12mouzde_mirage
Low(1패)
팀명스코어팀명
SS16 - 13C9de_cobblestone
BIG1 - 16Na`Vide_inferno
VP6 - 16FNCde_inferno
Ast16 - 14Northde_train


2.1.3.3. 라운드 3[편집]

High(2승)
팀명스코어팀명
QBF4 - 16G2de_cache
SK12 - 16FaZede_cache
Mid(1승 1패)
팀명스코어팀명
SS13 - 16GAMBITde_train
Liquid9 - 16Na`Vide_overpass
Vega3 - 16mouzde_mirage
FNC16 - 8Astde_mirage
Low(2패)
팀명스코어팀명
BIG16 - 12Northde_cobblestone
VP7 - 16C9de_mirage


2.1.3.4. 라운드 4[편집]

High(2승 1패)
팀명스코어팀명
QBF16 - 14mouzde_train
GAMBIT10 - 16SKde_overpass
FNC7 - 16Na`Vide_inferno
Low(1승 2패)
팀명스코어팀명
Ast6 - 16C9de_train
SS16 - 8BIGde_cobblestone
Liquid12 - 16Vegade_inferno


2.1.3.5. 라운드 5[편집]

팀명스코어팀명
FNC16 - 2GAMBITde_mirage
Vega4 - 16C9de_mirage
SS13 - 16mouzde_mirage


2.1.4. 챔피언 스테이지[편집]


8강 (bo3)
1경기2경기3경기4경기
FaZe Clan (2 : 0) mousesportsNatus Vincere (2 : 0) Quantum Bellator FireG2 Esports (0 : 2) Cloud 9SK Gaming (2 : 1) Fnatic
4강 (bo3)
1경기2경기
FaZe Clan (2 : 0) Natus VincereCloud 9 (2 : 1) SK Gaming
결승 (bo3)
FaZe Clan (1 : 2) Cloud 9


2.1.4.1. 8강[편집]

1경기
팀명스코어팀명
FaZe19 - 16mouzde_nuke
16 - 9de_cache
-de_train

2경기
팀명스코어팀명
Na`Vi16 - 4QBFde_mirage
16 - 7de_inferno
-de_train

3경기
팀명스코어팀명
G28 - 16C9de_mirage
7 - 16de_overpass
-de_cobblestone

4경기
팀명스코어팀명
SK19 - 22FNCde_inferno
16 - 14de_overpass
16 - 12de_mirage


2.1.4.2. 4강(준결승)[편집]

1경기
팀명스코어팀명
FaZe16 - 9Na`Vide_inferno
16 - 7de_mirage
-de_train

2경기
팀명스코어팀명
C916 - 3SKde_mirage
8 - 16de_cobblestone
16 - 9de_inferno


2.1.4.3. 결승[편집]

1경기
팀명스코어팀명
FaZe16 - 14C9de_mirage
10 - 16de_overpass
19 - 22de_inferno


2.2. 결과[편집]


순위상금팀명시드
우승$500,000Cloud 9뉴 레전드
준우승$150,000FaZe Clan
3/4위$70,000Natus Vincere / SK Gaming
5~8위$35,000mousesports / Quantum Bellator Fire / G2 Esports / Fnatic
9~11위$8,750Space Soldiers / Gambit Esports / Vega Squadron뉴 챌린저스
12~14위$8,750Team Liquid / Astralis / BIG
15~16위$8,750North / Virtus.pro
17위-AVANGAR-
18위-Renegades
19~21위-Misfits / Team EnVyUs / Sprout
22~23위-Flash Gaming / FlipSid3 Tactics
기권-100 Thieves


2.3. 총평[편집]


  • 대회 전 유력 우승 후보로 뽑히는 팀은 FaZe Clan. 2017년의 3대 강팀 중 하나였고 특히 하반기 들어 더욱 강력한 모습을 보였던 만큼, 그 기세만 이어나간다면 충분히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강력한 경쟁팀인 Astralis는 팀의 에이스인 dev1ce가 건강 문제로 빠질 가능성이 높았으나 회복한 모양인지 대회에 참가를 한다고 밝혔고, FaZe가 끝끝내 넘지 못했던 벽인 SK Gaming은 새 멤버인 boltz 대신 부진을 이유로 비활성 멤버가 되었던 felps가 대신 뛰게 되면서 전력이 다소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다.

  • 이변에 이변이 이어지는 대회이다. 3강 체제라고 불리는 SK Gaming, FaZe Clan, Astralis와 여기에 턱걸이나마 비벼볼 만한 Gambit Esports 중에 Astralis와 Gambit이 본선 스위스라운드 16강에서 탈락했다. 지난 레전드 시드인 North도 전혀 약팀으로 볼 수 없는 팀이지만 본선 16강에서 단 1승도 없이 0승 3패로 탈락해버렸다.

  • 또한 약팀들의 성적이 상당히 좋은데, Vega Squadron은 지난 시즌에서의 경험 덕분인지 앞서 언급한 FaZe를 포함하여 자신들보다 강팀으로 분류된 팀들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CIS 예선에서 준우승한 QB Fire은 메이저급 대회엔 첫 출전으로, 오프라인 최종예선에서는 좋은 대진운에 힘 입어 본선에 진출하여 Virtus.pro와 Gambit을 포함한 기존 상위권 팀을 쓰러뜨리고 결국 8강 진출에 성공하면서 메이저 레전드시드를 확보했다. Space Soldiers도 최종예선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고 본선에서는 워낙 나쁜 대진으로 16강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매 경기를 치열한 승부를 보이며 2승 3패로 아쉽게 탈락했다.

  • 이번 결승은 전체적으로 엄청난 명경기라고 해설자 대부분이 단언할 정도로 게임 진행은 서로간의 접전이 팽팽했다.[10] 사실상 처음부터 끝까지 역전의 역전을 거듭했는데, 라운드를 거듭할 수록 경기 분위기는 관객과 시청자들까지 팽팽한 긴장감에 빠져버렸다. 특히 처음부터 끝까지 정신나간 접전을 보여주었는데, 구체적인 실책보다는 서로간에 격돌하는 접전이 더 많았기에 사이사이에 일어난 전투에 긴박감을 멈출 수가 없었다. 놀랍게도 대부분의 선수들 각각의 능력을 제대로 발산하는 기량을 선보이며 라운드마다 명장면이 속출했다. 초반에는 FaZe의 GuardiaN의 4연킬로 메인 오퍼로서의 기선제압이라는 명장면을 보여줬으며, 후에는 C9의 Stewie2K의 트리플킬은 C9의 역전 발판과 더불어 이번 경기 명장면들 중에 정점을 보여줬다. NiKo의 언더테이커화는 덤 계속된 접전의 끝은 막판의 공수교대 후에 C9의 tarik이 게임 중간에 스나로 총기를 교체하자마자 남아있는 4 명의 상대편을 모조리 잡아 캐리를 하면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서로 접전을 하며 C9 : FaZe는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는 판에 2:1로 남았는데 FaZe의 GuardiaN이 혼자 남은 상태에서 양각이 잡히는 바람에 결국 C9이 FaZe 팀을 가까스로 전멸시키고 설치된 폭탄을 해체하면서 우승한다.

  • 이번 결승에서 돋보인 점은 단연 두 팀간의 확연히 다른 플레이 스타일. FaZe는 유럽 올스타 팀 답게 전략적으로 꼼꼼한 EU 스타일로 경기를 풀어나가려 했던 반면 C9은 북미의 마지막 희망이라는 별명답게 rank s 스타일로 대표되는 북미 특유의 빠른 템포와 과감한 플레이 스타일로 경기를 풀어 나갔다. 전례를 보면 북미 스타일이 높은 수준의 경기에서 제대로 먹혀 들어간 적은 드물었다. 오히려 1티어 팀들간의 경기에서는 전략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북미 스타일보다 훨씬 우세적이였는데 기세를 탄 C9이 보여준 북미 스타일은 1티어 팀들인 G2, SK를 꺾고 FaZe마저 이겼다는 점에서 굉장히 예외적이고 놀랍다는 평이 많다.


2.4. 여담[편집]


비자 문제로 TYLOO100 Thieves 두 팀이 대회 참가를 포기하였다.


3. 하이라이트[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4:01:06에 나무위키 ELEAGUE Major: Boston 201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0 Thieves의 대회 불참으로 인한 공석을 메꾸기 위한 경기[2] ex-Immortals.[3] Ex-PENTA Sports penta 해체 후 2개월 동안 Seed라는 팀명으로 활동하다 Sprout라는 신생 팀에 영입되었다.[4] 준우승팀인 TyLoo가 BnTeT 선수의 비자 문제로 대회 불참을 선언해서 3위 팀인 Flash Gaming에게 진출권 계승[5] stanislaw대신 steel이 들어왔으나 steel이 아메리카 마이너 예선에서 Immortals로 참가하여 코치가 대신 참가.[6] BnTeT의 비자 문제로 대회 불참 선언[7] TyLoo의 불참으로 인해 아시아 지역 3위 팀 자격으로 진출권 계승[8] ex-Outlaws.[9] 100 Thieves의 대회 불참으로 인한 공석을 메꾸기 위한 경기[10] 참고로 이 결승전은 후반전에 트위치 시청자 수 100만명을 돌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