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LEAGUE Major: Atlanta 2017

덤프버전 :

CS:GO Major Championship
파일:Esl_one_logo.png
ESL One: Cologne 2016
파일:ELEAGUE_icon.png
ELEAGUE Major: Atlanta 2017
파일:PGL_Major_Krakow_2017_Logo.png
PGL Major Kraków 2017
ELEAGUE Major: Atlanta 2017 우승팀
SK GamingAstralisGambit Esports
ELEAGUE Major: Atlanta 2017 MVP
마르셀루 데이비드
(coldzera)
마쿠스 키어비
(Kjaerbye)
다우렌 키스타우바예프
(AdreN)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ELfetch.jpg
ELEAGUE Major: Atlanta 2017
주최파일:ELEAGUE-logo.png
후원파일:밸브 코퍼레이션 로고.svg
(대회 스폰서) Dell / HyperX / 에일리언웨어 / Arby's
경기 형식스위스 라운드 (최종 예선 / 그룹 스테이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플레이오프)
기간최종 예선
2016년 12월 15일 ~ 12월 18일
그룹 스테이지
2017년 1월 22일 ~ 1월 25일
플레이오프
2017년 1월 27일 ~ 1월 29일
대회 장소최종 예선 / 그룹 스테이지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란타 E-리그 아레나
플레이오프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란타 Fox Theatre
총 상금$1,000,000
우승 상금$500,000
중계영어

1. 개요
2. 대회진행
2.1. 참가팀
2.1.1. 오프라인 최종 예선
2.1.2. 진행 및 결과
3. 그룹 스테이지
3.1. 라운드 1
3.2. 라운드 2
3.3. 라운드 3
3.4. 라운드 4
3.5. 라운드 5
4. 플레이오프
4.1. 8강
4.2. 준결승전(4강)
4.3. 결승전
5. 결과
6. 총평



1. 개요[편집]


밸브가 후원하는 PC게임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의 10번째 메이저 대회.

오프라인 최종예선과 본선 그룹 스테이지는 기존 대회 방식과 다른 '스위스 포맷'이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승/패 수가 같은 팀끼리 경기를 해서 총 3승을 하면 통과, 3패를 하면 탈락인 방식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팀이 첫 경기에서 승리를 해서 1승 0패를 기록 중이면, 다음 경기는 1승 0패인 다른 팀과 경기를 한다. 만약 이번에는 A가 패배해서 1승 1패가 되었다면, 그 다음에는 1승 1패인 다른 팀과 경기를 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해서 3승 0패, 3승 1패, 3승 2패인 팀들이 통과한다.


2. 대회진행[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참가팀[편집]


구분팀명플레이어이전 대회 성적
이전 대회 8강 진출팀파일:브라질 국기.svg SK Gaming파일:브라질 국기.svg coldzera, 파일:브라질 국기.svg FalleN, 파일:브라질 국기.svg fer, 파일:브라질 국기.svg TACO,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ox우승
파일:미국 국기.svg Team Liquid파일:미국 국기.svg Hiko, 파일:미국 국기.svg nitr0, 파일:미국 국기.svg EliGE, 파일:미국 국기.svg jdm64, 파일:덴마크 국기.svg Pimp준우승
파일:폴란드 국기.svg Virtus Pro파일:폴란드 국기.svg NEO, 파일:폴란드 국기.svg TaZ, 파일:폴란드 국기.svg Pasha, 파일:폴란드 국기.svg Snax, 파일:폴란드 국기.svg byali3위~4위
파일:스웨덴 국기.svg Fnatic파일:스웨덴 국기.svg olofmeister, 파일:스웨덴 국기.svg dennis, 파일:스웨덴 국기.svg KRIMZ, 파일:스웨덴 국기.svg disco doplan, 파일:스웨덴 국기.svg twist3위~4위
파일:덴마크 국기.svg Astralis파일:덴마크 국기.svg gla1ve, 파일:덴마크 국기.svg dev1ce, 파일:덴마크 국기.svg dupreeh, 파일:덴마크 국기.svg Xyp9x, 파일:덴마크 국기.svg Kjaerbye8강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lipSid3 Tactics파일:러시아 국기.svg WorldEdit,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B1ad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markeloff, 파일:러시아 국기.svg electronic, 파일:핀란드 국기.svg wayLander8강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Natus Vincere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Edward,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1mple, 파일:러시아 국기.svg seized, 파일:러시아 국기.svg flamie,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GuardiaN8강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Gambit Gaming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HObbitt, 파일:러시아 국기.svg Dosia,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Zeus,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AdreN,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mou8강
오프라인 예선 통과파일:스웨덴 국기.svg GODSENT파일:스웨덴 국기.svg JW, 파일:스웨덴 국기.svg flusha, 파일:스웨덴 국기.svg pronax, 파일:스웨덴 국기.svg znajder, 파일:스웨덴 국기.svg Lekr0유럽 예선 5~6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FaZe Clan파일:덴마크 국기.svg aizy, 파일:덴마크 국기.svg karrigan,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ain, 파일:프랑스 국기.svg KioShiMa, 파일:핀란드 국기.svg allu9~12위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OpTic Gaming파일:미국 국기.svg tarik, 파일:미국 국기.svg RUSH, 파일:캐나다 국기.svg stanislaw, 파일:캐나다 국기.svg NAF, 파일:스페인 국기.svg mixwell13~16위
파일:덴마크 국기.svg North파일:덴마크 국기.svg cajunb, 파일:덴마크 국기.svg MSL, 파일:덴마크 국기.svg k0nfig, 파일:덴마크 국기.svg Magiskb0Y,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UBINO9~12위
파일:독일 국기.svg mousesports파일:독일 국기.svg denis, 파일:독일 국기.svg Spiidi,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hrisJ,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NiKo, 파일:스페인 국기.svg loWel9~12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EnVyUs파일:프랑스 국기.svg Happy, 파일:프랑스 국기.svg NBK-, 파일:프랑스 국기.svg kennyS, 파일:프랑스 국기.svg apEX, 파일:프랑스 국기.svg SIXER13~16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G2 Esports파일:프랑스 국기.svg shox, 파일:프랑스 국기.svg SmithZz, 파일:프랑스 국기.svg RpK, 파일:프랑스 국기.svg bodyy, 파일:벨기에 국기.svg ScreaM13~16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HellRaisers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ANGE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bondik,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Zero,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STYKO, 파일:헝가리 국기.svg DeadFox최종 예선 9~11위



2.1.1. 오프라인 최종 예선[편집]


구분팀명플레이어이전 대회 성적
이전 대회 조별리그 탈락팀파일:덴마크 국기.svg Team Dignitas파일:덴마크 국기.svg cajunb, 파일:덴마크 국기.svg MSL, 파일:덴마크 국기.svg k0nfig, 파일:덴마크 국기.svg Magiskb0Y,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UBINO9~12위
파일:독일 국기.svg mousesports파일:독일 국기.svg denis, 파일:독일 국기.svg Spiidi,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hrisJ,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NiKo, 파일:스페인 국기.svg loWel9~12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FaZe Clan파일:덴마크 국기.svg aizy, 파일:덴마크 국기.svg karrigan,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rain, 파일:프랑스 국기.svg KioShiMa, 파일:핀란드 국기.svg allu9~12위
파일:스웨덴 국기.svg Ninjas in Pyjamas파일:스웨덴 국기.svg GeT_RiGhT, 파일:스웨덴 국기.svg f0rest, 파일:스웨덴 국기.svg xizt, 파일:스웨덴 국기.svg friberg, 파일:스웨덴 국기.svg pyth9~12위
파일:미국 국기.svg CLG파일:미국 국기.svg reltuC, 파일:미국 국기.svg koosta, 파일:미국 국기.svg hazed, 파일:미국 국기.svg nahtE, 파일:캐나다 국기.svg subroza13~16위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OpTic Gaming파일:미국 국기.svg tarik, 파일:미국 국기.svg RUSH, 파일:캐나다 국기.svg stanislaw, 파일:캐나다 국기.svg NAF, 파일:스페인 국기.svg mixwell13~16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EnVyUs파일:프랑스 국기.svg Happy, 파일:프랑스 국기.svg NBK-, 파일:프랑스 국기.svg kennyS, 파일:프랑스 국기.svg apEX, 파일:프랑스 국기.svg SIXER13~16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G2 Esports파일:프랑스 국기.svg shox, 파일:프랑스 국기.svg SmithZz, 파일:프랑스 국기.svg RpK, 파일:프랑스 국기.svg bodyy, 파일:벨기에 국기.svg ScreaM13~16위
유럽 예선 우승팀파일:스웨덴 국기.svg GODSENT파일:스웨덴 국기.svg JW, 파일:스웨덴 국기.svg flusha, 파일:스웨덴 국기.svg pronax, 파일:스웨덴 국기.svg znajder, 파일:스웨덴 국기.svg Lekr0유럽 예선 5~6위
유럽 예선 준우승팀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HellRaisers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ANGE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bondik,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Zero,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STYKO, 파일:헝가리 국기.svg DeadFox최종 예선 9~11위
CIS 예선 우승팀파일:러시아 국기.svg Vega Squadron[1]파일:러시아 국기.svg chopper, 파일:러시아 국기.svg Keshand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jR, 파일:러시아 국기.svg hutji, 파일:러시아 국기.svg mirCIS 예선 7~8위
CIS 예선 준우승팀파일:러시아 국기.svg Team Spirit파일:러시아 국기.svg S0tF1k, 파일:러시아 국기.svg DavCost, 파일:러시아 국기.svg kibaken, 파일:러시아 국기.svg Dima, 파일:러시아 국기.svg Certus[2]CIS 예선 3위
아메리카 예선 우승팀파일:브라질 국기.svg Immortals파일:브라질 국기.svg hen1, 파일:브라질 국기.svg lucas, 파일:브라질 국기.svg boltz, 파일:브라질 국기.svg felps, 파일:브라질 국기.svg steel최종 예선 12~14위
아메리카 예선 준우승팀파일:미국 국기.svg Cloud9파일:미국 국기.svg n0thing, 파일:미국 국기.svg Skadoodle, 파일:미국 국기.svg Stewie2k, 파일:미국 국기.svg autimatic, 파일:캐나다 국기.svg Shroud최종 예선 9~11위
아시아 예선 우승팀파일:중국 국기.svg TYLOO파일:중국 국기.svg fancy1, 파일:중국 국기.svg Mo, 파일:중국 국기.svg DD, 파일:중국 국기.svg AttackeR, 파일:중국 국기.svg somebody최종 예선 9~11위
아시아 예선 준우승팀파일:호주 국기.svg Renegades파일:호주 국기.svg jks, 파일:호주 국기.svg AZR, 파일:호주 국기.svg USTILO, 파일:호주 국기.svg yam, 파일:호주 국기.svg Rickeh최종 예선 12~14위

ELEAGUE Major 2017/지역 예선 마이너[3] 결과

오프라인 예선 진출팀
  • 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GODSENT,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HellRaisers
  • CIS: 파일:러시아 국기.svg ALL-IN[4], 파일:러시아 국기.svg Team Spirit
  • 아메리카: 파일:브라질 국기.svg Immortals, 파일:미국 국기.svg Cloud9
  • 아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TYLOO, 파일:호주 국기.svg Renegades

오프라인 예선 탈락팀
  • 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Epsilon eSport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Space Soldiers,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Team LDLC.com, 파일:핀란드 국기.svg ENCE eSports, 파일:독일 국기.svg ALTERNATE aTTaX, 파일:덴마크 국기.svg Heroic
  • CI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VwS Gaming, 파일:러시아 국기.svg Quantum Bellator Fire, 파일:러시아 국기.svg TORNADO ROX,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Tengri, 파일:러시아 국기.svg EYESports,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zARLANS
  • 아메리카: 파일:브라질 국기.svg paiN Gaming, 파일:미국 국기.svg Selfless Gaming,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World.gif Splyce, 파일:미국 국기.svg Muffin Lightning, 파일:미국 국기.svg Echo Fox[5], 파일:캐나다 국기.svg Team SoloMid
  • 아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VG.CyberZe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VP Project, 파일:호주 국기.svg Athletico,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Fire Dragoon E-sports,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Team nxl,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BOT


2.1.2. 진행 및 결과[편집]



본선 진출팀

본선 진출 탈락팀

Fnatic 시절에 비해 훨씬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퇴물 소리를 듣던 GODSENT가 의외로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3연승으로 일찌감치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FaZe Clan 역시 3연승으로 본선 진출 확정. 재미있게도 이 두 팀의 여섯 경기가 모두 16-11로 끝이 났다.

그 뒤를 이어 OpTicDignitas, mousesports가 3승 1패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

2승 2패를 기록한 여섯 팀의 본선 진출을 놓고 벌인 마지막 경기는 EnVyUs vs Vega Squadron, G2 Esports vs Immortals, HellRaisers vs Cloud9으로 진행되었다. 각각의 경기에서 앞 팀이 승리를 했다. 16-12, 19-17, 16-13의 비교적 적은 라운드 차로 본선 진출 여부가 갈린, 끝까지 예상을 하기 힘든 경기들이었다.

TYLOORenegades는 각각 1승 3패, 3패로 탈락하면서 결국 본선에는 아시아 팀이 한 팀도 진출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대이변이 있었는데, 최종 예선 참가팀들 중 최강으로 뽑히며 무난하게 본선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됐던 NiP가 1승 3패로 본선 진출에 탈락한 것. NiP가 최근에 딱히 부진한 모습을 보여준 것도 아니었다. 본 대회 이전의 여러 대회들에서 우승을 포함해 좋은 성적을 거뒀고, 불과 2주 전만 해도 hltv 팀 랭킹 1위를 기록했을 정도였다. NiP를 꺾은 팀들은 차례대로 HellRaisers, OpTic, Vega Squadron이다. 최근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며 세계 최강급 팀으로 성장한 OpTic에게 진 건 그렇다 치더라도, 한 수 아래로 평가받는 HellRaisers나, 다른 팀들에 비하면 거의 듣보잡에 가까운 Vega Squadron에게 패한 건 충격적인 결과다. 이로써 NiP는 그동안 모든 메이저 대회에 진출해왔던 기록이 깨지고 말았다.


3. 그룹 스테이지[편집]


순위팀명승패라운드 득실득실차라운드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5
1-2Natus Vincere3-048 - 12+36mouznVSK
1-2Virtus Pro3-048 - 37+11OpTicG2GAMBIT
3-5Fnatic3-158 - 51+7G2NorthmouznV
3-5Gambit Esports3-158 - 47+11NorthGODVPFaZe
3-5SK Gaming3-157 - 570HRFaZeNa`ViAstralis
6-8Astralis3-271 - 55+16GODOpTicG2SKLiquid
6-8FaZe Clan3-285 - 73+12F3SKLiquidGAMBITnV
6-8North3-256 - 560GAMBITFNCHRG2GOD
9-11Team EnVyUs2-369 - 72-3LiquidNa`ViGODFNCFaZe
9-11GODSENT2-344 - 46-2AstralisGAMBITnVOpTicNorth
9-11Team Liquid2-374 - 81-7nVF3FaZemouzAstralis
12-14G2 Esports1-344 - 58-14FNCVPAstralisNorth
12-14mousesports1-334 - 55-21Na`ViHRFNCLiquid
12-14OpTic Gaming1-349 - 61-12VPAstralisF3GOD
15-16FlipSid3 Tactics0-336 - 48-12FaZeLiquidOpTic
15-16HellRaisers0-329 - 51-22SKmouzNorth


3.1. 라운드 1[편집]


팀명스코어팀명
GAMBIT16 - 8Northde_cobblestone
FNC10 - 16G2de_cache
SK16 - 7HRde_mirage
VP16 - 13OpTicde_cobblestone
Na`Vi16 - 3mouzde_cobblestone
Liquid21 - 25nVde_cache
Ast6 - 16GODde_train
F39 - 16FaZede_nuke


3.2. 라운드 2[편집]


High[6]
팀명스코어팀명
Na`Vi16 - 6nVde_cobblestone
FaZe17 - 19SKde_mirage
GOD9 - 16GAMBITde_overpass
VP16 - 14G2de_nuke
Low[7]
팀명스코어팀명
mouz16 - 7HRde_cache
F314 - 16Liquidde_overpass
North13 - 16FNCde_cobblestone
OpTic12 - 16Astde_train


3.3. 라운드 3[편집]


High[8]
팀명스코어팀명
GAMBIT10 - 16VPde_train
SK3 - 16Na`Vide_dust2
Mid[9]
팀명스코어팀명
FNC16 - 11mouzde_dust2
GOD3 - 16nVde_cache
Ast16 - 5G2de_train
Liquid18 - 22FaZede_nuke
Low[10]
팀명스코어팀명
North19 - 15HRde_mirage
F313 - 16OpTicde_train


3.4. 라운드 4[편집]


High[11]
팀명스코어팀명
FNC16 - 11nVde_cobblestone
SK19 - 17Astde_dust2
GAMBIT16 - 14FaZede_overpass
Low[12]
팀명스코어팀명
G29 - 16Northde_overpass
Liquid16 - 4mouzde_nuke
GOD16 - 8OpTicde_cache


3.5. 라운드 5[편집]


팀명스코어팀명
North19 - 17GODde_overpass
FaZe16 - 11nVde_nuke
Ast16 - 3Liquidde_mirage


4. 플레이오프[편집]


8강 (bo3)
1경기2경기3경기4경기
Natus Vincere (1 : 2) AstralisFnatic (2 : 1) Gambit EsportsVirtus.pro (2 : 1) NorthFaZe (1 : 2) SK Gaming
4강 (bo3)
1경기2경기
Astralis (2 : 0) FnaticVirtus.pro (2 : 0) SK Gaming
결승 (bo3)
Astralis (2 : 1) Virtus.pro


4.1. 8강[편집]


1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Na`Vi7 - 16Astde_overpass
16 - 14de_mirage
10 - 16de_dust2

2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FNC16 - 7GAMBITde_cache
3 - 16de_overpass
16 - 7de_dust2

3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VP16 -4Northde_overpass
12 - 16de_cache
16 - 13de_cobblestone

4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FaZe16 - 7SKde_mirage
3 - 16de_train
5 - 16de_overpass


4.2. 준결승전(4강)[편집]


1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Ast19 - 16FNCde_cache
16 - 5de_nuke
de_dust2

2경기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VP19 - 17SKde_train
16 - 14de_cobblestone
de_overpass


4.3. 결승전[편집]


팀명세트 스코어팀명
Ast12 - 16VPde_nuke
16 - 14de_overpass
16 - 14de_train


5. 결과[편집]


순위상금팀명시드
우승$500,000Astralis다음 메이저 본선
준우승$150,000Virtus Pro다음 메이저 본선
3위/4위$70,000SK Gaming/Fnatic다음 메이저 본선
5위~8위[13]$35,000Natus Vincere/Gambit Esports/North/FaZe Clan다음 메이저 본선
9위~11위$8,750Team Liquid/Team EnVyUs/GODSENT다음 메이저 최종예선
12위~14위$8,750G2 Esports/mousesports/OpTic Gaming다음 메이저 최종예선
15위~16위$8,750FlipSid3 Tactics/HellRaisers다음 메이저 최종예선


6. 총평[편집]


Astralis, 자신들이 왜 랭킹 1위인지 증명하다.

대회 시작 전에 우승 후보로 꼽히던 팀은 전통적인 강팀인 Na'Vi, Virtus Pro, Astralis와, 2016년의 두 메이저 대회를 모두 우승하고 세 번 연속 메이저 우승에 도전하는 SK Gaming 등이었다. 이외에 2016년 초에 창단해 무시무시한 상승세를 보이던 북미팀 OpTic Gaming이 간간이 거론되기도 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두각을 나타낸 팀은 Na'Vi였는데, mousesports와 EnVyUs, SK Gaming을 모두 10라운드 이상의 큰 차이로 압도적으로 꺾고 3승 0패로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Virtus Pro도 Na'Vi만큼 압도적이지는 못했지만 3승 0패로 무난히 8강에 진출했다. 뒤를 이어 Fnatic과 Gambit, SK Gaming이 3승 1패, Astralis와 FaZe Clan, North는 3승 2패로 진출했다. 그밖에 2015년 메이저 대회 우승 이후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두 번 연속 그룹 스테이지에서 광탈했던 EnVyUs는 이번 대회에서도 8강 진출에 실패했고, 저번 대회에서 준우승까지 올라가는 이변을 일으켰던 Team Liquid는 이번 대회에서는 딱히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탈락했다. 우승 후보로까지 거론되던 OpTic Gaming도 강팀들에게 연달아 패하며 아쉽게 탈락했다.

8강전 첫 경기는 Na'Vi vs Astralis였는데, 그룹 스테이지에서 Na'Vi가 보여준 압도적인 모습과 달리 Astralis는 좀 힘겹게 올라온 편이어서 승자 예측의 90% 이상이 Na'Vi에게 쏠렸었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Astralis가 세트 스코어 2-1로 4강 진출에 성공했다. 두번째 경기는 Fnatic vs Gambit으로, Fnatic이 첫 세트를 이긴 후 두번째 세트에서 아주 탈탈 털렸지만 세번째 세트를 이기면서 4강에 진출했다. Virtus Pro vs North 경기에서는 Virtus Pro가 세트 스코어 2-1로 승리. 마지막 경기는 그룹 스테이지에서도 만났었던 FaZe vs SK Gaming으로, FaZe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SK에게 아쉽게 진 것을 설욕할 기회였다.[14] 마침 첫 세트가 그룹 스테이지에서 맞붙었던 de_mirage였고 FaZe가 무난히 승리했지만, 그 후의 두 세트에서 SK가 압도적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8:47:01에 나무위키 ELEAGUE Major: Atlanta 201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LL-IN[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COLDY의 비자문제로 인해 코지인 Certus가 대신출전.[3] 아시아&유럽: PGL Regional Minor Championship / CIS: StarLadder Regional Minor Championship[4]Vega Squadron.[5] 대륙별 예선 진행 도중 일부멤버 방출로 인해 경기능력 상실로 인한 자동 탈락[6] 1승팀[7] 1패팀[8] 2승[9] 1승 1패[10] 2패[11] 2승 1패[12] 1승 2패[13] 8강[14] 그룹 스테이지에서 FaZe가 15-9까지 몰아붙였으나 이후로 SK에게 연달아 패하면서 연장전에 돌입했고, 결국 연장전에서 SK가 승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