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

덤프버전 :

||


파일:E-STATS_Logo.png
이스탯츠 이스포츠
E-STATS Esports
창단2020년 6월 1일
해체2021년 5월 19일
팀명GC Busan E-STATS(2020)
E-STATS Esports(2021)
팀 컬러
모기업(주)TEAM ES
대표김덕윤, 신용운
감독공석
주장임재원
약칭EST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해체 당시 로스터
ACTIVESPEED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HYBR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원
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관영

1. 개요
2. 스폰서
3. 창단
4. 역대 시즌
5. 역대 상대 전적
6. 팀 컬러
7. 논란
7.1. 대체선수 영입 과정에서의 논란
8. 여담
9. 역대 로스터
9.1. 로스터 연혁
10. 역대 성적
10.1. 팀전
10.2. 개인전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E-STATS Esports
파일:bandicam 2020-08-23 06-13-44-251.jpg
파일:2021-1카트리그이스탯츠소개.jpg
#ESTATS

E-STATS Esports 소속으로 카트라이더 리그에 참가했던 카트라이더 프로게임단.


2. 스폰서[편집]


파일:부산정보산업진흥원 CI.svg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파일:Team_ROCCATlogo_square.webp
부산정보산업진흥원한국e스포츠협회 부산지회ROCCAT
파일:ASUS 로고.svg파일:TEAM ES.jpg파일:LUNA LAB.png
ASUSTeam ESLUNA LAB


3. 창단[편집]


원래는 ROX 소속의 아마추어 팀 WHEELZ[1]가 2020년 2월 20일 GC Busan과의 계약을 체결하고 GC BUSAN WHEELZ 팀으로의 프로팀 승격 수순을 밟으려 했으나 모종의 일로[2] 계약이 종료되었고, 이후 임재원이 기존의 First A[3] 선수들을 바탕으로 꾸린 팀으로 GC Busan과 새로 네이밍 스폰 계약을 했다.

임재원 본인이 이 과정에서 스폰을 빼앗은 것은 절대 아니라고 할 정도로 상황이 정신없이 돌아갔는데, GC Busan 카트라이더 팀의 경우 현재 한화생명e스포츠나 과거 GEEKSTAR[4]처럼 팀을 운영하기 때문에 모기업이 따로 있는 상황인데, 그 기업이 GC BUSAN으로부터 카트라이더 팀을 만들 예정인데 지원해 볼 생각 없냐는 연락을 받았으며, 임재원의 팀을 GC BUSAN에 신청하여 합격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임재원은 "GC BUSAN은 이미 카트라이더 팀이 있지 않느냐?"고 물어보았는데, 돌아온 대답은 WHEELZ와 GC BUSAN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는 것이었다.

5월 28일 임재원의 방송에서 자세한 내용이 공개될 것으로 보였지만, 공개 하루 전날 팀이 터지고 말았다[5]. 임재원은 이 팀으로 그대로 출전할 예정이지만 나머지 선수 공개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공지할 예정이라고 한다.


4. 역대 시즌[편집]


''' ||



5. 역대 상대 전적[편집]


E-STATS Esports 팀전 팀별 역대 상대 전적
총 전적스피드 전적아이템 전적에결 전적
경기SETSETTRACKSETTRAC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svg02141144023601
파일:SANDBOX_Gaming_2020 W.png02141135022601
파일:Afreeca_Freecs_white.png12241269125800
아마추어팀4193501533213911
해체된
프로팀
12350329217611
총 전적610162087303069303524
[ 해체된 프로팀과의 전적 ]
해체된 프로팀과의 역대 상대 전적
총 전적스피드 전적아이템 전적에결 전적
경기SETSETTRACKSETTRACK
파일:ROX-Gaming-logo.png02140216114501
파일:SGA Inchon.png10210113103110


6. 팀 컬러[편집]


스피드전은 팀의 핵심인 전대웅을 먼저 앞으로 보내고 노준현이 같이 따라가주면서 상대팀의 선수들이 전대웅을 견제하지 못하도록 막는 그림이 이상적이다. 미들의 경우 김지민이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거기에 임재원의 스위핑까지 더해지면 열세인 팀을 상대로도 좋은 순위를 곧잘 만들어내는 편.

하지만 전대웅이 1위로 치고 올라가지 못했을 경우 상당히 힘이 빠지는 그림을 자주 보여준다. 극단적인 모습도 보인다.노준현이나 김지민이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가는 전략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듯. 일단, 서브러너인 노준현은 물론이고 김지민전대웅을 보좌 가능한 주행실력이 갖춰져 있으므로 전대웅이 올라가기만 하면 경기를 풀어나가긴 어렵지 않은 편이다. 임재원의 기복도 줄이는것이 중요하다. 임재원이 한번 말리면 그날은 아예 화면도 안잡히기 때문에 임재원이 미들에서만 유지해줘도 나머지 팀원들이 잘 달려주기 때문에 본인은 미들에서만 버텨도 큰 지원을 해준다.

최근 전대웅의 스타일을 보면 단순히 주행만 하는것이 아니라 들어오는 압박을 버텨주면서 팀 순위가 좋치 못할 때 스탑이나 라인블로킹을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이고 있다.

아이템전은 유관영의 오더 아래 상위권 팀들과의 경기에서도 좋은 팀합을 보여주는 중. 사실상 더블 에이스인 임재원은 물론이고 차세대 하이브리드라고 불리는 김지민은 설명 할 필요없이 잘해주면서 구멍으로 예상되었던 전대웅 또한 상당한 실력을 보여주면서 팀원들의 평균 실력은 기존 프로팀들에게도 밀리지 않는다.

21-1시즌 갑작스러운 전대웅의 탈퇴로 4인 체제가 되었는데, 팀의 핵심인 전대웅이 빠졌음에도 오히려 팀합은 더욱 좋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이템 에이스를 맡고 있던 유관영이 하이브리드 급의 포지션을 맡게 되었지만 스피드전을 아예 안하던 선수는 아니었기에 포지션 변경이 어렵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이템전에 출전하지 않았던 노준현 역시 아이템전을 연습하며 팀합을 맞추는 중이라고 한다.


7. 논란[편집]



7.1. 대체선수 영입 과정에서의 논란[편집]


GC부산 E-STATS의 기존맴버였던 윤정현의 불성실한 태도로 팀을 나오게 되어 공석이 된 자리에 노준현을 영입하며 생긴 일이었다. 당시 거의 모든 아마추어 팀들이 로스터를 완성했던 시기였고 노준현 역시 이준용과 오성현 등 아마추어 팀으로 맴버를 짜좋은 상태였기에 팀원매물이 없던상황에 급한 상황이었다. 이때 노준현을 이준용팀에서 GC부산 E-STATS로 빼왔다.[6] 이사건은 크게 공론화 되지 않았기도 했고 팀 이미지엔 엄청난 타격은 피한 셈이다.


8. 여담[편집]







9. 역대 로스터[편집]


||
[ 펼치기 · 접기 ]

||<-7><bgcolor=#023378><tablewidth=100%> GC Busan E-STATS ||
||<-7><bgcolor=#00437a> 2020 시즌 2 ||
||<-7><bgcolor=#023378> 파일:GC BUSAN E-SATS.png ||
||<width=15%> 포지션 ||<width=10%> 이름 ||<width=15%> 원 소속 ||<width=12.5%> 입단 ||<width=12.5%> 퇴단 ||<width=15%> 이적팀 ||<width=10%> 비고 ||
||<colbgcolor=#fff> SPEED ACE || 노준현 || - ||<|6> 2020 - 2 || - || - || - ||
|| RUNNER || 전대웅 ||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 || - || - ||
C
||
|| SWEEPER || 임재원 || 파일:카트라이더 FirstA.png First A || - || - || - ||
|| HYBRID || 김지민 || 파일:카트라이더 WHEELZ.png WHEELZ || - || - || - ||
|| ITEM ACE || 유관영 || 파일:카트라이더 FirstA.png First A || - || - || - ||

||<-7><bgcolor=#208bbf><tablewidth=100%> E-STATS Esports ||
||<-7><bgcolor=#8f161b> 2021 시즌 1 ||
||<-7><bgcolor=#208bbf> 파일:E-STATS_Logo.png ||
||<width=15%> 포지션 ||<width=10%> 이름 ||<width=15%> 원 소속 ||<width=12.5%> 입단 ||<width=12.5%> 퇴단 ||<width=15%> 이적팀 ||<width=10%> 비고 ||
||<colbgcolor=#fff> SPEED ACE || 전대웅 || - ||<|6> 2020 - 2 ||<|5> 2021 - 1 || 파일:2021-2 dynamite.png Dynamite[1] || [2] ||
|| RUNNER || 노준현 || - ||<|2> 파일:Afreeca_Freecs_logo.png Afreeca Freecs || - ||
|| SWEEPER || 임재원 || - ||
C
||
|| HYBRID || 김지민 || - || 파일:BLADES logo.png BLADES || - ||
|| ITEM ACE || 유관영 || - || (은퇴) || - ||
[1] 프로팀이였으나 팀 지원 프로젝트 신청을 하지 않아 아마추어팀으로 출전[2] 시즌 중 퇴단



9.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이름포지션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팀
전대웅SPEED ACE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2020 - 2
2020년 6월 1일
2021 - 1[19]
2021년 4월 5일
파일:2021-2 dynamite.png Dynamite[20]
노준현RUNNER-2021 - 1
2021년 5월 19일
파일:Afreeca_Freecs_logo.png Afreeca Freecs
임재원SWEEPER파일:카트라이더 FirstA.png First A
유관영ITEM ACE은퇴
김지민HYBRID파일:카트라이더 WHEELZ.png WHEELZ파일:BLADES logo.png BLADES

10. 역대 성적[편집]



10.1. 팀전[편집]


파일:E-STATS_Logo.png
팀전
기간순위대회결과상대팀획득 상금
2020.10.175위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와일드카드전
2:0 패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 2,000,000
2021.04.216위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2:0 승파일:Lily_logo.png Lily₩ 2,000,000

10.2. 개인전[편집]


파일:E-STATS_Logo.png
개인전
기간선수순위대회결과비고획득 상금
2020.11.08김지민5위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결승전 1R 5위40점-
2020.10.24노준현공동 10위16강 최종전 6위25점-
2020.09.19전대웅20위32강 패자부활전 8위21점-
2020.08.29임재원27위32강 B조 7위12점-
2020.08.29유관영29위32강 B조 8위11점-
2021.05.08김지민공동 6위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결승전 1R 6위49점-
2021.05.01노준현9위16강 최종전 5위21점-
2021.04.03임재원18위32강 패자부활전 6위29점-


11. 둘러보기[편집]


파일:est2021.pngE-STATS Esports
해체 당시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감독공석
해체 당시 로스터
ACTIVESPEED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준현
HYBR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원
HYBR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민
ITEM AC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관영
카트라이더 리그 참가팀 로스터



파일:KL_2020_2.png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참가 팀
||


파일:KL_2021_1.png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참가 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7:16:43에 나무위키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피드 에이스: 신종민, 러너: 홍희권, 미들: 김지민, 스위퍼: 윤정현, 아이템 에이스: 전진우[2] 이 부분에 대해선 아직까지 그 어떤 것도 공개되지 않았다. WHEELZ와의 계약이 불발된 이유에 대한 온갖 뇌피셜성 추측이 나돌았지만(계약 조건이 맞지 않는다던가, 혹은 2020 카트리그 시즌1 부스톡 영상#에서 상대팀을 향한 부적절한 언행을 한 사실이 탄로난 것이 화근이었다던가) 前 WHEELZ와 GC Busan 어느 한 쪽도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3] 스피드 에이스: 임재원, 러너: 양민규, 하이브리드: 장건, 스위퍼: 유관영, 아이템 에이스: 정승민[4] 이후 OZ Gaming으로 개편[5] 터지기 직전 알려진 정보로는 김승래(코치), 임재원, 김기수, 장건, 유관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김승래의 증언에 의하면 임재원 본인을 제외하고 전부 다 나갔다는 듯. 그러나 3일 후 발표된 리스트에 의하면 유관영은 다시 복귀했다. 이후 김승래는 아마추어 팀인 MysTic으로, 김기수는 Afreeca Freecs으로, 장건 처음에는 아마추어 팀인 MysTic에 속해있었으나 이후 SGAe스포츠팀으로 갔다.[6] 갑자기 팀 한자리에 공석이 생겨버린 이준용팀은 결국 기권을 하며 한 시즌 불참했었다.[7] 다만 김지민의 경우는 평일에는 본가에서 지내고 주말에만 숙소에 합류하는 방식이라 평소에는 4인 1실이나 다름없다. 방송에서 취재를 한 날도 평일이었기 때문에 김지민은 출연하지 않았다.[8] 락스는 7인(감독, 데이터분석가 포함) 1실이고 방도 살짝 더 작아서 락스가 살짝 더 열악한 편. 참고로 합숙을 안 하는 한화는 경기 전날에만 라우드 캐스트 회사 근처(정확히는 호텔같은 장소)에서 2인 1실 숙소를 잡고 있다. 샌드박스는 1인(감독)/1인/1인/2인, 프릭스는 2인/3인, 그나마 SGAe스포츠가 홍희권이 작은 방을 혼자 쓰고, 나머지 4명이 4인 1실을 쓰는 구조라 좀 열악한 편.[9] 위층 침대는 난간이 없어서 짐을 올리거나 하는데 쓰는 듯.[10] 샌드박스, 프릭스, SGA는 아파트 한 채를 쓰는 식이고, 이스탯츠와 락스는 연습실 따로, 침실 따로, 주방과 식당 따로의 복층으로 되어있는 집 구조이다. 락스는 회사 좁은 방 하나에 2층 침대 여러개가 다닥다닥 붙어 있어서 이스탯츠랑 비슷한 편.[11] 참고로 SGAe스포츠도 밥 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주로 사 먹는다. 해먹을 수도 있지만 잘 안 하는 듯.[12] 이 부분마저도 열악한 부분이 또 드러나는데 칸막이 설치만 해서는 안된다. 카트라이더 팀만 써서 다행이지만 다른 게임팀이랑 같이 사용한다면 방음을 하지 않는 이상 서로 오고가는 소리때문에 선수들 연습하는데 집중력 저하를 일으킨다.[13] 타 프로팀 생활을 3번이나 했다.[14] 이번 리그가 데뷔 리그다.[15] SGA랑 숙소 수준을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인게 이스탯츠의 숙소 위치는 집값이 매우 비싼 압구정이고 SGA는 비교적 많이 저렴한 인천 논현동이다.[16] 프릭스하고 샌드박스, SGA는 아파트를 숙소로 잡았다.[17] 현재 운영하는 구단에서는 이스탯츠가 유일하지만 해체된 오즈 게이밍(긱스타)도 숙소가 열악했다. 거기도 생활하는 거보면 선수들이 슬리퍼 신고 생활하는 것을 알 수 있다.[18] 락스의 경우에는 박인재가 휴식에 들어가면서, 윤찬희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다.[19] # 시즌 도중 일선상의 이유로 계약 종료[20] 프로팀이였으나 팀 지원 프로젝트 신청을 하지 않아 아마추어팀으로 출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