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4Y 스이세이

덤프버전 : (♥ 0)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복좌 전투기Ki-45 토류,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자살 공격기Ki-115 츠루기
훈련기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함재기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A8M 리쿠후,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C3N, C5M, C6N 사이운,▼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F1M, F1A
G 육상공격기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H 비행정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L 수송기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N1K 쿄후, ▼A6M2-N
P 폭격기P1Y 긴가
Q 초계기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S 야간전투기◈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노획 항공기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 P-51 머스탱,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4Y2_before_take_off.jpg
파일:external/www.defence.org.cn/2004716121510734.gif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8114d4a13c787892702e9b811fdf5c11.jpg
D4Y 스이세이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二式艦上爆撃機 D4Y 彗星)
Carrier-Borne Dive-bomber 'Suisei' (Judy)

1. 개요
2. 제원
3. 파생형
4. 특징
5. 실전
6. 기타
7. 대중 매체


1. 개요[편집]


이름제식 명칭스이세이 ・ 2식 함상정찰기 / 彗星(すいせい二式艦上偵察機(にしきかんじょうていさつき
연합국
코드명
주디(Judy)
제식 기호&명칭(뜻)D4Y제식 채용년도서기 1943년[1]
영문명Japanese Navy Yokosuka D4Y3 Suisei
일본군 해군태평양 전쟁 기간 운용했던 함상폭격기 겸 함상정찰기. D3A보다 많은 숫자인 2038대가 생산되었다.


2. 제원[편집]


운용국가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운용집단일본 제국 해군
제조사요코스카 해군 공창
초도비행1940년 11월 15일
생산년도1943년 6월
생산대수D4Y 2,253기
  • D4Y1-C 2식 함상정찰기 11형
전폭11.5m
전장10.22m
전고3.295m
주익면적23.6m²
자체중량2,440kg
전비중량3,870kg
엔진아이치 아츠타 32형 12기통 역Y자 수랭식 엔진, 1200마력
최고속도3000m에서 533km/h
상승고도10,700m
항속거리1,519km
무장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600발)
후방 포수석에 7.7mm 1식 선회기총 1정(97발 탄창 6개)
폭장없음

  • D4Y1 스이세이 11형
전폭11.5m
전장10.22m
전고3.175m
주익면적23.6m²
자체중량2,510kg
전비중량3,960kg
엔진아이치 아츠타 32형 12기통 역Y자 수랭식 엔진, 1200마력
최고속도4,750m에서 546.3km/h
상승고도10,700m
항속거리1,783 ~ 2,196km
무장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600발)
후방 포수석에 7.7mm 선회기총 1정(97발 탄창 6개)
폭장250kg 폭탄 1발 또는 500kg 폭탄 1발

  • D4Y3 스이세이 32형
전폭11.5m
전장10.24m
전고3.069m[2]
주익면적23.6m²
자체중량2,501kg
전비중량4,657kg
엔진킨세이 62형, 1560마력
최고속도6,050m에서 574.1km/h
상승고도10,700m
항속거리1,519 ~ 2,911km
무장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400발)
후방 포수석에 7.92mm 1식 선회기총 1정(75발 탄창 3개)[3]
폭장250kg 폭탄 1발 또는 500kg 폭탄 1발 / 주익에 250kg 폭탄 2발과 동체에 250kg 폭탄 1발


3. 파생형[편집]


크게 시제 함상폭격기, 2식 함상정찰기, 스이세이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스이세이 12형 무형은 후방기총으로 20mm를 장착하여 야간전투기로도 사용되었다.


4. 특징[편집]


D4Y는 일본기로써는 특이하게 수랭식 엔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랭식 엔진은 독일의 DB 601의 라이센스이긴 하지만 Ki-61 히엔에 사용되었던 Ha-40 계열 엔진과는 근본부터 다른 것이다.[4] 여러 기술을 사용하고, 폭탄마저 동체 내의 폭탄창에 수납하며, 수랭식 엔진을 이용한 매끈한 기체 형상으로 함상폭격기임에도 주력 전투기인 제로센에 필적하는 고속 성능을 얻었다. 그러나 동시에 제로센과 같이 장대한 항속력을 요구받은 바람에 별도의 장갑이나 자동 봉입 연료탱크 등의 방호장비가 없다는 단점까지 같이 얻어, 마리아나 해전에서는 B6N 텐잔과 함께 칠면조의 운명을 면치 못했다.

또한 보급선 등을 고려하지 않고 수랭식 엔진을 장착하여 최전선에 내보낸 기체답게 크고 작은 엔진 트러블이 빗발쳤다. 또한 의욕적으로 사용된 전기 모터 등이 오히려 문제를 일으켜, 주력 함상폭격기로 수많은 항모에서 운용되었음에도 평가는 아주 좋지 않았다. 이렇게 제대로 정비 받지 못한 엔진이 자꾸 말썽을 부리자 엔진을 널리 사용되던 미츠비시 킨세이 공랭식 엔진으로 환장한 D4Y3/D4Y4가 생산되었다. 그 결과 기존의 수랭식 엔진을 장착한 D4Y1(1200마력 아츠타 12엔진)과 D4Y2(1400마력 아츠타 32형엔진)는 산더미처럼 쌓여 심지어 카미카제에도 동원되지 않는 애물단지가 되었다. 오죽하면 우가키 마토메카미카제에 돌입할 때에도 킨세이를 얹은 혜성에 탑승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4Y3_pulling_up.jpg

최후기형이지 특공용으로 많이 쓰인 버전인 D4Y4는 후부 총좌가 폐지되어 1인승이 되었고, 조종석과 연료탱크에 방탄장갑이 추가됨과 동시에 방탄유리가 채용되었다.

5. 실전[편집]


한편 제131항공대(통칭 '후요 부대')는 미노베 타다시 소좌의 지휘아래, 특공을 거부하고 야간폭격을 실시하여 활약 했다.# 131항공대는 제조사와의 협력으로 가동률을 80% 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며, 나카가와 요시마사 상비조가 20mm 상향포로 P-61 블랙위도우를 격추하는 희귀한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폭격기 요격에 동원되어 나카 요시미츠 상비조가 B-29를 격추하기도 했다.

1945년에 스이세이 한기가 엔터프라이즈에게 폭격을 성공한 적 있었으나 해당 폭탄은 불발탄이었고, 수병들이 재빨리 폭탄을 바다에 던져버려서 엔터프라이즈는 별다른 상처 없이 돌아갔다. [5] 1944년 10월 20일, 방공망을 뚫고 온 1기의 스이세이가 인디펜던스급 항모 프린스턴(CVL-23)에게 급강하 폭격을 가하여 폭탄을 명중시켰다. 주변에 있던 버밍엄(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 CL-62), 모리슨(플레처급 구축함, DD-560), 어윈(플레처급 구축함, DD-794), 리노(애틀랜타급 경순양함, CL-96)가 구조와 소화작업을 실시했으나, 탄약고 유폭으로 추정되는 대폭발이 일어나 소화작업을 돕던 주변함까지 피해를 입었고, 결국 구축함 어윈이 프린스턴에게 어뢰를 발사하여 자침시켰다.


6. 기타[편집]




7. 대중 매체[편집]


  • 월드 오브 워쉽에서 8티어 항모 쇼카쿠에서 D4Y2를, 9티어 다이호 함이 D4Y2를 운용할 수 있다.분명 상대 머리 위에서 폭탄을 떨구고 도망쳐야 하는 리스크 큰 역할인 만큼 좀 단단해야 할텐데.... 방공망에 잘못 걸려들어가면 순식간에 갈리고 깡통이 되어버린다. 당장 8티어 일본[6] 전함 아마기를 물어도 폭탄 떨굴때까지 반이나 살면 기적이다. 8티어부터 전 국가의 대공이 상향평준화되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운용이 필요하다.


  • 함대 컬렉션에서 D4Y1이 2성 함상폭격기로 등장. 1성 폭격기인 D3A보다야 여러모로 성능이 낫지만 본격적으로 함재기를 개발하기 시작하면 상위기종인 스이세이 12형 갑(D4Y2a)(D4Y2 혜성 12형에 후방기총을 13밀리로 환장한 버전)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소류 2차개장 후 기종전환 임무로 얻을 수 있는 스이세이(에쿠사대)는 이 게임 최강의 함상폭격기 중 하나로 손꼽힌다.

  • 전함소녀에서 일본측 장비로 등장한다 .폭격 8, 대잠 3의 능력치로 항모 장비로 사용 가능하다.

  • 벽람항로에도 폭격기로 등장. T3은 금딱인데다가 위력, 항공 등의 표기 스펙도 좋아서 괜찮아보이지만 실제로는 최악의 쓰레기 폭격기로 금장비 중 최악의 장비 중 하나다. 비슷하게 꽝취급을 받는 크레인은 그래도 아카시와 베스탈이 하나씩 써야하니 두 개까지는 괜찮다지만, 스이세이는 그냥 쓰레기. 유일한 장점은 차지속도가 빠르다는것 하나뿐. 폭격기가 필요하다면 3-2에 가서 헬다이버T3를 캐서 쓰도록 하자. T3라 드랍율이 좋지 않을 것 같지만 등급이 보딱이기 때문에 드랍율은 나쁘지 않은 편이고, 금딱보다 훨씬 적은 양의 설계도를 필요로 한다. 금딱 폭격기로는 BTD 디스트로이어가 있지만 헬 다이버 쪽이 우수한 폭장량을 무기로 훨씬 강력한 성능을 낸다. 스이세이 이외의 쓰레기 장비는 410mm 삼식탄과 356mm 4연장포(일명 감성포)가 있다.

파일:d4y1.png파일:d4y2.png파일:d4y3.png
D4Y1 D4Y2 D4Y3 갑

  • 워 썬더: 한동안 등장이 없다가 1.75 패치로 2랭크 폭격기 트리에 추가되었다. D4Y1 11형, D4Y2 12형, D4Y3 33형갑이 구현되어 있어 대표적인 세 가지 형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 사이운과 더불어 관제기 사기기체로 악명을 떨친 녀석이다. 그나마 사이운보다는 속도와 기동성 스텟이 낮아 유저들이 사이운보다는 덜 욕했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8티어 폭격기로 등장, 폭격기 자체 속도는 빠르지만, 폭격 데미지가 시궁창인데다가 종이함재기라 그리 좋다는 인상은 별로 없는편이다.

  • 모바일게임 Pacific Navy Fighters - Commander Edition에서 일본군 함재기로 등장, 보통 제로와 함께 아군전투기들한테 시비거는 적 정찰기(or 정찰기)로 나오지만 가끔씩 아군 항공모함과 전함, 구축함들을 위협하는 폭격기로 등장한다.

  • 군함공예에 등장한다. 무과금으로 살 수 있는 폭격기들 중에 제일 괜찮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나머지 5만 골드에 살 수 있는 99식이나 SBD보다 5000골드 정도 더 비싸고 성능차이도 별로 나지 않아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 차라리 이걸 살 바에는 가격도 같고 뇌격기인 페어리 소드피시를 사는게 더 낫다.

파일:윙듀D4Y2.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04:10:26에 나무위키 D4Y 스이세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쇼와 18년, 황기 2603년[2] 후기형으로 갈 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3] D4Y2-S 야간전투기에는 20mm 후방기총이 탑재되었다.[4]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문서 참조.[5] 정보출처 히스토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Battle 360' 중 마지막 화.[6] 일본은 게임 내에서 고질적으로 대공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