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YD 송 L

덤프버전 :


1. 개요
2. 모델 설명
2.1. 1세대 (2023. 11 ~ 현재)
3. 제원
3.1. 1세대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比亚迪宋L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BYD에서 생산하는 중형 전기 크로스오버 SUV이다.

BYD의 서브 브랜드인 王朝[한국어로] 시리즈에 속하는 차량이다.


2. 모델 설명[편집]



2.1. 1세대 (2023. 11 ~ 현재)[편집]


파일:byd song l front.jpg
파일:byd song l rear.jpg
전면부후면부
파일:byd song l interior.jpg
실내

2023년 4월 중국 상하이 모터쇼에서 프로토 타입 모델이 공개되었고 같은 해 8월에 청두 모터쇼에서 양산형 모델이 공개되었다. 이후 같은 해 11월에 사전판매에 들어가면서 중국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외관 디자인은 아우디 출신의 디자이너인 울프강이 디자인 하였으며, BYD Dynasty 시리즈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가 적용되었다. 낮은 루프 디자인, 전동 스포일러, 플러시 타입 도어 핸들 등을 적용하였고, 이로 인해 공기저항 계수 0.255 Cd를 기록하였다. 또 BYD의 대부분의 차량엔 적용되지 않았던 프레임리스 도어[1]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같은 전기 크로스오버 차량인 기아 EV6와 닮은 점이 꽤 보인다.

실내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기존 BYD 차량들과 비슷하다. 중앙에는 BYD 차량들의 특징인 15.6인치의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며 계기판은 10.25인치 디지털 클러스터가 적용되었다. 내부 소프트웨어로는 안드로이드를 커스텀한 BYD의 DiLink가 탑재되어있고 이를 통해 5G 네트워크, OTA 업데이트, OTT 서비스등을 이용할 수 있다. 중국 자동차 답게 50W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무선충전기도 포함되어 있으며 NFC를 이용한 디지털키 역시 지원한다. 특이사항으로 무려 50인치 크기의 HUD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BYD Heart라는 새로운 기어봉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기존 BYD 송보다 상위 그레이드로 나온 차량이므로 기본이 천연가죽 시트이고 트림에 따라 나파가죽, 스웨이드 재질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기존 송 보다는 한 급 위의 차량으로 설정되었다.

안전사양으로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기본이며 특이하게 자동주차 기능 역시 기본 옵션이다, 전면 브레이크는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후면 브레이크 역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된다. 이외에도 전면 서스펜션은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방식이며 후면 서스펜션은 5링크 독립 서스펜션이 탑재되었다. 여기에 가변 댐핑 서스펜션 시스템인 FSD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AEB, 차선 이탈 방지 경고, 표지판 인식 기능 등이 포함된 ADAS인 DiPilot 역시 기본으로 제공된다.

송 L은 순수 전기 버전으로만 출시했다. 플랫폼으로는 BYD의 새로운 플랫폼인 e-Platform 3.0이 사용되었고 지금까지의 BYD 차량들과는 다르게 후륜구동, AWD 방식을 사용했다. 최대 출력은 트림에 따라 201마력, 308마력, 510마력으로 구분된다. BYD Blade LFP 배터리를 사용하며 Cell-To-Body 기술이 적용되었다. 용량은 트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71.8-87.04kWh 정도의 배터리가 적용된다. CLTC 인증 기준으로 71.8kWh 배터리를 적용했을 때 주행가능 거리는 약 550km이고 87.04kWh 배터리를 적용했을 때 주행가능 거리는 약 602[2]-662km이다.

충전 속도 같은 경우는 중국 내수용 모델 기준으로 완속 7kW, 고속 115-140kW 급을 지원한다.

차량 가격은 189,800위안[3]에서 249,800위안[4]으로 책정되어있다.


3. 제원[편집]



3.1. 1세대[편집]


BYD Song L
생산지
파일:중국 국기.svg

선전시, 창사시, 허페이시
차량 형태5도어 중형 크로스오버 SUV
승차 인원5명
차량 가격189,800 - 229,800위안 (RWD)
249,800위안 (AWD)
전장4,840mm
전폭1,950mm
전고1,560mm
축거2,930mm
공차중량2,158 ~ 2,385 kg
배터리 용량71.8kWh (RWD 550KM)
87.04kWh (RWD 662KM, AWD)
타이어 크기235/50R19 (전면) 255/50R19 (후면) (RWD 550KM)
245/45R20 (전면) 265/45R20 (후면) (RWD 662KM, AWD)
0 ~ 100km/h8.5초 (RWD 550KM)
6.9초 (RWD 662KM)
4.3초 (AWD)
플랫폼BYD e-Platform 3.0
구동방식뒷모터-뒷바퀴굴림(RR)
네바퀴굴림(AWD)
전륜 현가장치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5링크 독립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트림전동기 형식최고 출력최대 토크구동 방식항속 거리[5][6]
RWD 550KMPMSM150kW310NmRWD550km (복합)
RWD 662KM230kW360Nm662km (복합)
AWD380kW670NmAWD602km (복합)


4.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경차F0플라이어
소형차F3 · e5F3DM
준중형차 · e2/e3L3 · G3
중형차F5 슈리 · 씰/아토 4G5 · G6 · F6 · F6DM
준대형차-
스포츠카-S8
소형 SUVS1/위안-
준중형 SUVS3/송탕(1세대) · S6 · S7
중형 SUV탕(2세대)-
MPV송 맥스 · e6 · D1M6
LCVT3 · -
버스K6 · K7 · K8 · K9(eBus-12) · K10 · K11 · C6(eBus-7) · B10(eBus9) · C8 · C9 · C10 · J6-
트럭T4K · T5 · T7 · T8 · T9 · Q1M-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7 21:23:48에 나무위키 BYD 송 L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왕조[1] 현대 그랜저 GN7에 적용된 틀이 없는 도어를 의미한다.[2] AWD[3] 한화 약 3500만원[4] 한화 약 4600만원[5] CLTC 인증 기준[6] 19인치 / 20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