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2

덤프버전 :





파일:WRL_Asia.png
{{{#FEC360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2}}}
대회 기간2023년 11월 1일 ~ 2024년 1월 이후
주최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
주관
개최지중국 컨퍼런스:
파일:중국 국기.svg


APAC 컨퍼런스: 온라인
참가팀19팀
총 상금¥6,500,000 CNY [1]
패치 버전4.4 ~
경 기 장
중국 컨퍼런스:
APAC 컨퍼런스: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온라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정규 리그싱글 라운드 로빈 + 인터리그
2023년 11월 1일 ~ 12월 24일
플레이오프더블 엘리미네이션
2024년 1월
Finals싱글 라운드 로빈
2024년 1월
준준결승전 + 준결승전
2024년 1월
결승전
2024년 1월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준우승
결승 MVP

1. 개요
2. 참가팀
3. 진행 방식
4. 정규 시즌
5. 플레이오프
6. Finals
7. 여담




1. 개요[편집]


2023년 11월 1일부터 2024년 1월까지 진행되는 Wild Rift League Asia 두번째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편집]


  • 중국 지역 11팀과 APAC 지역 8팀이 참가한다.
  •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1에 참가한 20팀중 Rare Atom과 Nigma Galaxy를 제외한 18팀은 그대로 참가한다.
  • Nigma Galaxy의 해체로 비어진 필리핀 시드 1장은 선수단을 대부분 인수인계한 G2 Blacklist가 받아 참가한다.
  • Rare Atom의 해체로 비어진 중국 시드 1장은 그대로 비어둔채 진행하며, Rare Atom과 상대할 예정이었던 팀들의 대진은 2:0 세트 부전승으로 처리된다.

파일:WRL_Asia.png 중국 컨퍼런스
2023 WRLA S1 최종 1위2023 WRLA S1 최종 3위2023 WRLA S1 중국 3위2023 WRLA S1 중국 4위
파일:KeepBestGaming_logo.png파일:J_Team_Logo.png파일:Nova Esports logo.png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중국 국기.svg KeepBest Gaming
KBG
파일:대만 국기.svg J Team
JT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Nova Esports
NOVA
파일:중국 국기.svg Thunder Talk Gaming
TT
2023 WRLA S1 중국 5위2023 WRLA S1 중국 6위2023 WRLA S1 중국 7위2023 WRLA S1 중국 8위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Trace_Esports.png
파일:중국 국기.svg Edward Gaming
EDG
파일:중국 국기.svg JD Gaming
JDG
파일:중국 국기.svg Weibo Gaming
WBG
파일:중국 국기.svg Trace Esports
TE
2023 WRLA S1 중국 9위2023 WRLA S1 중국 10위2023 WRLA S1 중국 11위2023 WRLA S1 중국 12위[불참]
파일:FPX 로고 2021.svg파일:WHG_esports_logo.png파일:Oh_My_Godlogo_square.png파일:1200px-Rare_Atom_allmode_full.png
파일:중국 국기.svg FunPlus Phoenix
FPX
파일:중국 국기.svg WuHu Gaming
WHG
파일:중국 국기.svg Oh My God
OMG
파일:중국 국기.svg Rare Atom
RA
파일:WRL_Asia.png APAC 컨퍼런스
2023 WRLA S1 최종 4위2023 WRLA S1 APAC 3위2023 WRLA S1 APAC 4위2023 WRLA S1 APAC 5위
파일:kt 롤스터 Y 로고.svg파일:kt 롤스터 Y 로고(다크모드).svg파일: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로고.svg파일:NAOS_Esports.png파일:CERBERUS_Esports_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eoul kt Rolster Y
Seoul KT.RY
파일:태국 국기.svg Buriram United Esports
Buriram BRU
파일:필리핀 국기.svg Manila NAOS Esports
Manila NAOS
파일:베트남 국기.svg Saigon CERBERUS Esports
Saigon CES
2023 WRLA S1 APAC 6위2023 WRLA S1 APAC 7위2023 WRLA S1 APAC 8위신규 참가
파일:FENNEL_symbol.png파일:FENNEL_symbol_white.png파일:Team_Flashlogo_square.png파일:인베이트 이스포츠 로고.png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Manila FENNEL
Manila FL
파일:베트남 국기.svg Saigon Team Flash
Saigon TF
파일:태국 국기.svg Bangkok Invate Esports
Bangkok INV
파일:필리핀 국기.svg Quezon G2 Blacklist
Quezon G2B


3. 진행 방식[편집]


  • 스테이지 1: 정규 시즌
    • 모든 경기들은 BO3로 진행된다.
    • 중국 컨퍼런스와 APAC 컨퍼런스로 나뉘어 진행한다.
    • 각 컨퍼런스간 팀들은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각 팀들과 1번씩 경기를 치른다.
    • 중국 컨퍼런스와 APAC 컨퍼런스간 인터리그가 진행된다. 중국 팀들의 경우 4개의 APAC 팀들과 경기를 치르며, APAC 팀들은 5-6개의 중국 팀들과 경기를 치른다.
    • 정규 시즌 종료후 중국 컨퍼런스에서는 상위 8팀이, APAC 컨퍼런스에서는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1세트 진영 선택권의 경우 칼바람 나락 5 vs 5 전투를 진행해 승리한 팀이 얻는다.
  • 스테이지 2: 플레이오프
    • 중국 컨퍼런스와 APAC 컨퍼런스로 따로 진행한다.
    • 모든 경기는 BO7로 진행되며,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 각 컨퍼런스에서 상위 2팀이 Finals에 진출한다.[2]
    • 중국 컨퍼런스의 경우 정규 1위에서 4위는 승자조에서 시작하며, 5위에서 8위는 패자조에서 시작한다.
    • APAC 컨퍼런스의 경우 정규 1위에서 4위 모두 승자조에서 시작한다.
  • 스테이지 3: Finals
    • 진출에 성공한 4팀은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각 팀들과 BO1 경기를 치른다.
    • 싱글 라운드 로빈 종료후 계단식 토너먼트가 진행된다.
    • 준준결승: 라운드 로빈 3위와 4위간 경기로, BO3로 진행된다.
    • 준결승: 라운드 로빈 2위와 준준결승 승자간 경기로, BO5로 진행된다.
    • 결승: 라운드 로빈 1위와 준결승 승자간 경기로, BO7로 진행된다.
    • 상금은 지역별 컨퍼런스에서는 1등은 70만 위안, 2등은 50만 위안, 3등은 40만 위안, 4등은 35만 위안, 5등은 30만 위안, 6등은 25만 위안이며, 파이널에서는 1등 100만 위안, 2등은 40만 위안, 3, 4등은 30만 위안이다. 그래서 우승한 팀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상금은 170만 위안이다.


4. 정규 시즌[편집]




5. 플레이오프[편집]




6. Finals[편집]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9:34:18에 나무위키 2023 Wild Rift League Asia Season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163,530,499 KRW [불참] [2] 승자조에서 1팀, 패자조에서 1팀이 진출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