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결산

덤프버전 :

||
1주
(2/23~2/27)
2주
(3/2~3/6)
이벤트 위크
(3/12~3/13)
3주
(3/16~3/20)
4주
(3/23~3/27)
그랜드 파이널
(4/7~4/10)
결산

1. 대회 결과
2. 평가
2.1. 대한민국
2.2. 일본
2.3. 차이니즈 타이페이 / 홍콩 / 마카오
3. 결론


1. 대회 결과[편집]


||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MVP
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 노태영 (KDF_EEND) / ₩ 5,000,000
순위표
순위위클리 파이널그랜드 파이널상금PGC 포인트비고
진출 횟수점수점수
1위파일:광동 프릭스 아이콘.svgKDF4324202221138₩ 90,000,00040우승
PCS 6
2위파일:Danawa e-sports logo.pngDNW3236147160113₩ 50,000,00020준우승
PCS 6
3위파일:GHIBLI_E-SPORTS.pngGBL2177125151103₩ 10,000,000103위
PCS 6
4위파일:Gen.G 로고 심플.svgGEN320912413993₩ 10,000,0005PCS 6
5위파일:Maru_Gaming_only.pngMG317110413684₩ 5,000,000
6위파일:Veronica 7 logo.pngV721238311271₩ 5,000,000
7위파일:Eagle_Owls_allmode_2022.pngEOS2945611061₩ 3,000,000그랜드 파이널
8위파일:Global Esports Xsset_only.pngGEX419212711073₩ 3,000,000PCS 6
9위파일:DWG KIA 엠블럼.svgDK216510310669₩ 2,000,000그랜드 파이널
10위파일:Donuts_USG_only_Logo.pngUSG425416910372₩ 12,000,000PCS 6
11위파일:Emtek_StormX_teamcard.pngemT219812310176₩ 10,000,000그랜드 파이널
12위파일:ATA_only.pngATA21481009363₩ 0
13위파일:OPGG SPORTS notext 2020.pngOPGG32131328945₩ 0
14위파일:SunSister_only_logo.pngSST391587651₩ 0
15위파일:ENTER FORCE36_only_logo.pngE3641991076736₩ 0
16위파일:ShuaiGeDui_allmode.pngSD42561845440₩ 0
17위파일:V3_Esports_2021_only.pngV3F27542XX₩ 0위클리 시리즈
18위파일:GNL_ESPORTS_2022.pngGNL16646XX₩ 0
19위파일:Go_Go_Push.pngGGP15938XX₩ 0
20위파일:Always_Outside_the_Circle.pngAOC25940XX₩ 0
21위파일:No-Name logo.pngNON14823XX₩ 0
22위파일:Aura_Esports_logo.pngAE14731XX₩ 0
23위파일:BigDealMen.pngBDM24440XX₩ 0
24위파일:Violet_Raccoon.pngACN13222XX₩ 0
25위파일:GoNGo_Prince_logo.pngGnG13231XX₩ 0
26위파일:Ghost_Miao_logo.pngGST13121XX₩ 0
27위파일:Rascal_Jester.pngRJ13025XX₩ 0
28위파일:FENNEL_symbol.png[[파일:FENNEL_symbol_white.pngFL12924XX₩ 0
29위파일:Airen_allmode.pngAIR11915XX₩ 0
30위파일:Irohanipopeto_Samurai_notext_allmode.pngISG11312XX₩ 0
31위파일:3r_gaming_lotus_logo.png3RLXXXXX₩ 0
32위파일:Deadly_Strike_notext_lightmode.pngDESTXXXXX₩ 0
33위파일:CYCLOPS_athlete_gaming.pngCAGXXXXX₩ 0
34위파일:REJECT_2020_logo.pngRCXXXXX₩ 0
35위파일:King_Back_allmode.pngKBXXXXX₩ 0
36위파일:Relaxedly_logo.pngRAXXXXXX₩ 0
37위파일:DBH_Gaming_2020.pngDBHXXXXX₩ 0
38위파일:Apple_Cat_Stu_allmode.pngACTXXXXX₩ 0
39위파일:KingSlayer_2021.pngKSRXXXXX₩ 0
40위파일:The_Super_Tank_logo.pngTSTXXXXX₩ 0
41위파일:Mariner_logo.pngMRNXXXXX₩ 0
42위파일:arcana_PUBG.pngARCXXXXX₩ 0
43위파일:Romantic_Killer_Alliance_allmode.pngRKAXXXXX₩ 0
44위파일:Aurum_Rect_allmode.pngARXXXXX₩ 0
45위파일:CTG_IbushiGin_allmode.pngIBSGXXXXX₩ 0
46위파일:Team_XXX_logo.pngXXXXXXXX₩ 0
47위파일:SUNNY_SIDE_UP.pngSSUXXXXX₩ 0
48위파일:Takoyaki_PUBG.pngOFXXXXX₩ 0

2. 평가[편집]


전체적으로 압도적인 1황과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나는 상위권, 그리고 고만고만한 중하위권. 그리고 웃음거리로 전락한 일부 하위권 팀도 보이며 여전히 팀 간의 성적 차이가 극심했다.

이번 PWS 동아시아 Phase 1의 큰 화두는 한국 특유의 운영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광동 프릭스의 저력과, 선수들의 이름값으로 버티는 데 실패한 담원 기아의 부진이었다. 그리고 1년 반 만에 틈새 시장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난 일본 팀의 약진과 극명한 온도차이를 보인 차이니즈 타이페이 두 팀의 행보가 눈에 띄었다.


2.1. 대한민국[편집]


무난히 우승을 거두었고, 실망으로 점철된 2021 시즌을 마치고 분명히 변화된 컬러를 보여준 두 팀을 중심으로 새로운 판짜기에 들어간 팀들 역시 대거 PCS 6에 진출하며 기대감을 약간이나마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2021년 Newhappy가 우승하면서 모든 선수가 다 잘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은 대한민국의 일부 팀들은 다시 돌아온 S.U.P.E.R. 룰에 맞추어 과감한 포지셔닝과 저돌적인 플레이로 꾸준히 위클리 파이널 상위권에 랭크되는 등 호재를 누렸다. 그러나, 전형적인 한국식 운영이 이미 PCS와 PGC에서 파훼되었음을 봤음에도 단순한 멤버 바꾸기에만 초점을 둔 일부 팀들은 실망스러운 성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위클리 파이널 한정이긴 하지만 타 지역 팀이 우승하는 것을 최초로 목도했으며 단순한 플루크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한국 팀들은 해외 팀들의 경기력 향상에 대비한 보완책을 꾸릴 수밖에 없게 되었다.


2.2. 일본[편집]


2019 Sunsister, 2020 DetonatioN Gaming White에 이어 2021년 일본의 황제로 군림하고 있던 ENTER FORCE.36을 끌어내리고 새로운 일본의 황제로 등극할 경쟁자 팀이 나타났다. 그 팀은 바로 Donuts USG인데, ENTER FORCE.36이 장악하고 있던 일본 지역 위클리 서바이벌에서 세 번이나 압도적인 차이로 끌어내리고 1위로 올라왔고, 일본 내 어느 팀도 해내지 못한 위클리 파이널 1위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써 내렸다. 반면, 다른 팀들은 기존 일본 팀 하면 생각하는 이미지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했고 위클리 파이널에 올라와서도 성적이 좋지 못했다.


2.3. 차이니즈 타이페이 / 홍콩 / 마카오[편집]


PGC 7위를 기록한 Global Esports Xsset이 드디어 기지개를 펴고 PWS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게 되는가에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나, 이번 대회 초반~중반에 주목을 받았던 팀은 중국팀 못지 않은 저돌적인 플레이로 한국 팀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前 Aura Esports 멤버들이 주축이 되어 창단한 ShuaiGeDui였다. 그러나, 막상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자 직전 세계 대회에서 큰 경험을 얻은 Global Esports Xsset의 노련한 운영과 더불어 ShuaiGeDui의 플레이 스타일이 파훼되면서 초중반 모습과 정반대의 양상으로 귀결되었다.


3. 결론[편집]


위의 광동의 압도적인 우승으로 PCS 6 ASIA에 광동 프릭스, 젠지 이스포츠, 다나와 이스포츠, 기블리 이스포츠의 호성적을 기대하는 한국 팬들이 많았으나, 결과적으로는 하향 평준화된 리그에서 잘 해봤자 단지 자국 여포일 뿐, 아시아 우승권과 거리가 먼, 사실상 의미 없다는 것을 PCS 6 ASIA의 성적으로 증명했다. 다음 시즌에 대한 한국, 일본, 대만 세 지역 팬들의 이스포츠 신에 대한 기대치가 크게 떨어져 버렸다. 이미 겉잡을 수 없이 벌어진 리그 수준 차이로 인해 더 이상의 반등은 힘들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며, 다음 시즌이 끝나고 PGC 성적에 따라서 PWS라는 리그 자체의 존폐가 위협당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5:54:21에 나무위키 2022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결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