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1 수디르만컵

덤프버전 :


2021 수디르만컵
2021 TotalEnergies BWF 수디르만컵
TotalEnergies BWF Sudirman Cup Finals 2021
파일:2021 수디르만컵.png
대회 기간2021년 9월 26일~2021년 10월 3일
개최지핀란드 반타
참가국16개국

1. 개요
2. 참가국
3. 대회 진행
3.1. 조별 예선
3.1.1. A조
3.1.2. B조
3.1.3. C조
3.1.4. D조
3.2. 본선
4.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2021 수디르만컵은 역대 17번째로 열리는 수디르만컵 대회로 2021년 9월 26일부터 10월 3일까지 핀란드 반타 에네르기아 아레나에서 열린다. 핀란드에서 본 대회가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본래 중국 쑤저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개최지가 변경되었고, 차기 대회인 2023년 대회가 쑤저우에서 열리게 되었다.

수디르만컵은 세계혼합단체선수권대회로, 국가 별로 남자 단·복식, 여자 단·복식, 혼합복식으로 팀을 구성해 우승을 가리게 된다. 매 경기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순서대로 진행되며 먼저 3승을 거두면 경기를 이기게 된다. 이번 대회에는 총 16국가가 참가하며, 4팀씩 4개조로 나누어 조별예선을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최종 순위를 가른다.


2. 참가국[편집]


A조
B조
C조
D조

  • 본래 프랑스호주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불참을 선언하며 핀란드[1]프랑스령 폴리네시아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
  •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독일은 이번 대회 참가로 1989년 수디르만컵이 시작된 이후 모든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 이집트가 처음으로 참가하며,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이번 대회가 두번째 수디르만컵 출전이다.


3. 대회 진행[편집]



3.1. 조별 예선[편집]



3.1.1. A조[편집]


|
순위표

파일:1px 투명.svg|<-5> ||<-3> 매치 ||<-3> 세트 ||<-3> 포인트 ||<-2> ||
순위
국가
경기수
승점
비고
1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30132+11274+23621380+24138강
2파일:태국 국기.svg 태국321114+7229+13571461+1102
3파일:인도 국기.svg 인도312510-51021-11492580-881탈락
4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303114-13328-25380643-2630



3.1.2. B조[편집]


|
순위표

파일:1px 투명.svg|<-5> ||<-3> 매치 ||<-3> 세트 ||<-3> 포인트 ||<-2> ||
순위
국가
경기수
승점
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30141+13285+23672422+25038강
2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321105+52213+9666502+1642
3파일:독일 국기.svg 독일31269-31618-2612565+471탈락
4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303015-15030-30169630-4610



3.1.3. C조[편집]


|
순위표

파일:1px 투명.svg|<-5> ||<-3> 매치 ||<-3> 세트 ||<-3> 포인트 ||<-2> ||
순위
국가
경기수
승점
비고
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330114+7258+17647523+12438강
2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321114+72310+13625533+922
3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31269-31320-7574611-371탈락
4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03213-11528-23491670-1790



3.1.4. D조[편집]


|
순위표

파일:1px 투명.svg|<-5> ||<-3> 매치 ||<-3> 세트 ||<-3> 포인트 ||<-2> ||
순위
국가
경기수
승점
비고
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30141+13293+26665383+28238강
2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32196+31913+6593482+1112
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1278-11517-2570527+431탈락
4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03015-15030-30194630-4360



3.2. 본선[편집]


|
토너먼트 대진표

파일:1px 투명.svg|

8강


A1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
C2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

D2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3
C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2


B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
A2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

B2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1
D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
||
4강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

결승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
||
|
경기 일정 및 결과[2]

파일:1px 투명.svg|<-4><rowbgcolor=#213564> ||
8강
QF12021.10.01. 10:00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3 - 2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상세 내용 보기 ]

1
MD
파일:중국 국기.svg⠀허 지팅-저우 하오동
파일:덴마크 국기.svg⠀앤더스 S. 라스무센-F. 소가드
21
17
16
21
19
21
2
WS
파일:중국 국기.svg⠀첸 유페이
파일:덴마크 국기.svg⠀미아 블리치펠트
18
21
21
8
21
17
3
MS
파일:중국 국기.svg⠀스 위치
파일:덴마크 국기.svg⠀빅토르 악셀센
18
21
14
21
4
WD
파일:중국 국기.svg⠀첸 칭첸-지아 이판
파일:덴마크 국기.svg⠀마이켄 프루에르가드-사라 시겐센
21
10
21
13
5
XD
파일:중국 국기.svg⠀왕 이류-황 둥핑
파일:덴마크 국기.svg⠀M. 크리스티안슨-A. 뵈예
21
18
21
12

QF22021.10.01. 10:0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3 - 2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상세 내용 보기 ]

1
X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원호-공희용
파일:태국 국기.svg⠀D. 푸아바라눅로-S. 테라타나차이
9
21
17
21
2
M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허광희
파일:태국 국기.svg⠀K. 비티드산
21
16
7
21
22
20
3
W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안세영
파일:태국 국기.svg⠀포른파위 초추웡
21
18
21
3
4
M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솔규-서승재
파일:태국 국기.svg⠀수팍 좀코-키티누퐁 케드렌
18
21
22
24
5
W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소희-신승찬
파일:태국 국기.svg⠀J. 키티타라쿨-S. 테라타나차이
21
11
17
21
21
19

QF32021.10.01. 16:00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3 -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시네아
[ 상세 내용 보기 ]

1
M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아론 시아-소 위 익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마르쿠스 F. 기데온-케빈 S.수카물조
21
12
21
15
2
WS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키소나 셀바두레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그레고리아 마리스카 턴정
20
22
21
18
19
21
3
MS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 지 지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안토니 시니스카 긴팅
21
11
21
16
4
W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펄리 탄-티나 무라리타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그레이시아 폴리-압리야니 라하유
20
22
21
17
18
21
5
X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후 팡 론-체아 이 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프라빈 조단-멜라티 D. 옥타비안티
21
19
9
21
21
16

QF42021.10.01. 16:00
중화 타이베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1 - 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상세 내용 보기 ]

1
MD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리 제훼이-양 포이수안
파일:일본 국기.svg⠀아키라 코가-타이치 사이토
21
13
22
20
2
WS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파이 위포
파일:일본 국기.svg⠀아카네 야마구치
11
21
13
21
3
MS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초우 티엔첸
파일:일본 국기.svg⠀모모타 켄토
16
21
21
19
17
21
4
WD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쑤 야칭-후 링팡
파일:일본 국기.svg⠀마유 마츠모토-미사키 마츠모토
17
21
8
21
5
XD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루 칭야오-창 칭후이
파일:일본 국기.svg⠀유타 와타나베-아리사 히가시노
N/A

4강
SF12021.10.02. 10:00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3 - 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상세 내용 보기 ]

1
XD
파일:중국 국기.svg⠀왕 이류-황 둥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승재-신승찬
21
14
21
15
2
MS
파일:중국 국기.svg⠀스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허광희
17
21
21
9
21
11
3
WS
파일:중국 국기.svg⠀첸 유페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안세영
14
21
21
15
21
15
4
MD
파일:중국 국기.svg⠀리우 청-왕 이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솔규-서승재
N/A
5
WD
파일:중국 국기.svg⠀첸 칭첸-지아 이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소희-신승찬
N/A

SF22021.10.02. 16:00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1 - 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상세 내용 보기 ]

1
M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아론 시아-소 위 익
파일:일본 국기.svg⠀타쿠로 호키-유고 고바야시
15
21
14
21
2
WS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키소나 셀바두레이
파일:일본 국기.svg⠀아카네 야마구치
7
21
5
21
3
MS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 지 지아
파일:일본 국기.svg⠀모모타 켄토
22
20
21
19
17
21
4
W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펄리 탄-티나 무라리타란
파일:일본 국기.svg⠀마유 마츠모토-미사키 마츠모토
19
21
17
21
5
XD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후 팡 론-체아 이 세
파일:일본 국기.svg⠀유타 와타나베-아리사 히가시노
N/A

결승
Final2021.10.03. 13:00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3 - 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상세 내용 보기 ]

1
MD
파일:중국 국기.svg⠀허 지팅-저우 하오동
파일:일본 국기.svg⠀타쿠로 호키-유고 고바야시
21
17
14
21
21
16
2
WS
파일:중국 국기.svg⠀첸 유페이
파일:일본 국기.svg⠀아카네 야마구치
19
21
16
21
3
MS
파일:중국 국기.svg⠀스 위치
파일:일본 국기.svg⠀모모타 켄토
21
13
8
21
21
12
4
WD
파일:중국 국기.svg⠀첸 칭첸-지아 이판
파일:일본 국기.svg⠀마유 마츠모토-미사키 마츠모토
21
17
21
16
5
XD
파일:중국 국기.svg⠀왕 이류-황 둥핑
파일:일본 국기.svg⠀유타 와타나베-아리사 히가시노
N/A




4. 최종 순위[편집]



순위
국가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5/8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5/8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5/8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5/8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9/1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9/12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9/12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9/12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러시아 배드민턴 협회[5]
13/16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3/16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3/16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3/16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1:03:21에 나무위키 2021 수디르만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최지가 중국 쑤저우에서 핀란드 반타로 변경되었지만, 개최국은 변동없이 유지하기로 하였고 핀란드는 원래 참가 자격이 없었던 관계로 개최국임에도 불구하고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뻔 했으나, 타 참가국의 기권으로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2]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EET, UTC+02:00) 기준[3] 두 대회 연속 우승[4] 두 대회 연속 준우승[5] National Badminton Federation of Rus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