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각 지역별 올스타

덤프버전 :

1. 개요
2. 프로게이머 인기투표 결과
3. 참가자 명단
3.1. LCS(북미)
3.2. LEC(유럽)
3.3. LPL(중국)
3.4. LCK(한국)
3.5. CBLOL(브라질)
3.6. LLA(라틴아메리카)
3.7. LJL(일본)
3.8. OPL(오세아니아)
3.9. TCL(터키)
3.10. LCL(독립국가연합)
3.11. LMS(대만·홍콩·마카오)
3.12. VCS(베트남)
3.13. LST(동남아시아)


1. 개요[편집]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의 선발 명단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

2018년 롤스타전의 결산 쪽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중계 시청자수 측면에서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뒀기 때문인지 이번에도 프로게이머들의 비중을 확 낮춘 즐겜 모드의 올스타전으로 2년 연속 진행했다.

참가자 선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각 지역별 인기투표로 선정된 프로게이머 2~4인
    • 지역별 서머 시즌 1부 리그 소속팀 선수들 전원이 인기투표 대상이 된다.[1]
    • 소속팀이나 포지션과 관계없이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2명이 올스타전에 참가한다.
  • 각 지역별 라이엇 선정 '리그 파트너' 다수
    • 지역별 리그 오브 레전드 파트너 프로그램 등록 리스트와 유명 커뮤니티 네임드 유저 중 라이엇이 직접 선정한다.[2]
    • 파트너 프로그램 기준은 크게 LOL 파트너 스트리머[3], LOL 파트너 코스플레이어[4], LOL 크리에이터[5] 등으로 나뉜다.

공식 인기투표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라면 이번에도 타국 리그의 인기투표에 참가할 수 있으나, 역시 투표 반영율은 20%로 제한하고 있다.

이번에도 자체적인 올스타 인기투표를 하는 리그 중 LMS/VCS/LST 3개 리그가 라이엇 공식 인기투표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라이엇 게임즈 올스타전과 별개로 2017년까지의 구 롤스타전 포맷을 차용한 리그 자체의 올스타전을 따로 기획해 진행하는 LPL에서 올스타전 참가 선수의 투표를 함께 진행한다. 정확하게는 LPL 자체 올스타전의 인기투표를 중국 서버 소속 소환사들에게만 열어두고 전체 올스타전의 투표를 열어놓은 건데, 아무래도 빡겜 내전 올스타전 쪽에 중국 내부의 반응만 반영하고 즐겜 올스타전 쪽에 세계적인 반응도 20% 챙겨 보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2. 프로게이머 인기투표 결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각 지역별 올스타/인기투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자 명단[편집]



3.1. LCS(북미)[편집]


프로 선수[6]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Bang1대1 토너먼트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CoreJJ1대1 토너먼트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5대5 결전
파일:미국 국기.svgSneaky1대1 토너먼트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미국 국기.svgTyler1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파일:미국 국기.svgYassuo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파일:미국 국기.svgNickiTaylor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캐나다 국기.svgRedmercy5대5 결전
파일:미국 국기.svgScarra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미국 국기.svgHafu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캐나다 국기.svgDisguised Toast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미국 국기.svgBecca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미국 국기.svgdogdog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3.2. LEC(유럽)[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벨기에 국기.svgBwipo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파일:덴마크 국기.svgCaps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파일:폴란드 국기.svgJankos1대1 토너먼트
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5대5 결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Mikyx1대1 토너먼트
5대5 결전
U.R.F.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영국 국기.svgAnnchirisu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독일 국기.svgNoway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파일:독일 국기.svgJustJohnnyU.R.F. 모드 경기
파일:스페인 국기.svgJackyU.R.F. 모드 경기
파일:스페인 국기.svgManute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프랑스 국기.svgMelon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폴란드 국기.svgNervarien북미 vs 유럽 5대5 결전
파일:독일 국기.svgSologesang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파일:스페인 국기.svgEvangelion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프랑스 국기.svgNarkuss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폴란드 국기.svgLothar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3.3. LPL(중국)[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Doinb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TheShy1대1 토너먼트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파일:중국 국기.svgTian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5대5 결전
파일:중국 국기.svgUzi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5대5 결전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1996Zzr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WEIXIAO5대5 결전
파일:중국 국기.svgshuyi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Fireloli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파일:중국 국기.svgsaonan5대5 결전
파일:중국 국기.svgQingwaU.R.F. 모드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cat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파일:중국 국기.svgGoDlike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Misaya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중국 국기.svgxiaoze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중국 국기.svgHONGLIAN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중국 국기.svgKongmen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중국 국기.svgYUyuanyuan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3.4. LCK(한국)[편집]


프로 선수[7]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Clid[8]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Faker[9]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Peanut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5대5 결전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AmbitionU.R.F. 모드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Madlife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Jelly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Narakyle한국 vs 중국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JustLikeThatU.R.F. 모드 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Dalsam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Jinsol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3.5. CBLOL(브라질)[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브라질 국기.svgGoku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5대5 결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Shrimp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브라질 국기.svgRiyuuka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브라질 국기.svgJschritte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브라질 국기.svgJoviU.R.F. 모드 경기


3.6. LLA(라틴아메리카)[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칠레 국기.svgPlugo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파일:멕시코 국기.svgSeiya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5대5 결전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Duende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Rojan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멕시코 국기.svgxChronofox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멕시코 국기.svgTio Feeder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3.7. LJL(일본)[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일본 국기.svgCeros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일본 국기.svgEvi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5대5 결전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일본 국기.svgKane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3.8. OPL(오세아니아)[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호주 국기.svgChippys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호주 국기.svgPabu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호주 국기.svgMidbeast5대5 결전


3.9. TCL(터키)[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스웨덴 국기.svgBolulu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튀르키예 국기.svgCloser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olyPhoenix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U.R.F. 모드 경기
파일:튀르키예 국기.svgLoL Pit
파일:튀르키예 국기.svgLevo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3.10. LCL(독립국가연합)[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러시아 국기.svgAHaHaCiK1대1 토너먼트
U.R.F. 모드 경기
파일:러시아 국기.svgNomanz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벨라루스 국기.svgSharkz
파일:러시아 국기.svgFlashInTheNightU.R.F. 모드 경기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3.11. LMS(대만·홍콩·마카오)[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만 국기.svgFoFo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U.R.F. 모드 경기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대만 국기.svgZiv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대만 국기.svgMMD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대만 국기.svgStanley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3.12. VCS(베트남)[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베트남 국기.svgOptimus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5대5 결전
파일:베트남 국기.svgLevi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5대5 결전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베트남 국기.svgViruSs전략적 팀 전투 경기 (전설이부)
파일:베트남 국기.svgTeacher Three둘이서 한마음 모드


3.13. LST(동남아시아)[편집]


프로 선수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태국 국기.svgG41대1 토너먼트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필리핀 국기.svgExosen1대1 토너먼트
전략적 팀 전투 경기 (꼬마부)
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유명인사
국적닉네임출전 경기
파일:필리핀 국기.svgSuzzysaur둘이서 한마음 모드 경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8:42:37에 나무위키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각 지역별 올스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때문에 2020년 1차 스플릿 기준으로 2부 리그로 강등된 팀의 선수들이나, 프랜차이즈 탈락 또는 팀 해체 등으로 후보 등록일 기준 소속팀이 없는 선수, 은퇴한 선수라도 올스타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2019 서머 시즌 기준으로 진에어 그린윙스에 소속되어 있던 선수들이 강등팀 소속 후보군에 해당되며, 고동빈/권상윤/윤석준/허원석 4명이 은퇴 선수 후보군에 해당된다.[2] 파트너 리스트 중 현역 프로게이머나 현역 감독 및 코치진은 선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 대신 롤스타전 투표 개시일 기준으로 은퇴한 감코진이나 전직 선수들은 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3] 리그 오브 레전드를 직접 플레이하면서 티어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게임 방송인 또는 게임 방송 크루 멤버들.[4] 리그 오브 레전드 공식 행사에 초청되어 코스프레 이벤트를 진행한 팀 또는 개인. 다만 이 카테고리의 경우 2018년에는 단 한 명도 뽑히지 못했다.[5] 리그 오브 레전드 플레이가 주 컨텐츠가 아니지만 관련 영상을 편집하여 올리는 크리에이터, 혹은 직접 플레이하나 티어가 낮아 파트너 스트리머의 자격에 미치지 못하는 게임 방송인.[6] Doublelift 와 Bjergson의 참가포기로 인해 3명 출전[7] Deft의 올스타 참가 포기로 3명출전[8] 득표율 17.8%[9] 득표율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