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아시아 태평양 컬링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 0)

역대 아시아 태평양 컬링선수권 대회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2015 알마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의성
파일:호주 국기.svg
2017 에리나

남자부 결승전여자부 결승전
평창 올림픽에서 돌풍을 일으킨 경북체육회팀이다.

파일:2016-pacc-logo.jpg
대회 기간2016년 11월 5일 ~ 11월 12일
개최국·지역대한민국/의성군
경기장경북컬링훈련원
대회 결과
남자부일본(우승)
중국(준우승)
여자부대한민국(우승)
중국(준우승)
PACC 사이트

Pacific-Asia Curling Championships 2016

1. 개요
2. 남자부
2.1. 참가 구단
2.2. 예선
2.2.1. 드로 1
2.2.2. 드로 2
2.2.3. 드로 3
2.2.4. 드로 4
2.2.5. 드로 5
2.2.6. 드로 6
2.2.7. 드로 7
2.2.8. 드로 8
2.2.9. 드로 9
2.3. 플레이오프
2.3.1. 4강
2.3.2. 3/4위전
2.3.3. 결승
3. 여자부
3.1. 참가 구단
3.2. 예선
3.2.1. 드로 1
3.2.2. 드로 2
3.2.3. 드로 3
3.2.4. 드로 4
3.2.5. 드로 5
3.2.6. 드로 6
3.2.7. 드로 7
3.3. 플레이오프
3.3.1. 4강
3.3.2. 3/4위전
3.3.3. 결승



1. 개요[편집]


2016년 열린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남자는 상위 2팀, 여자는 중국을 제외한 상위 1개 구단에게[1] 2017 세계컬링선수권대회 출전권이 주어졌다.

홍콩 여자 구단, 카타르 남녀 구단이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다.


2. 남자부[편집]



2.1. 참가 구단[편집]


구단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원도청)
김수혁김태환박종덕남윤호유민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하얼빈컬링팀)
리우루이쉬샤오밍[2]저우치앙장지아량장티안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SC가루이자와클럽)
모로즈미 유스케[3]시미즈 테츠로야마구치 츠요시모로즈미 코스케[4]히라타 코우스케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이언 팔란지오[5]제이 머천트딘 휴잇데릭 스미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피터 드 보어[6]션 베커[7]스캇 베커[8]워런 돕슨안톤 후드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랜돌프 셴니콜라스 슈브렌든 리우린 팅리스티븐 쿠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빅토르 킴[9]아빌라이칸 주즈베이무즈디베이
쿠다이베르게노프
디미트리 가라굴레나스 아크마드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제이슨 창데릭 렁존 리테디 렁마틴 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압둘라만 나빌사드 알파드 아흐메드압둘라지즈 알마제드자베르 알-오트할리압둘라만 모하메드 자인


2.2. 예선[편집]


구단스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수혁7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리우루이71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랜돌프 셴6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모로즈미 유스케6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피터 드 보어4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제이슨 창35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이언 팔란지오26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빅토르 킴17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압둘라만 나빌08

플레이오프 진출


2.2.1. 드로 1[편집]


11월 5일, 오후 5시 30분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002020XX3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3100202XX8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2004030XX1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0010002XX3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001001X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1110110X7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0001XX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4421510XX19


2.2.2. 드로 2[편집]


11월 6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000110XXX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120002XXX8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42030340XX1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101001XX3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01020020X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20402002X10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0010030117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200201005


2.2.3. 드로 3[편집]


11월 6일, 오수 7시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0002101X6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0000010X1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모로즈미 유스케)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2100101X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210023010X9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42340306XX2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1010XX2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200201101X1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01010010X3


2.2.4. 드로 4[편집]


11월 7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00010030X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32201100X9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00200301X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01020010X4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리우루이)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10010100003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0101002037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110XXXXX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03XXXXXX
카자흐스탄 팀이 심판 판정에 대한 불만으로 기권했다. 원래 6엔드까지 경기가 진행돼야 경기가 성립하기에 몰수경기처럼 끝났다.


2.2.5. 드로 5[편집]


11월 8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02001001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1011010004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10100102016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021020005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21001203XX9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100010XX2

12345678910결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4225341XXX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000XXX0


2.2.6. 드로 6[편집]


11월 8일, 오후 7시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100100XX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21012011XX8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1110101308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100010500310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11000102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0021001005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모로즈미 유스케)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1010201XX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204020XX10


2.2.7. 드로 7[편집]


11월 9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10001010X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3210302X13

12345678910결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0102000104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1000031016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10010XX2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52204202XX17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020101022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20010101005
경기 인터뷰 & 승리팀 스킵(김수혁) 인터뷰


2.2.8. 드로 8[편집]


11월 10일, 오전 8시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21021110X10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100001X2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2002010X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10010102X5

12345678910결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10303001X8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00010110X3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51103012XX13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10100XX2


2.2.9. 드로 9[편집]


11월 10일, 오후 4시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0020102031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2101020208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100101000X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03010002X6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10011003X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1100010X3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리우루이)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0010030X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10202103X9


2.3. 플레이오프[편집]



2.3.1. 4강[편집]


11월 11일, 오후 7시

1234567891011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예선 4위)020010020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예선 1위)101100100105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모로즈미 유스케)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예선 2위)50200301XX11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예선 3위)02011010XX5


2.3.2. 3/4위전[편집]


11월 12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1220010X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40001001X6


2.3.3. 결승[편집]


11월 12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02000020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1100000013
경기 하이라이트, 양팀 스킵 인터뷰


3. 여자부[편집]



3.1. 참가 구단[편집]


스킵서드세컨드리드핍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북체육회)
김은정김경애김선영김영미김초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LS키타미)
후지사와 사츠키요시다 치나미스즈키 유미요시다 유리카모토하시 마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하얼빈컬링팀)
왕빙위저우얀리우진리양잉메이지에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제니퍼 웨스트하겐로렌 와그너크리스틴 초른스스테파니 바앤 파웰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첼시 팔리티비아 예야라냔[10]엠마 수터랜드홀리 톰슨엘리자베스 매튜스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라미나 유니체바아나스타샤 수르게이카밀라 바카노바디아나 토르키나시토라 알리야로바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훙링웨줄리 모리슨[11]샹아다아슈라 웡-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무바르카 알-압둘라콜루드 알-무크다드레함 알-무크다드라라 차크-


3.2. 예선[편집]


스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은정6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왕빙위6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후지사와 사츠키6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첼시 팔리43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제니퍼 웨스트하겐3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훙링웨2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라미나 유니체바1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무바르카 알-압둘라07

플레이오프 진출


3.2.1. 드로 1[편집]


11월 6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100XXX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251054XXX20

1234567891011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0200202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201001003-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김은정) 인터뷰
엑스트라 엔드 진행 중 중국팀 마지막 스킵샷을 남겨둔 상태에서 시간 초과로 한국이 이겼다.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20401066XX19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2010100XX4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100302100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0120100128


3.2.2. 드로 2[편집]


11월 7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3303110XX1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0020001XX3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2144124XX18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0000000XX1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21000202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1002120108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10150203X14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1001030X5


3.2.3. 드로 3[편집]


11월 7일, 오후 7시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01000XXX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150734XXX23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000XXX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5324250XXX21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000020XXX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144304XXX18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3243XXXX14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10000XXXX1


3.2.4. 드로 4[편집]


11월 8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52306XXXX2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010XXXX1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1010100XX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504031XX15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1000XXX1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5230713XXX21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10100XXX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203011XXX9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김은정) 인터뷰


3.2.5. 드로 5[편집]


11월 9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3042102XX14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300010XX4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413405XXXX17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010XXXX1

12345678910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42032XXXX11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100XXXX1

12345678910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10100102X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3001030X8


3.2.6. 드로 6[편집]


11월 9일, 오후 7시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102201000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100101027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왕빙위)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200010126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022001005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844257XXXX30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00000XXXX0
그 어렵다는 에잇 엔더가 실제로 나왔다. 이 대회 경기 중 최다득점 경기.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1000201XX4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0451040XX16


3.2.7. 드로 7[편집]


11월 10일, 오후 1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01000XXX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310115XXX11

1234567891011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001101101117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00040000006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0121000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1000021004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후지사와 사츠키) 인터뷰

12345678910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0010000XX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3506422XX22


3.3. 플레이오프[편집]



3.3.1. 4강[편집]


11월 11일, 오전 10시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예선 4위)010020010X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예선 1위)201201105X12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김은정) 인터뷰

11월 11일, 오후 2시

12345678910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예선 3위)010001100X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예선 2위)201010011X6
경기 하이라이트 & 승리팀 스킵(왕빙위) 인터뷰


3.3.2. 3/4위전[편집]


11월 12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0020010X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12101101X10


3.3.3. 결승[편집]


11월 12일, 오전 9시

12345678910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00102020X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010010100X3
경기 하이라이트 & 양팀 스킵 인터뷰

경기 후 인터뷰에서 김은정이 마침내 세계선수권에 나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는데, 주니어 시절을 포함한 팀 킴의 세계선수권 진출 도전은 다음과 같다.

  • 2011 주니어 세계선수권: 2011 아시아 태평양 주니어 선수권 대회(PJCC) 1위팀만 출전. 2위로 출전 실패.
  •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 2012 PAJCC 1위팀만 출전. 2위로 출전 실패.
  •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 2013 PAJCC 1위팀만 출전. 2위로 출전 실패.
  • 2013 세계선수권: 2012 아시아 태평양 선수권 대회(PACC) 2위팀까지 출전. 3위로 출전 실패.
  • 2014 세계선수권: 2013 PACC 2위팀까지 출전. 국가대표 선발전 탈락.
  • 2015 세계선수권: 2014 PACC 1위팀만 출전. 2위로 출전 실패.
  • 2016 세계선수권: 2015 PACC 2위팀까지 출전. 국가대표 선발전 탈락.
  • 2017 세계선수권: 2016 PACC 1위팀만 출전. 1위로 첫 세계선수권 출전권 획득.

그리고 2018 세계선수권에는 출전권이 2017 PACC 3위팀까지로 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28:04에 나무위키 2016 아시아 태평양 컬링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평양-아시아 지역 2개 구단만 세계 선수권에 출전할 수 있는데 2017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는 중국에서 열려 중국 여자 구단은 개최국 자격으로 이미 출전권을 확보했다.[2] 김지선의 남편.[3] 모로즈미 코스케의 형.[4] 모로즈미 유스케의 동생.[5] 오스트레일리아 컬링 연맹 부회장.[6] 스코틀랜드 출신. 2004년과 2005년 스코틀랜드선수권에서 준우승했었다. 2007년 뉴질랜드로 이주했다.[7] 스캇 베커의 형.[8] 션 베커의 동생.[9] 카자흐스탄 컬링 협회장 겸 남녀팀 감독 겸임. 고려인 3세. 미국에서 건설업으로 성공한 사업가 출신으로, 컬링에 빠져 집에도 2시트 규모의 컬링 경기장이 있다고.[10] 스리랑카 태생.[11] 스코틀랜드인으로, 1989년 세계주니어선수권에서 동메달을 땄다. 2015년 대회 때는 홍콩 남자 대표팀의 코치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