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5 MBC 가요대제전: 가요대백과

덤프버전 :


2015 MBC 가요대제전: 가요대백과 (2015)
2015 MBC Gayo Daejejeon: Gayo Daebaeggwa

파일:2015_gayo.pn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선정성, 언어)
채널MBC
편성 시간2015년 12월 31일 20:55
개최 장소MBC 일산 드림센터 ST 6
MBC 상암 본사 방송센터 A 스튜디오
임진각 평화의 종
기획전진수
연출
일산
정창영
상암
전성호
임진각
강궁
진행자
일산
김성주, 윤아
상암
정용화, 이정신[1]
임진각
서인
출연자2PM, AOA, Apink, B1A4, B.A.P, CNBLUE, EXID, EXO, GOT7, VIXX, Zion.T, 다이나믹 듀오, 러블리즈, Red Velvet, 비투비, 마마무, 몬스타엑스, 박진영, 방탄소년단, 백지영, 샤이니, 세븐틴, 소나무, 소녀시대, 신화, 신승훈, 업텐션, 여자친구, 원더걸스, 인피니트, 크러쉬, 태연, 태진아, 틴탑, 포미닛, 홍진영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 개요
2. 기획의도
3. 진행자
4. 공연 목록
5. 시청률
6. 여담



1. 개요[편집]


2015년 진행된 MBC 가요대제전에 대한 문서다.

2015년 12월 31일에 개최되었으며, 김성주, 윤아가 MC를 맡았다. 김성주는 3년 연속으로 MC를 맡았다.

MBC 연말 가요 축제 프로그램이 올해로 50년을 맞이하게 된다는 점을 반영하여 부제는 가요대백과로 정해졌다.


2. 기획의도[편집]


파일:2015가요대제전소개.png


3. 진행자[편집]


메인 진행자
파일:2015가요대제전진행자.png
김성주윤아


4. 공연 목록[편집]


순서출연자타이틀보기
1부
1현진영, 2PM, GOT7흐린 기억속의 그대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러블리즈Marry You
원곡: 브루노 마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Ah-Choo
4Red VelvetIce Cream Cak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여자친구오늘부터 우리는[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백지영총 맞은 것처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백지영, 종현그 여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몬스타엑스HERO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비투비괜찮아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GOT7니가 하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마마무Single Lady
원곡: 레이디 가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음오아예
13Zion.T양화대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EXID위아래[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VIXX이별공식
원곡: R.ef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서은광, 이창섭, 전지윤, 홍진영버스 안에서
원곡: 자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CNBLUE매일 그대와
원곡: 들국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세븐틴만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오마이걸CUPI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소나무빙그르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업텐션위험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방탄소년단I NEED 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RUN
23ApinkRememb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B1A4Sweet Girl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4minute미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원더걸스So Hot (Band V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I Feel You
28신승훈I Belie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처음 그 느낌처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부
1Zion.T스폰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B.A.P내 어릴 적 꿈
원곡: 터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Love is...(3+3=0)
원곡: 터보
4박진영I'm so Sex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에일리너나 잘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AOA심쿵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EXIDHOT PINK (Rock ver.)[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B1A4거짓말
원곡: go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Red Velvet너를 사랑해
원곡: S.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업텐션캔디
원곡: H.O.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에이핑크영원한 사랑
원곡: 핑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방탄소년단Perfect Man
원곡: 신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다이나믹 듀오, 크러쉬Oas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Ring My Bell
15틴탑아침부터 아침까지[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CNBLUE신데렐라 (Feat. 제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홍진영산다는 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사랑의 배터리
19태진아동반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진진자라
21태진아, 홍진영내 나이가 어때서
원곡: 오승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박진영어머님이 누구니 (Feat. 유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Uptown Funk
원곡: 마크 론슨
24날 떠나지 마
25신승훈Hello, Hello, Hello[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B.A.PWarrio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Young, Wild & Free
28EXOCALL ME BAB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인피니트Ba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2PM우리집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Hands Up
32EXOLOVE ME RIGH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SHINeeVi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소녀시대소원을 말해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Lion Hear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6전 출연진그대에게
원곡: 무한궤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시청률[편집]


회차전국수도권
1부7.4%7.6%
2부7.1%7.4%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6. 여담[편집]


  • 방영 전 개최 장소에 그 악명높은 임진각이 포함되어 있어서, 팬덤들의 걱정을 불러일으켰다. 다행인지 임진각은 새해 타종행사만 중계하였다.

  • 해당 연도부터 청백전이 폐지되었고, 엔딩곡이 이 해 이후 2년 더 무한궤도그대에게가 쓰였다.

  • 무대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챕터로 구성되었다.
[가요대백과 목차] 이번 가요대제전의 콘셉트에 맞게 순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부]
* Grand Opening. '흐린 기억 속의 그대' (현진영, 2PM, GOT7)
* Chapter 1. Lovely Girl Group (러블리즈, Red Velvet, 여자친구)
* Special Stage 1. Legend of K-POP (백지영&종현)
* Chapter 2. Powerful Boy Group (몬스타엑스, 비투비, GOT7)
* Chapter 3. 2015 Hot Music (마마무, Zion.T, EXID)
* Special Stage 2. Back to the 8090 (이별공식(R.ef), 버스 안에서(Zaza), 매일 그대와(들국화)[7]
* Chapter 4. Preview 2016 (세븐틴, 오마이걸, 소나무, 업텐션)[8]
* Chapter 5. Mix & Match (방탄소년단, Apink, B1A4)
* Chapter 6. Rhythm Paradise (포미닛, 원더걸스)
* Special Stage 3. Legend of K-POP (신승훈)
[2부]
* Grand Opening. 2015 무한도전 Rewind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 2015 영동고속도로 가요제)[9]
* Chapter 7. Party Tonight (에일리, AOA, EXID)
* Special Stage 4. Color of K-POP 어? (거짓말(god), 너를 사랑해(S.E.S.), 캔디(H.O.T.), 영원한 사랑(핑클), Perfect Man(신화))[10]
* Chapter 8. Drop the Beat (다이나믹 듀오, Crush, 틴탑, CNBLUE)[11]
* Chapter 9. Trot Forever (홍진영, 태진아)
* Special Stage 5. Legend of K-POP (박진영&유빈)
* Special Stage 6. Special Collaboration (신승훈&후배 가수들[12])
* Chapter 10. Star Wars (B.A.P, EXO, 인피니트)
* Chapter 11. K-POP Avengers (2PM, 엑소, 샤이니, 소녀시대)
* 별책부록. 그대에게 (전 출연자)

  • 당해년도 MAMASBS 가요대전, KBS 가요대축제가 모두 난장판으로 진행된 것과는 달리[13] 방송사 공개홀에서 진행되다 보니 상당히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다. 가장 중요한 음향, 음질 가장 안정적이었다. 특히 이후 골든디스크와 서울가요대상 등도 난장판으로 진행되면서 2015년 가요 시상식 중 유일하게 정상적으로 진행된 상황이 되었다. 다만 KBS와 SBS가 당해 유독 무대 스케일을 키워서 진행했다 보니, 무대 면에서는 다소 단조롭다는 평이 많았다.

  • 새벽 2시가 다 되어서 끝났던 예년과 달리 1시 언저리에 끝났다.

  • Red Velvet이 5인 체제 개편 이후 처음 출연한 가요대제전이었다.

  • 원더걸스 유빈의 목도리가 일명 '술고래룩'이라고 불리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 SBS 가요대전만큼 콘서트 수준으로 몰아넣지는 않았지만, 2부 후반부로 갈수록 SM 가수들의 분량이 제법 많은 편이었다.

  • 1부에서 당해년도 데뷔한 신인 4팀을 묶어 '앞으로가 기대되는 유망주'로 소개했는데, 실제로 세븐틴은 이듬해부터 급격히 상승세를 타고 승승장구하기 시작했고, 오마이걸도 2018년을 기점으로 점점 상승세를 타며 2020년 데뷔 5년차에 드디어 전성기를 맞았다. 반면 소나무개미지옥과도 같은 소속사에 가로막혀 김나현지수민 2명이 전속계약 무효 소송을 거치며 탈퇴를 하고, 2018년 이후 완전체 활동이 사실상 멈춘 상태로 이어지다가 결국 2021년 소속사가 폐업하고 계약 만료와 함께 자연스레 해체되었다.

  • 당시 데뷔를 앞두고 있던 우주소녀 멤버들이 방송국 견학 차 단체 관람을 왔었다. 다원, 연정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모두 와서 스탠딩석 맨 앞에 자리했으며, 방송 내내 카메라에 상당히 자주 잡혔다.

  • 오마이걸은 2016년 8월 25일에 진이가 거식증으로 인해 활동을 중단하고 이후 2017년 10월 30일에 결국 탈퇴하면서, 8인 체제로 출연한 처음이자 마지막 연말가요제가 되었다.

  • 이 해를 기점으로 윤아는 매년 MBC 가요대제전 MC를 보는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6:48:28에 나무위키 2015 MBC 가요대제전: 가요대백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식 진행자가 아닌 카운트다운 행사때만 상암 스튜디오의 임시 MC를 맡았다.[2] 경기도 가평 아침고요수목원에서 녹화한 무대이다.[3] 서울 명동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했다.[4] 신중현의 <미인>을 섞어서 편곡했다.[5] 서울 도심 일대에서 야외 무대로 녹화했다.[6] 후반부에 틴탑, Apink, B1A4, EXID, VIXX, 방탄소년단, 마마무, Red Velvet, 러블리즈, 몬스타엑스가 무대를 함께했다.[7] 이별공식 - 빅스, 버스 안에서 - 홍진영, 전지윤(포미닛), 은광&창섭(비투비), 매일 그대와 - 씨엔블루가 각각 선보였다.[8] 특이하게 이 팀들만 마이크 상태가 영 좋지 못했다. 특히 세븐틴은 3사 전부 다 마이크 상태가 영 좋지 못하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9] 자이언티, B.A.P(터보), 박진영.[10] 거짓말 - B1A4, 너를 사랑해 - Red Velvet, 캔디 - 업텐션, 영원한 사랑 - 에이핑크, Perfect Man - 방탄소년단.[11] 씨엔블루는 제시와 피처링.[12] 틴탑, Apink, B1A4, EXID, 빅스, 방탄소년단, 마마무, Red Velvet, 러블리즈, 몬스타엑스.[13] MAMA와 SBS는 말할 것도 없었고, KBS 역시 장소를 고척 스카이돔으로 옮겼다 온갖 방송사고와 진행 미스로 욕을 먹고 2016년 다시 KBS 홀로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