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1 GSTL 시즌 1

덤프버전 :

||



1. 개요
2. 이모저모
3. 상금
4. 공식 사용 맵
5. 참여 팀
5.1. Jupiter
5.2. Venus
6. 리그의 진행
6.1. Jupiter
6.2. Venus
6.3. 플레이오프
6.3.1. 6강
6.3.2. 4강
6.3.3. 최종 결승전



1. 개요[편집]


  • 우승팀: MVP
  • 준우승팀: Prime
  • 4강: TSL NS호서
  • 6강: StarTale IM
  • 스폰서: 없음
  • 리그기간: 6월 23일 ~ 10월 7일
  • 개막전: SlayerS VS MVP
  • 개막전 장소: 목동 곰TV 스튜디오
  • 결승전: 10월 7일
  • 결승전 장소: 목동 곰TV 스튜디오
  • 특이사항
    • 2011년 GSL 하반기 개편 이후 첫 팀 리그
    • 해외팀 FXOpen 참여
    • 프로젝트 팀 F.United 결성
    • 해외 용병 제도 도입[1]


2. 이모저모[편집]


선수들의 이름을 부르는 성우가 김구에서 시영준[2]으로 바뀌었다. 이에 시청자들은 처음에 경악했다.


3. 상금[편집]


  • 우승: 3천만원
  • 준우승: 천 5백만원
  • 감독상: 5백만원


4. 공식 사용 맵[편집]




5. 참여 팀[편집]



5.1. Jupiter[편집]




5.2. Venus[편집]




6. 리그의 진행[편집]



6.1. Jupiter[편집]


2011 GSTL 시즌 1/Jupiter 항목 참조.


6.2. Venus[편집]


2011 GSTL 시즌 1/Venus 항목 참조.


6.3. 플레이오프[편집]



6.3.1. 6강[편집]


플레이오프 6강 1경기 (2011. 9. 22 PM 6:10)
PrimeStarTale
1경기P장현우Z박성준여명
2경기P장현우P정우서안티가 조선소
3경기P장현우Z이원표금속 도시
4경기Z문학선Z이원표듀얼 사이트
5경기Z문학선P박현우탈다림 제단
6경기Z문학선T최지성종착역
7경기T이정훈T최지성젤나가 요새
결과Prime5StarTale2

플레이오프 6강 2경기 (2011. 9. 23 PM 6:10)
MVPIM
1경기T황규석T안호진탈다림 제단
2경기P김현태T안호진여명
3경기P정민수T안호진종착역
4경기Z박수호T안호진벨시르 해안
5경기Z박수호P최용화듀얼 사이트
6경기Z박수호Z황강호금속 도시
7경기Z박수호T정종현젤나가 요새
8경기P김원형T정종현십자포화 SE
9경기P김원형Z임재덕안티가 조선소
결과MVP5IM4


6.3.2. 4강[편집]


플레이오프 4강 1경기 (2011. 9. 29 PM 6:10)
PrimeTSL
1경기Z송병학P박진영듀얼 사이트
2경기Z문학선P박진영안티가 조선소
3경기Z최종혁P박진영여명
4경기T이정훈P박진영젤나가 요새
5경기T이정훈T한규종종착역
6경기P장현우T한규종탈다림 제단
7경기P장현우T김민혁벨시르 해안
8경기P장현우Z김동현금속 도시
9경기P장현우T한이석십자포화 SE
결과Prime5TSL4

플레이오프 4강 2경기 (2011. 9. 30 PM 6:10)
MVPNS호서
1경기P김원형P김정훈안티가 조선소
2경기T황규석P김정훈젤나가 요새
3경기T황규석Z이준벨시르 해안
4경기P정민수Z이준종착역
5경기P정민수T박용환금속 도시
6경기P정민수T정지훈여명
7경기P정민수P우경철십자포화 SE
결과MVP5NS호서2


6.3.3. 최종 결승전[편집]


Grand Final (2011. 10. 8 PM 3:10)
PrimeMVP
1경기Z이형주P서성민벨시르 해안
2경기Z이형주T채도준십자포화 SE
3경기Z송병학T채도준듀얼 사이트
4경기P장현우T채도준탈다림 제단
5경기Z최종혁T채도준여명
6경기Z최종혁P정민수종착역
7경기Z최종혁T황규석젤나가 요새
8경기T이정훈T황규석금속 도시
결과Prime3MVP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42:07에 나무위키 2011 GSTL 시즌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외 선수가 각 팀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나단 월시크리스 로랑줴의 경우 팀리퀴드 소속이었기 때문에 GSTL에 참가할 수 없었지만, 이제부터는 oGs팀의 용병으로 활동하게 된다.[2] 온게임넷 스타리그로 유명한 성우이기도 하다.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에서는 화염방사병, 집정관을 맡았으며, 이후 군단의 심장에서 브라크, 공허의 유산에서 암흑 집정관도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