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농구대잔치

덤프버전 : (♥ 0)



1999-2000 농구대잔치
우승팀: 중앙대학교
MVP: 김주성
2000 농구대잔치
우승팀: 중앙대학교
MVP: 김주성
2001-02 농구대잔치
우승팀: 상무
MVP: 현주엽

1. 개요
2. 참가팀
3. 운영방식
4. 대회결과
4.1. 조별 리그
4.2. 결선 리그
4.3. 4강 플레이오프
4.4. 대회 결산


1. 개요[편집]


2000년 11월 5일 개막된 당시 최고 권위의 아마추어 농구대회.

같은해 1월 1999-2000 농구대잔치가 열리는 바람에 한해에 농구대잔치가 2번 열리게 된데다, 심지어 타이틀 스폰서까지 동일(코맥스배)하다. 공식명칭은 "코맥스배 2000 농구대잔치"이다.

우승팀준우승팀MVP
중앙대학교상무김주성(중앙대)

중앙대학교는 김주성 입학이래 대회 3연패의 금자탑을 달성하였다.


2. 참가팀[편집]


  • 대학농구연맹 소속 10개팀 중 9팀(단국대 불참)과 상무까지 총 10개팀이 참가하였다.
참가팀주요 선수
가드포워드센터
경희대학교한상민(1년,180) 이동준(2년,186)
천일환(1년,182)
박종천(2년,193) 박성훈(4년,196)
김도수(1년,195) 손인보(4년,198)
김세중(3년,195)
김중길(4년,197)
건국대학교이오석(2년,175) 안철호(2년,181)
박성철(3년,192)
최원호(3년,188) 남호진(1년,192)
이현수(1년,194)
문혁주(3년,194)
김민철(2년,196)
고려대학교전형수(4년,180) 김두현(2년,187)
정선규(3년,180) 한정훈(3년,186)
오용준(2년,193) 이현호(2년,191)
이병윤(1년,193) 이근석(2년,194)
백인선(1년,196)
김대환(4년,193)
동국대학교김승현(4년,178) 최민규(4년,180)
김현중(1년,181) 문종호(2년,183)
김정재(4년,185) 서영권(3년,193)
김봉후(2년,191)
최정우(4년,198)
권정학(1년,194)
명지대학교박성운(3년,180) 김진호(4년,187)
이우정(2년,180) 서병원(2년,186)
박영민(3년,189) 최경철(3년,195)
고승진(1년,197)
강윤식(1년,198)
홍용철(1년,193)
상무황성인(180) 표명일(181)
전일우(182) 홍창의(182)
손규완(186) 김택훈(192)
변청운(193) 윤제한(192)
윤영필(193)
장영재(196)
성균관대학교옥범준(1년,176) 김경범(1년,181)
임효성(1년,180)
진경석(3년,191) 정훈(3년,199)
이현준(4년,193) 임영훈(4년,193)
이한권(3년,197)
이정호(1년,201)
연세대학교임정훈(1년,180) 이형주(4년,185)
허중(4년,182)
전병석(2년,184) 박재성(3년,192)
이정협(1년,193) 김동우(2년,195)[1]
박광재(2년,196)
중앙대학교박지현(3년,183) 황진원(4년,190)
김상영(1년,190)
신동한(4년,190) 송영진(4년,198)
석명준(2년,190) 손준영(3년,193)
김주성(3년,205)
한양대학교양동근(1년,181) 강준구(3년,185)
양동인(2년,183)
성준모(4년,192) 김종학(4년,198)
김경석(4년,192) 김성현(1년,190)
김태완(3년,202)
박유진(3년,195)


3. 운영방식[편집]


  • 조별리그: 5팀씩 2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를 통해 각 조 3위까지 결선리그 진출권을 부여했다.
  • 6강 결선리그: 각조 상위 3팀 씩 총 6팀이 풀리그를 통해 4강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부여했다.
  • 4강 플레이오프: 결선리그 성적 기준 1위-4위, 2위-3위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했다. (4강전, 결승전 모두 단판.)

  • 경기시간: 모든 경기는 전반,후반전 20분에 연장전 5분이 주어지며 샷클락은 30초가 주어진다.

4. 대회결과[편집]



4.1. 조별 리그[편집]


순위A조B조
1위상무3 - 1한양대4 - 0
2위중앙대3 - 1성균관대3 - 1
3위경희대2 - 2건국대2 - 2
4위고려대※2 - 2연세대1 - 3
5위동국대0 - 4명지대0 - 4
※ 승패 동률 시 승자승으로 순위 결정.


4.2. 결선 리그[편집]


  • 조별 예선 전적을 가지고 올라갔다.
순위결선리그
1위상무5 - 0
2위중앙대3 - 2
3위성균관대3 - 2
4위한양대3 - 2
5위경희대1 - 4
6위건국대0 - 5
※ 승패 동률 시 골득실로 순위 결정.


4.3. 4강 플레이오프[편집]


4강전결승전
상무 (1위)
88 : 83
한양대학교 (4위)
상무
59 : 77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2위)
82 : 66
성균관대학교 (3위)



4.4. 대회 결산[편집]


  • 최종 순위
    • 우승: 중앙대 / 준우승: 상무 / 3위: 한양대 / 4위: 성균관대
  • 개인부문 시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0:19:17에 나무위키 2000 농구대잔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상으로 불참. 김동우가 없는 연세대는 2000 농구대잔치에서 예선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