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 럭비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덤프버전 : (♥ 0)



1995 Rugby World Cup
Rugbywêreldbeker 1995
파일:RWC1995logo.png
개최국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회 기간1995.5.25 ~ 6.24 (31일)
본선 참가국16개국
경기 수32경기
주제가World In Union
이전 대회1991 럭비 월드컵
다음 대회1999 럭비 월드컵 웨일스
대회 결과
우승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준우승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3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 개요
2. 주제가
3. 개최 경기장
4. 예선 및 조편성
5. 대표팀 선수단
6. 심판
7. 대회 진행
7.1. 조별리그
7.2. 8강전
7.3. 4강전
7.4. 3/4위전
7.5. 결승전
8. 통계
9. 기타



1. 개요[편집]


3번째 럭비 월드컵이자 처음으로 한 국가가 단독으로 개최한 대회다.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겐 첫 월드컵이자, 역사적인 첫 우승을 안겨준 의미 있는 대회다. 또한 남아공의 인종차별과 인종간 갈등 해소라는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는 대회로, 자세한 것은 마지막 문단을 참고 바람.

IRFB가 럭비 유니언의 프로화를 발표하기 2달 전에 대회가 종료되었다. 즉, 아마추어 시대의 마지막 월드컵이다.

장소가 장소인만큼 외국인이 방문하기 쉽지 않았을 것인데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에서 열린 지난 대회에 버금가는 94만명의 누적 관중을 기록하며 흥행도 성공했다.

1992년 트라이 점수가 4점에서 5점으로 상향된 뒤 치르는 첫 대회다.


2. 주제가[편집]



레이디스미스 블랙 맘바조(Ladysmith Black Mambazo)와 피제이 파워스(PJ Powers)가 녹음한 버전. 월드 럭비가 공식 앨범을 내지는 않았다. 영화 인빅터스에서 결승전 종료 후 나오는 노래다.[1]


3. 개최 경기장[편집]


9개의 경기장이 대회에 사용되었다. 초안은 14개였으나 보안 등의 사항을 고려하여 9개로 간추렸다. 결승전 개최 경기장은 ★


4. 예선 및 조편성[편집]


자세한 것은 1995 럭비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예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난 대회 8강에 든 팀과 개최국 남아공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남은 자리는 7개밖에 없었다. 그래서 아메리카가 1장으로 두 자리가 줄었다[4]. 남아공의 자동 진출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는 여전히 1장을 갖고 있었고,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는 따로 1장씩 갖는 걸로 바꼈다. 유럽은 한 자리가 늘어 3장이 되었다[5].

1. 아프리카는 7개국을 2개조로 나눠 리그전을 하고, 각 조 상위 2팀이 다시 모여 리그 방식으로 1위를 가렸다. 여기서 코트디부아르의문을 우승을 거두고 본선에 진출한다.[6]

2. 아메라카는 6개국이 참가했고 간단히 풀리그를 돌려서 1위를 한 아르헨티나가 아메리카 1로 본선에 진출했다.

3. 유럽은 22개국이 참가했으며, 수준에 따라 먼저 1차 예선을 치른 뒤 서부 조, 중부 조, 동부 조의 각 3팀이 라운드 로빈으로 1위를 가려냈다. 각 지역 1위가 모여 다시 라운드 로빈으로 순위를 정하고 웨일스, 이탈리아, 루마니아가 각각 유럽 1,2,3을 부여받았다.

4. 아시아는 8개국의 예선에 참가했고 2개조로 나뉘어 리그 방식으로 조 1위를 선발했다. 각 조 1위인 일본과 대한민국이 만났으나 11:26으로 대한민국이 패배하여 일본이 아시아 1로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

5. 오세아니아는 사모아가 본선에 자동 진출한 터라 진출 가능성이 있는 통가와 피지만이 예선에 참가했다. 홈&어웨이로 한 번씩 경기를 치러서 점수를 합산한 결과 간발의 차로 통가가 승리, 오세아니아 1로 본선에 진출했다.

완성된 조편성


5. 대표팀 선수단[편집]


자세한 것은 1995 럭비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저번 대회처럼 각 경기 출전자 명단은 확인할 수 없다.


6. 심판[편집]


심판진이 5명 늘었다. 대한민국 심판이 처음으로 럭비 월드컵 본선에 참여했다. 피지 심판은 나오지 않았고 캐나다와 일본, 남아공, 서사모아 심판이 처음 등장한다. 결승전 심판은 볼드체로 표시.
국적이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배리 리스크웨인 에릭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에드 모리슨스티브 랜더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조엘 두메패트릭 로뱅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데이비드 맥휴스티븐 힐디치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콜린 호크데이브 비숍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스테프 니틀링이안 로저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짐 플레밍켄 매카트니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데렉 비번레스 퍼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에프라임 스클라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조지 가조비치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사이토 나오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한문수
파일:사모아 국기.svg 서사모아펠리세 비토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돈 리오던


7. 대회 진행[편집]


승점은 지난 대회와 같이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2점, 패배 시 1점을 부여하고 다른 추가 승점은 없다.

<토너먼트 대진표>
A조 1위 vs B조 2위4강전 1결승전
D조 1위 vs C조 2위
B조 1위 vs A조 2위4강전 2
C조 1위 vs D조 2위


7.1. 조별리그[편집]


  • A조
순위국가득실승점
1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공3승68/26 (+42)9점
2파일:호주 국기.svg호주2승1패87/41 (+46)7점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1승2패45/50 (-5)5점
4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3패14/97 (-83)3점

A조 결과 요약
날짜결과장소
1주차5.25.(목)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7 : 18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뉴랜즈 스타디움, 케이프타운
5.26.(금)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4 : 3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부트 에라스머스 스타디움, 포트엘리자베스
2주차5.30.(수)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1 : 8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뉴랜즈 스타디움, 케이프타운
5.31.(목)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7 : 1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부트 에라스머스 스타디움, 케이프타운
6.3.(일)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42 : 3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다니 크레이븐 스타디움, 스텔렌보스
6.3.(일)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0 : 0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부트 에라스머스 스타디움, 케이프타운



  • B조
순위국가득실승점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3승95/60 (+35)9점
2파일:사모아 국기.svg서사모아2승1패96/88 (+8)7점
3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1승2패69/94 (-25)5점
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3패69/87 (-18)3점

B조 결과 요약
날짜결과장소
1주차5.27.(토)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8 : 42 서사모아 파일:사모아 국기.svg바실 케년 스타디움, 이스트런던
5.27.(토)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8 : 24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킹스 파크 스타디움, 더반
2주차5.30.(화)파일:사모아 국기.svg 서사모아 32 : 26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바실 케년 스타디움, 이스트런던
5.31.(수)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7 : 2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킹스 파크 스타디움, 더반
6.4.(일)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5 : 31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바실 케년 스타디움, 이스트런던
6.4.(일)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44 : 22 서사모아 파일:사모아 국기.svg킹스 파크 스타디움, 더반

  • C조
순위국가득실승점
1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승222/45 (+177)9점
2파일:IRFU 로고.png아일랜드2승1패93/94 (-1)7점
3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1승2패89/68 (+21)5점
4파일:일본 국기.svg일본3패55/252 (-197)3점

C조 결과 요약
날짜결과장소
1주차5.27.(토)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0 : 57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프리스테이트 스타디움, 블룸폰테인
5.27.(토)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9 : 43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요하네스버그
2주차5.31.(수)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50 : 28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프리스테이트 스타디움, 블룸폰테인
5.31.(수)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34 : 9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요하네스버그
6.4.(일)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7 : 145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프리스테이트 스타디움, 블룸폰테인
6.4.(일)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24 : 23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요하네스버그

  • D조
순위국가득실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3승114/47 (+67)9점
2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2승1패149/27 (+122)7점
3파일:통가 국기.svg통가1승2패44/90 (-46)5점
4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3패29/172 (-143)3점

D조 결과 요약
날짜결과장소
1주차5.26.(금)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0 : 89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올림피아 파크 스타디움, 루스텐버그
5.26.(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8 : 10 통가 파일:통가 국기.svg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 프리토리아
2주차5.29.(월)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4 : 18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올림피아 파크 스타디움, 루스텐버그
5.29.(월)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1 : 5 통가 파일:통가 국기.svg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 프리토리아
6.3.(토)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11 : 29 통가 파일:통가 국기.svg올림피아 파크 스타디움, 루스텐버그
6.3.(토)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2 : 19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 프리토리아
통가와 코트디부아르와의 경기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했는데, 코트디부아르 윙어 맥스 브리토(Max Brito)가 럭 밑에서 여러 명에게 깔려 전신마비를 얻는 끔찍한 일를 당했다. 12년이 지난 2007년 하체를 제외한 상체와 팔을 움직일 수 있는 수준까지 회복했지만, 당시 인터뷰에선 자신의 운명을 저주하며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다 2022년 12월 19일 5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망하기 2년 전인 2020년 그가 했던 인터뷰 내용이다.
나는 지난 13~14년간 어딘지 모를 안개 속을 헤매고 있었다. 그건 너무나 가혹한 사고였다. 하지만 그 뒤에 나는 내가 얻은 장애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그러고 난 뒤에 닫혀있던 모든 문이 열린 듯이 느껴졌다.
럭비를 하다 크게 다쳤다 하면 무릎 또는 쇄골이 부러지는 정도인데, 목이 부러지는 일은 정말 보기 드문 대형사고다. 선수들의 안전과 복지가 중요시되는 요즘엔 월드 럭비를 비롯한 많은 협회가 규정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면서 예측할 수 없는 수준의 부상은[7] 점점 줄어들고 있다.


7.2. 8강전[편집]


{{{+1 D조 1위 vs C조 2위}}}
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6 : 12 아일랜드 파일:IRFU 로고.png

킥오프6.10.(토) 13:10경기장/관중킹스 파크 스타디움 (20,000명)주심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드 모리슨

득점4분7분15분19분23분30분39분39분40분50분70분72분78분80분
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3
라쿠아 P
6
라쿠아 P
9
라쿠아 P
12
라쿠아 P
15
라쿠아 P
18
라쿠아 P
21
라쿠아 P
24
라쿠아 P
31
생탕드레🏉
라쿠아 C
36
은타막🏉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엘우드 P
6
엘우드 P
9
엘우드 P
12
엘우드 P



{{{+1 A조 1위 vs B조 2위}}}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파일:Logo_Samoa_Rugby.pn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42 : 14 서사모아 파일:사모아 국기.svg

킥오프6.10.(토) 15:30경기장/관중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54,169명)주심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짐 플레밍

득점9분17분27분35분40+1분47분50분69분75분77분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3
존슨 P
8
윌리엄스🏉
11
존슨 P
16
윌리엄스🏉🏉
23
로소우🏉
존슨 C
30
윌리엄스🏉🏉🏉
존슨 C
35
앤드류스🏉
42
윌리엄스🏉🏉🏉🏉
존슨 C
파일:Logo_Samoa_Rugby.png7
누우알리이티아🏉
파아마시노 C
14
타투푸🏉
파아마시노 C



{{{+1 B조 1위 vs A조 2위}}}
파일:Wallabies.png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2 : 25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킥오프6.11.(일) 13:10경기장/관중뉴랜즈 스타디움 (35,448명)주심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비숍

득점2분4분8분20분40+2분41분45분47분58분60분63분77분82분
파일:Wallabies.png3
라이나 P
6
라이나 P
13
스미스🏉
라이나 C
16
라이나 P
19
라이나 P
22
라이나 P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앤드류 P
6
앤드류 P
13
T.언더우드🏉
앤드류 C
16
앤드류 P
19
앤드류 P
22
앤드류 P
25
앤드류 D



{{{+1 C조 1위 vs D조 2위}}}
파일:All blacks logo.png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8 : 30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킥오프6.11.(일) 15:30경기장/관중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 (28,000명)주심파일:웨일스 국기.svg 데렉 비번

득점5분9분15분20분27분33분38분43분46분48분63분67분74분76분
파일:All blacks logo.png7
리틀🏉
머튼스 C
14
리틀🏉🏉
머튼스 C
21
로무🏉
머튼스 C
24
머튼스 P
31
머튼스🏉
머튼스 C
38
번스🏉
머튼스 C
45
피츠패트릭🏉
머튼스 C
48
머튼스 P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G.해스팅스 P
6
G.해스팅스 P
9
G.해스팅스 P
16
웨이어🏉
G.해스팅스 C
23
웨이어🏉
G.해스팅스 C
30
S.해스팅스🏉
G.해스팅스 C
1987 럭비 월드컵 8강 이후 또 만났다. 그리고 또 졌다(...)




7.3. 4강전[편집]


1조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19 : 15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킥오프6.17.(토) 16:30경기장/관중킹스 파크 스타디움 (49,773명)주심파일:웨일스 국기.svg 데렉 비번

득점21분26분35분37분43분44분46분57분69분75분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3
스트란스키 P
10
크루거🏉
스트란스키 C
13
스트란스키 P
16
스트란스키 P
19
스트란스키 P
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3
라쿠아 P
6
라쿠아 P
9
라쿠아 P
12
라쿠아 P
15
라쿠아 P



1조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All blacks logo.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9 : 45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킥오프6.18.(일) 15:00경기장/관중뉴랜즈 스타디움 (43,414명)주심파일:IRFU 로고.png 스티븐 힐디치

득점3분5분12분20분21분26분42분51분58분68분71분73분81분81분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앤드류 P
10
R.언더우드🏉
앤드류 C
17
칼링🏉
앤드류 C
24
R.언더우드🏉🏉
앤드류 C
29
칼링🏉🏉
파일:All blacks logo.png7
로무🏉
머튼스 C
14
크론펠드🏉
머튼스 C
17
머튼스 P
20
Z.브루크 D
25
로무🏉🏉
30
로무🏉🏉🏉
35
배촙🏉
42
로무🏉🏉🏉🏉
머튼스 C
45
머튼스 D
잉글랜드는 "뉴질랜드와 조나 로무"에게 박살나고 만다. 조나 로무는 이 경기에서 혼자서 트라이 4개를 찍었다.


7.4. 3/4위전[편집]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9 : 19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킥오프6.22.(목)경기장/관중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 (44,000명)주심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비숍

득점27분40+1분42분49분57분59분62분81분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앤드류 P
6
앤드류 P
9
앤드류 P
파일:옛날프랑스럭비로고.png3
라쿠아 P
6
라쿠아 P
9
라쿠아 P
14
루마🏉
19
은타막🏉


7.5. 결승전[편집]


1995 럭비 월드컵 결승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파일:Webb Ellis Cup.jpg파일:All blacks logo.pn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15 : 12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킥오프6.24.(토) 13:30경기장/관중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59,870명)주심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드 모리슨

득점6분11분14분22분32분55분82분92분94분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3
스트란스키 P
6
스트란스키 P
9
스트란스키 D
12
스트란스키 P
15
스트란스키 D
파일:All blacks logo.png3
머튼스 P
6
머튼스 P
9
머튼스 D
12
머튼스 P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포워드1 오스 두란트2 크리스 로소우3 발리 스와트68'
20 개리 파셸68'
4 코버스 비서5 하네스 스트러돔
6 프랑수아 피에나르8 마크 앤드류스90'
18 루돌프 스트라엘리90'
7 루벤 크루거
백스9 유스트 반더베스트하이젠10 조엘 스트란스키
12 헤니 르루13 야피 멀데르
11 체스터 윌리엄스15 안드레 주베르14 제임스 스몰97'
17 브렌던 벤터97'
후보 선수 : 16 나카 드로츠케, 19 요한 루, 21 개빈 존슨

파일:All blacks logo.png포워드1 크레이그 다우드83'
20 리처드 로83'
2 션 피츠패트릭3 올로 브라운
4 이안 존스5 로빈 브루크
6 마이크 브루어40'
19 제이미 조셉40'
8 진잰 브루크7 조시 크론펠드
백스9 그램 배촙 + 67'~70'
18 앤트 스트래챈67'~70'
10 앤드류 머튼스
12 월터 리틀13 프랭크 번스
11 조나 로무15 글렌 오스본14 제프 윌슨55'
16 마크 엘리스55'
후보 선수 : 17 사이먼 컬헤인, 21 놈 휴잇


8. 통계[편집]


  • 대회 기록
    • 누적 관중 - 938,486명 (경기당 평균 29,328명), 8.2% 감소
    • 좌석 매진율 - 66.6%, 12.5%p 감소
    • 점수 총합 - 1,730점 (경기당 평균 54.1점), 44.5% 증가
    • 트라이 총합 - 187회 (경기당 평균 5.8회), 26.4% 증가
    • 해트 트릭 - 7회[8]
  • 팀 기록
    • 최다 트라이 - 뉴질랜드, 41개 (경기당 평균 6.8개)
  • 개인 기록
    • 대회 최다 득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 티에리 라쿠아(Thierry Lacroix) 112점
    • 대회 최다 트라이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조나 로무(Jonah Lomu),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크 엘리스(Mark Ellis) 7개


9. 기타[편집]


파일:external/cdn.newsday.com/image.jpg
월드컵을 개최하기 전 당시 남아공은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이 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파르트헤이트로 대표되는 흑인백인과의 인종차별 정책이 공식적으로는 폐지되었으나 여전히 인종간 갈등이 심했던 시기였다. 선호하는 스포츠도 인종에 따라 극명이 갈렸는데 백인은 럭비를, 흑인은 축구를 했고, 스프링복스가 경기를 할때마다 남아공의 흑인들은 스프링복스의 상대편을 응원했을 정도로 사이가 안좋았다. 백인의 스포츠를 대표되는 럭비 대표팀인 스프링복스는 그야말로 흑인들에겐 증오의 대상이었다. 만델라가 대통령이 되자 흑인 관료들은 팀 이름을 "프로티아스"로 바꾸려고까지 했다.[9][10]

하지만 넬슨 만델라는 이번 월드컵을 계기로 인종간 화합을 도모했다. 남아공에 인종차별이 완전히 없어진 건 아니었지만, 월드컵 전과 후를 비교했을때 확연한 차이가 난다. 상대적 약체로 평가받던 남아공이 결승까지 진출하여 당시 최강의 팀 뉴질랜드를 꺾으며 첫 대회에서 당당하게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과정은 이후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한 영화 "우리가 꿈꾸는 기적:인빅터스"에서 자세히 묘사되었다. 흑인 대통령이 백인들의 전유물 스프링복스의 셔츠를 입고 경기장에 등장하는 모습, 그리고 백인 주장과 악수를 하는 장면은 럭비 역사상 가장 뜻깊은 순간 중 하나다.

위 사진에서 보듯이 남아공의 주장 프랑수아 피에나르는 191cm의 장신인데, 영화 인빅터스에서 피에나르 역을 맡은 맷 데이먼은 177cm라서 넬슨 만델라 역을 맡은 모건 프리먼(188cm))보다 작아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16:02에 나무위키 1995 럭비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화 엔딩 크레딧에서는 욜란디 노르톄(Yollandi Nortjie)와 오버톤(Overtone)이 녹음한 버전이 나온다.[2] 2020년 폐장[3] 2019년 철거[4] 지난 대회에선 3장이나 나왔지만 캐나다의 자동 진출과 1자리 감축으로 1장이 된 것이다.[5] 웨일스가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1장을 더 줬다[6] 사실 이건 모로코가 나미비아의 발목을 잡은 탓이 크다. 나미비아가 우승을 눈앞에 두고 있는데 마지막 경기에서 무승부가 나와버려서 1승 1무 1패에 그쳤고, 2승 1패인 코트디부아르가 올라갔다. 1무를 한 나미비아의 득실이 2승을 한 코트디부아르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1점 차이로 이기기만 했어도 나미비아가 올라갔다.[7] 앞서 말한 쇄골이나 십자인대 파열을 능가하는, 후유증을 동반하는 심각한 부상[8] 3건은 4트라이, 1건은 6트라이[9] 프로티아는 남아프리카에서 자라는 꽃의 이름이다.[10] 그러나 만델라가 나서서 이를 반대했고, 프로티아스는 현재 남아공 크리켓 대표팀의 별명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