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0,5cm Flak

덤프버전 : r20210301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화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2차 세계대전
독일 국방군화포
곡사포 평사포7,7cm FK 16, 10,5cm leFH 16, 10,5cm leFH 18, 15 cm sFH 13, 15 cm sFH 18, 15 cm 카노네 18, 17 cm 카노네 18, 21 cm 뫼르저 16, 21 cm 뫼르저 18
보병포7,5cm le.IG 18, 15 cm sIG 33
대전차포PaK 36,4,2cm Le PaK 41,2,8cm s.Pz.B. 41, 4.7 cm Pak 181/183(f), 5cm PaK 38, 7,5cm PaK 97/38, 7,5cm PaK 39, 7,5cm PaK 40, 7,5cm PaK 41, 7,5cm PaK 42, 8 cm PAW 600, 8,8 cm PaK 43, 8,8 cm 라케텐베르퍼 43, 12,8 cm PaK 44
전차포2 cm KwK 30, 3,7 cm KwK 36, 5 cm KwK 38, 5 cm KwK 39, 7,5cm KwK 37, 7,5cm KwK 40, 7,5cm KwK 42, 8,8cm KwK 36, 8,8cm KwK 43, 12,8cm KwK 44
대공포2cm FlaK 30, 2cm FlaK 38, 2cm FlaKviering38, 3,7cm FlaK 18/36/37, 3,7cm FlaK 43, 8,8cm FlaK, 10,5cm FlaK, 12,8cm FlaK,8,8cm SK L/45 함포,3,7cm SK C/30 대공포, 4cm FlaK 28
다연장로켓15 cm 네벨베르퍼 41, 28/30 cm 네벨베르퍼 41, 21 cm 네벨베르퍼 42, 8 cm 다연장로켓 투사기
열차포24 cm SK L/40 "테오도어 칼", 28cm SK L/40 "브루노", 28cm SK L/45 "랑에 브루노", 28cm L/92 "Schwere Bruno", 크루프 28cm-카노네 5(E), 38cm-카노네 (E) '지크프리트', 52cm 하우비츠 (E) 871(f), 80cm-카노네 (E) '구스타프'
기타독일 국방군/7,5cm 구경 화포, V3
노획/외국제 화포오스트리아(ö)곡사포
대전차포
체코슬로바키아(t)곡사포
전차포3,7cm KwK 34(t), 3,7cm KwK 38(t)
박격포8,14cm GrW 278(t)
폴란드(p)곡사포
대공포4cm FlaK 28(p)
소련(r)곡사포
대공포3,7cm FlaK 39(r)
대전차포7,62cm PaK 36(r)
유고슬라비아(j)곡사포
박격포2,5cm GrW 309(j)
그리스(g)곡사포
박격포
덴마크(d)곡사포
대공포2cm FlaK Madsen
노르웨이(n)곡사포
대공포4cm FlaK 28
프랑스(f)보병포3.7cm IG 152(f)
곡사포15,5cm K 416(f)
전차포2,5cm KwK 121(f), 3,7cm KwK 144(f)
네덜란드(h)곡사포
박격포8,14cm GrW 278(h)
벨기에(b)곡사포15,5cm K 416(b)
박격포
영국(e)곡사포
전차포4cm KwK 171(e), 9,4cm KwK 311(e)
미국(a)곡사포24cm H 561(a)
열차포
이탈리아(i)곡사포
대공포2cm FlaK Breda 282(i)








파일:3xrFaGq.jpg
10,5cm Flak 38

파일:yzjIDa5.jpg
10,5cm Flak 39


1. 재원
2. 개요
3. 파생형



1. 재원[편집]



형식대구경 대공포
제조사라인메탈
구경10.5cm
운용기간1937년 ~ 1945년
운용인원10명
분당 발사수15~18발
부앙각-3° ~ +85°


2. 개요[편집]


10,5cm는 나치 독일루프트바페가 운용한 대공포로 당시에 먼저 운용 중이던 8,8cm보다 대구경으로서 개발되어서 Flak 38, 39라는 명칭으로 채용되었다. 하지만 8.8cm Flak 18에 비해 야전에서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너무 무거웠기 때문에 일반적으론 위 사진처럼 지상에 고정하여 운용했으며 차량에 탑재되진 않았다. 다만 '"E-75티거 2의 8,8cm보다 큰 10,5cm급 주포를 써볼까?" 하고 검토만 했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E-75는 시제 차량조차 개발되지 않고 계획단계에서 끝나버렸다.


3. 파생형[편집]


파일:WNGER_41-65_skc33_pic.jpg
10.5 cm SK C/33

함선용 2연장 대공포로 개조되어 크릭스마리네가 운용하기도 했다.
이미지로 알 수 있듯이 좌우로 기울일 수 있어 표적 획득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용이했으나 전기장치가 궂은 날씨로 인해 문제를 일으키곤 했다고 한다.
전함 및 중순양함의 대구경 대공포로 폭넓게 사용되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