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그리스(동음이의어) 문서
그리스(동음이의어)번 문단을
그리스(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리스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올리브
역사역사 전반 · 미노스 문명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제국 · 동로마 제국 · 파나리오테스 · 그리스 독립 전쟁 · 그리스 제1공화국 · 그리스 왕국 · 그리스-오스만 전쟁· 그리스 제2공화국 · 그리스 군사정권
지리행정구역 · 펠로폰네소스 반도 · 할키디키 반도 · 이오니아 해 · 에게 해 · 도데카니사 제도 · 레스보스 섬 · 크레타 · 키클라데스 제도 (산토리니) · 에우보이아 · 코르푸 · 히오스 섬 · 델로스 섬 · 트라키아 · 올림포스 산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그리스 대통령 · 그리스 총리 · 그리스 의회
외교외교 전반 · 유럽연합(탈퇴 논쟁) · 여권
경제경제 전반 · 드라크마(폐지) · 유로
국방그리스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교통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 에게안 항공 · 아테네 지하철 · 코린토스 운하
문화문화 전반 ·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교회 · 영화 · 그리스 요리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렘베티카 · 세계유산 · 관광 · 필헬레니즘
사회그리스 마피아
민족그리스인 · 흑해 그리스인 · 우룸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 그리스계 미국인 · 그리스계 캐나다인 · 그리스계 호주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칠레인



그리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남유럽 아이콘 수정.png 남유럽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포르투갈스페인지브롤터파일:영국 원형.png안도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이탈리아바티칸[이탈리아]산마리노[이탈리아]몰타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슬로베니아[A]크로아티아[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A]몬테네그로[A]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세르비아[A]코소보[A]알바니아[A]북마케도니아[A]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루마니아[A]불가리아[A]그리스튀르키예[B]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소르스 제도 기.svg
키프로스[C]북키프로스[C]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png[C]아소르스 제도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이탈리아] A B 모든 국토가 이탈리아에 둘러싸인 국가다. [A] A B C D E F G H I J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지리적으로는 보스포루스 해협 이서의 일부 지역(동트라키아)만이 남유럽에 속해있으나 정치, 경제, 군사, 사회문화적인 이유로 튀르키예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C] A B C 키프로스섬은 지리적인 이유로 서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민족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그리스튀르키예와 가깝기에 남유럽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파일:westernasia.png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그리스[1]튀르키예[A]압하지야[B]남오세티야[*B ]조지아[*B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키프로스[A]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png[*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시리아이라크쿠웨이트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요르단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집트[2]예멘오만아랍에미리트카타르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A] A B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캅카스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2]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회원국 목록 ]






파일:IMF선진국.png 국제통화기금 선진경제권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width=2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width=2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width=25%>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bgcolor=#dcdcdc,#222> 파일:영국 국장.svg
영국의 해외 영토
파일:영국 원형.png ||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bgcolor=#dcdcdc,#222>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bgcolor=#dcdcdc,#22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bgcolor=#dcdcdc,#222>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png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그리스 공화국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1] | Hellenic Republic
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그리스 국장.svg
국기국장
'''{{{#0D5EAF Ελευθερία ή θάνατος
자유냐 죽음이냐}}}'''
상징
국가자유의 찬가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국화제비꽃
올리브
역사
오스만 제국에 독립 선언 1821년 3월 25일
독립 승인 1830년 2월 3일
런던 의정서, 왕정 성립 1832년 8월 30일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1896년 2월 3일
발칸전쟁 1912년 10월 8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7년 6월 30일
2공화국 성립 1924년 3월 25일
왕정복고 1935년 11월 3일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0년 10월
3공화국 성립 1974년 12월 8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면적131,957km²
수도 | 최대도시아테네
내수면 비율0.8669%
접경국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총 인구10,302,720명(2024년) | 세계 92위
민족구성그리스인 92.7%
기타 7.3%(2021년)
인구밀도84명/km²
출산율세계은행 자료 1.30명(2020년)[1] CIA 자료 1.40명(2022년)[2]
공용어그리스어
국교정교회(그리스 교회)
종교그리스도교 93% (그리스 정교회 90%, 기타 그리스도교 3%), 무종교 4%, 이슬람 2%, 기타 종교 1%
군대그리스군
주둔군미군, NATO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주.자치구역13주 1자치구역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공화제,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지수8.14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20위)
대통령
(국가원수)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총리
(정부수반)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자본주의시장경제
명목 GDP전체 GDP2,420억 3,850만$(2023년 10월) / 세계 53위
1인당 GDP23,173$(2023년 10월) / 세계 44위
GDP
(PPP)
전체 GDP4,116억 9,690만$(2023년 10월) / 세계 54위
1인당 GDP39,864$(2023년) / 세계 52위
국부$8,850억 / 세계 40위(2020년)
수출입액수출$26,700,000,000(2016년)
수입$42,730,000,000(2016년)
신용 등급Moody's Ba3
S&P BBB-
Fitch BB
통화유로(€)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2
도량형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대한민국 1961년 4월 5일 수교
북한 2001년 3월 8일 수교[1]
유엔 가입1945년 10월 25일
무비자 입국양국 모두 90일
주한대사관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한화빌딩 27층

[1] 외교관계는 맺었으나 북한 현지에 대사관이 없으며 주한 대사관(서울)에서 업무를 대행한다. 북한 역시 주이탈리아 대사관이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ccTLD
.gr
국가 코드
300, GRC, GR
국제 전화 코드
+30
여행경보
여행유의전 지역

위치
파일:그리스 위치.svg


1. 개요
2. 국가 상징
3. 지리
6.1. 출생 인구
6.2. 기대 수명
6.3. 출산율
10. 치안



1. 개요[편집]


그리스남유럽서아시아[2]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중해를 접하고 있는 국가다. 수도아테네(Αθήνα, Athens)다.


2. 국가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국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국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국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국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국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국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자유의 찬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지리[편집]


파일:그리스_지도_2.jpg

아드리아 해이오니아 해에 접해 코르푸 섬같은 섬이 자리잡고 있고, 아테네 오른쪽은 에게해로 이번엔 그리스에게 포위당한 모양이다. 그리스의 위에 적힌 유명한 섬들이 대부분 속한다. 산토리니, 미코노스, 사모스, 크레타 등등. 그리스 역사의 중심지 그 자체.

섬이 많은 에게 해는 언제나 푸른 빛깔을 띄는 바다이다. 그리스인들은 스스로 '바다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말할 정도이며, 실제로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 같은 고대 문헌에서부터 "소금물가에 자리 잡은 마을이라면 으레 그리스어가 통한다."는 표현이 보인다. 이 바다에는 유명한 섬인 산토리니, 미코노스, 사모스, 크레타 등의 아름다운 섬들이 있다.

섬이 많은 해양국가라서 그런지 해양 동식물들이 많이 서식한다. 해양포유류인 돌고래물범이 서식하며 그 밖에 바다새들과 어패류가 많이 존재한다. 최상위로는 유라시아불곰이 살고 있는데[3] 원래는 이솝 우화그리스 로마 신화에 풍성하게 등장하는 것만큼 아시아사자도 살고 있었다. 즉, 사자가 원래는 유럽에서도 살고 있었다는 이야기[4]. 하지만 오늘날에는 사자는 멸종했고, 불곰만이 남아있다. 그 외 육식동물로는 늑대붉은여우, 황금자칼, 야생고양이, 수달, 바위담비, 족제비 정도가 서식하고 있다. 그 밖에 붉은사슴다마사슴, 유럽노루, 멧돼지, 샤모아 등 우제류들이 서식하며 각종 새나 토끼류, 설치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들도 서식하고 있다.

여름의 평균기온은 한국과 같은 35도로, 겨울은 한국보다 살짝 따뜻하다.


4. 행정구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분권 정부지역 단위 (舊 현)
아티키중앙아테네 · 남아테네 · 서아테네 · 북아테네 · 동아티카 · 서아티카 · 피레우스 · 아티키 군도 지역
펠로폰네소스, 서그리스 및 이오니아펠로폰네소스아르카디아 · 아르골리스 · 코린티아 · 라코니아 · 메시니아
서그리스아하이아 · 에톨로아카르나니아 · 일리아
이오니아코르푸 · 이타카 · 케팔로니아 · 레프카다 · 자킨토스
테살리아 및
중앙그리스
테살리아라리사 · 카르디차 · 마그네시아 · 트리칼라 · 스포라데스
중앙그리스에비아 · 보이오티아 · 에브리타니아 · 포키다 · 프티오티다
이피로스 및
서마케도니아
이피로스테스프로티아 · 이오아니나 · 아르타 · 프레베자
서마케도니아플로리나 · 그레베나 · 카스토리아 · 코자니
마케도니아 및
트라키
중마케도니아테살로니키 · 세레스 · 할키디키 · 이마티아 · 킬키스 · 펠라 · 피에리아
동마케도니아 트라키드라마 · 에브로스 · 카발라 · 로도피 · 크산티 · 타소스
에게북에게히오스 · 레스보스 · 사모스 · 렘노스 · 이카리아
남에게로도스 · 코스 · 미코노스 · 낙소스 · 티라 · 칼림노스 · 안드로스 · 키아-키트노스 · 카르파토스 · 밀로스 · 파로스 · 시로스 · 티노스
크레타이라클리온 · 라시티 · 레팀노 · 하니아
아토스 산 수도원 자치주




그리스의 행정구역은 원래 주 - 현 - 디모스 / 커뮤니티 - 지방자치단체 / 지역구로 구성되었으나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5]으로 분권 정부 - 주 - (지역 단위) - 디모스 - 시 단위 - 커뮤니티의 구성으로 바뀌게 되었다.


5.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인구[편집]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전체 인구
1950년7,566,000명
1955년7,966,000명
1960년8,327,000명
1965년8,551,000명
1970년8,793,000명
1975년9,046,000명
1980년9,643,000명
1985년9,934,000명
1990년10,161,000명
1995년10,454,000명
2000년11,142,000명
2005년11,301,000명
2010년11,446,000명
2015년11,218,000명
2018년11,147,000명


6.1. 출생 인구[편집]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생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출생 인구
2000년102,000명
2005년108,000명
2010년112,000명
2015년92,000명


6.2. 기대 수명[편집]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대 수명은 다음과 같다.

시기기대 수명
1965년69세
1970년70세
1975년72세
1980년73세
1985년75세
1990년76세
1995년77세
2000년78세
2005년79세
2010년80세
2015년81세


6.3. 출산율[편집]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

시기출산율
1965년2.29명
1970년2.55명
1975년2.53명
1980년2.42명
1985년2.06명
1990년1.58명
1995년1.42명
2000년1.35명
2005년1.38명
2010년1.46명
2015년1.34명


7. 민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치안[편집]


관광대국답게 치안은 잘 정비되어 있으나 관광지에서 소매치기와 절도 따위의 잡범죄가 자주 일어나는 편이니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그리스의 경우 이탈리아 로마,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파리 등 서유럽 대도시에 비하면 소매치기 등 잡범을 마주칠 확률이 극히 낮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치안에 있어서는 나름 쾌적한 관광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스 경찰에 따르면 EU 기준으로 그리스는 범죄율이 낮은 국가에 속한다. 치안이 나름 괜찮은 편이라는 것이다.

아테네에는 그리스 마피아들의 밀수범죄가 문제가 되곤 하지만 꾸준한 단속으로 많이 좋아지고 있다.

살인 범죄율은 연 평균 0.5 내외인 한국과 비교했을 때[6] 0.7~0.9 정도로 1.5배에서 2배 가량 높다.
https://www.macrotrends.net/global-metrics/countries/GRC/greece/murder-homicide-rate

그러나 대한민국의 살인 범죄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축에 속하는 나라 중 하나임을 고려했을 때 그리스의 살인 범죄율 역시 전 세계 기준으로는 낮은 편이다.

당장 2021년 기준 세계 살인 범죄율 평균이 10만명당 6.81명 정도인 것에 비해, 같은 해 그리스의 살인율은 0.85명으로 전 세계 평균과 비교했을 때 약 8배 가량 낮다. [7]


11. 경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 경제위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2년 유로의 도입으로 현재는 유로화가 공용 화폐다. EU 회원국이면서 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 중 유일하게 미국사증 면제 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국가였으나, 뒤늦게 가입했다.

예로부터 걸핏하면 디폴트 상태에 놓여 있는 나라였다. 독립 이전부터 디폴트를 선언하였고, 독립 직후부터 국가 채무불이행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이러한 상태가 독립 이래 200년 역사 중 거의 100년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였다. 2015년 그리스 경제위기 와중에 또 디폴트를 선언했다. 다만 세계 대전 직후에는 서방 진영에서 가장 빈곤한 나라였지만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반공주의와 철권 독재로 국민들을 탄압하기는 했어도 경제 성장을 거듭해서 이전보다는 부유한 편이 되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는 오일 쇼크로 시작해서 주력 산업들이 줄줄이 쇠퇴하는 상황에 성장은 횡보했다. 이후로는 나름대로 경제 상황이 호전되었지만 나중에 큰 경제 위기를 겪었다.

경제 상황은 매우 좋지 않은데 2004년에 올림픽이 열리고 한동안 성장세가 이어졌기에 부동산 열풍이 불면서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돈을 번 이들이 많았지만 그 대신 주거비가 급상승했기에 청년층은 별로 수혜를 보지 못했으며 복지 수준도 EU기준으로는 그리 좋은 것은 아니라서 중하위권 수준이었는데 2008년에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을 정도로 심각했던 청년 실업 문제가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악화되면서 청년 실업률은 EU 최고 수준을 달리게 되었으며 일자리를 얻는다 해도 저임금직이 대다수인지라 500유로 세대라는 말이 나온지 꽤 되었다. 더군다나 IMF 외환위기처럼 1, 2년을 가면 모르겠는데 문제는 청년 실업 문제가 이슈화 된 것이 20년이 족히 넘으며, 그리고 그나마 잘 나온다던 연금도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삭감되어서 경제 위기 이전의 절반을 겨우 웃도는 수준이 되었다.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중국 자본이 그리스로 몰려들면서 상황이 나아지고 있고 중국인 부자들이 그리스 국적 취득 목적으로 그리스 부동산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8] 건설시장이 다시금 호황을 보이면서 실업률이 많이 낮아지는 등 많이 호전되었다. 다만 그 낮아졌다는 실업률도 10%대 중반에 청년실업률은 여전히 20%대를 찍고 있는 상황이라서 마냥 좋다고 말하기에는 이상한 상황인데다가 결정적으로 임금 수준은 경제 위기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열악해진 복지수준은 그대로인데 반해 집값은 나날히 폭등하면서 집값만 왕창 오르고 월급은 별로 오르지 않아 건물주 입장에서는 좋기는 하지만 일반 직장인들 입장에서는 안 좋은 상황이다. 그렇지만 부동산 호황으로 그리스 정부에서 막대한 세수를 거두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상황은 지속될 전망이다.


12. 문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외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관광[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관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리스의 명승지는 대표적으로 다음이 있다.




  • 에게 해의 군도 : 히오스(키오스), 산토리니, 미코노스, 로도스, 낙소스, 파로스, 이오스


그리스 본토에서 가장 볼 것이 많은 도시는 역시 아테네로 도시관광과 외곽의 유적지 등을 둘러보는 코스가 있다. 아테네 주변인 아티키 지방만 해도, 테세우스와 검은 돛단배의 신화가 내려오는 수니온 곷의 포세이돈 신전과, 지금은 아테네시의 통근권이 된 살라미스 섬과 오늘날까지 옛 분위기가 남아있는 에기나, 이드라 섬이 있고, 그리스 제2의 도시인 테살로니키, 크레타 섬, 산토리니 섬과 미코노스 섬, 낙소스 섬 등 키클라데스 제도와 중세 십자군의 흔적이 남아있는 로도스 섬, 신비로운 분위기의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메테오라 등등 가볼만한 곳이 상당히 많다. 에게해의 산토리니 섬이 손예진이 나온 포카리스웨트 광고 촬영지다.

그외에도 수백 개의 섬들이 있고, 그 섬들을 돌아다니는 페리 여행, 또는 지중해 크루즈 여행 등이 있지만, 가서 볼만 한 것은 몇몇 섬들에 있는 유적지, 광고에 나온 흰 집, 바닷가 풍경 정도다. 사실,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몇 개의 섬들을 제외하면 그냥 어촌이다. 하지만 유럽에서 온 휴가객들은 이런 어촌들을 오히려 선호한다. 물가도 싸고, 사람들이 매우 친절하기 때문이라고. 특히 신혼여행객들이 그리스를 자주 찾는데 에게해의 석양을 바라보면서 결혼식을 올리는 낭만적인 경험도 할 수 있다.

한국과는 직항 항공편이 없어서 그런지 여행을 가는 데 불편한 국가다. 2006년 노무현 정권이 직항 항공편 개설을 골자로 하는 항공협정을 맺었으나 시장성 부족으로 직항로 개설 추진은 무산되고 말았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한국 서울과 케냐 나이로비 간 대한항공편 직항이 개설되면서 그리스도 한번 직항을 만들어야 되지 않겠냐는 주장도 다시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도 그리스 국내 사정이 좋지 않아 가능할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다만 2020년대에 와서 그리스의 경제사정이 좋아지면서 직항 개설에 대한 가능성도 열린 상황.

대리석 유적지가 많아 하이힐 착용을 금지하는 관광지들이 많다.


15. 창작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창작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창작물에서 그리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영향으로 관련된 것이 많이 나온다. 또는 찬란한 고대 그리스 문명이나 유적 등과 관련짓는 경우도 많다.


[1] Ellinikí Dimokratía [eliniˈci ðimokraˈti.a\][2] 도데카니사 제도 한정.[3] 원래 유럽에서 동물의 왕인 동물은 사자가 아니라 이었다. 왜냐하면 곰은 유럽 전역에서 살아서 숭배를 받았기 때문이다.[4] 남유럽 등 더운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럽사자. 이 사자는 아시아사자의 개체군인데, 기원전만 해도 흔히 볼 수 있었지만 1~9세기쯤에 절멸되어 오늘날에는 볼 수 없다.[5] 그리스 경제위기 이후 정부의 지출을 줄이기 위한 개혁.[6] 예비 음모 및 미수에 해당되는 범죄는 제외.[7] 참고로 같은 해 한국의 살인 범죄율은 10만명당 0.5명, 미국은 10만명당 6.9명이었다.[8] 그리스 부동산에 투자를 하면(25만 유로 이상) 국적을 딸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졌다고는 하나 그럼에도 많은 선진국들로 입국을 하려면 비자를 따로 따야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저런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인데 그리스 국적을 취득하면 이러한 제한에서 벗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