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인물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인물
2.1. ㄱ
2.2. ㄴ
2.3. ㄷ
2.4. ㄹ
2.5. ㅁ
2.6. ㅂ
2.7. ㅅ
2.8. ㅇ
2.9. ㅈ
2.10. ㅊ
2.11. ㅋ
2.12. ㅌ
2.13. ㅍ
2.14. ㅎ
3. 테마 분류
3.1. 왕족
3.2. 전설 및 설화
4. 참고 항목



1. 개요[편집]


후삼국시대에 존속한 국가인 후백제의 인물들을 정리한 문서.

후백제 측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사료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해인사고적, 부상략기[1] 등이 있다.

그외에도 고려시대에 지어진 이제가기[2]라는 책이 후백제의 왕가와 관련된 인물들을 다뤘던 것으로 보이나, 극히 일부 내용만이 삼국유사에 인용되었고 현전하지 않는다.[3]

2. 인물[편집]



2.1. ㄱ[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견달무장10세기고려사
고비후궁10세기삼국유사, 고려사
공달사신10세기고려사
공직호족9세기 말 ~ 10세기 초삼국사기, 고려사
관혜공승려10세기균여전
관흔무장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구도무장10세기고려사
궁창백성10세기고려사
금서볼모10세기고려사
금식무장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길환무장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김악관료10세기삼국사기
김총호족9세기 말신증동국여지승람


2.2. ㄴ[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능환반역자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능예남나인10세기삼국유사

2.3. ㄷ[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단서포로10세기고려사
덕술무장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2.4. ㄹ[편집]



2.5. ㅁ[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명권백성10세기고려사절요
민극사신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2.6. ㅂ[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박영규호족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부달무장10세기삼국유사


2.7. ㅅ[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상귀무장10세기삼국사기
상애무장10세기고려사
상달무장10세기삼국사기
신강관료10세기삼국유사, 고려사절요
신덕관료10세기삼국사기


2.8. ㅇ[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염흔관료10세기고려사
영순관료10세기삼국사기
애술무장10세기삼국사기
옥달호족10세기고려사
웅달호족10세기고려사
윤경무장10세기삼국유사
우봉무장10세기고려사
은술무장10세기후백제
이영관료10세기부상략기


2.9. ㅈ[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장언징사신10세기부상략기
종훈주술사10세기삼국사기
준달호족10세기고려사
지훤무장10세기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
직달볼모10세기고려사
직심무장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진호볼모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2.10. ㅊ[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최견무장10세기삼국사기
최승우관료9세기 말 ~ 10세기삼국사기
최필의원10세기삼국사기
추허조무장10세기고려사

2.11. ㅋ[편집]



2.12. ㅌ[편집]



2.13. ㅍ[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파달장사10세기삼국유사, 고려사


2.14. ㅎ[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형적무장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휘암사신10세기부상략기, 본조문수
흔강무장10세기고려사
흥달호족? ~ 929고려사
흥종호족10세기삼국사기, 고려사
효봉(후백제)무장10세기삼국사기
훈겸의사10세기삼국사기


3. 테마 분류[편집]



3.1. 왕족[편집]


이름분류시기확인되는 사료
견금강왕자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견능예왕자10세기삼국사기
견양검왕자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견용검왕자10세기삼국사기, 삼국유사
견위흥왕자10세기삼국유사
견청구왕자10세기삼국유사
견종우왕자10세기삼국유사
견애복공주10세기삼국사기
상원부인왕후10세기삼국유사
수미강[4]왕자10세기삼국사기
견월광왕자10세기가야산해인사고적[5]


3.2. 전설 및 설화[편집]


  • 선랑(仙郞)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장송리 일대에 있는 설렁바위 전설에서 등장하는 후백제인이다.출처

4. 참고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6:01:10에 나무위키 후백제/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헤이안시대 일본의 사찬사서로 1094년에 편찬되었다.[2] 혹은 이비가기.[3] 13세기 말에 삼국유사를 편찬한 일연이 인용한 점을 볼 때 고려 말까지는 책이 남아잇었던 것으로 보인다.[4] 견신검 혹은 견금강과 동일인물로 추정.[5] 견양검 혹은 수미강과 동일인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