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홈리스(2022년 영화)

덤프버전 :

홈리스 (2022)
Homeless
파일:홈리스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가족
감독
임승현
각본
김승현, 임승현
프로듀서
박세암, 임승현, 박봉수
제작
박기용
출연
전봉석, 박정연, 신현서, 송광자, 장준휘 외
촬영, 조명
정종헌
편집
임승현
음향
김시현(사운드 슬레이브)
미술
한승주
의상, 분장
한정아
특수분장
정아영
동시녹음
오지홍
조감독
국승훈
색보정
전시형
스크립터
고희준
지도교수
박기용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타이거시네마,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롯데시네마
투자사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엠라인 디스트리뷰션(M-Line Distribution)
개봉일
파일:서울독립영화제 로고.jpg2020년 11월
파일:jiff_logo.png 2021년 4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9월 15일
화면비
2.35:1
상영 시간
83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057명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영화제 초청과 수상
7. 평가
7.1. 평론
8. 흥행
8.2. 기타 국가
9. 기타



1. 개요[편집]


한국의 드라마, 가족 영화. 감독은 임승현이고, 전봉석, 박정연, 신현서, 송광자, 장준휘 등이 출연하였다.


2. 예고편[편집]


30초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이사를 앞둔 어린 부부 ‘한결’과 ‘고운’,

하지만 설렘도 잠시, 보증금 사기를 당한 것을 알게 된다.

갈 곳이 없어 막막해진 ‘한결’은 ‘고운’을 데리고 어떤 집으로 향한다.

출처: 네이버 영화



4. 등장인물[편집]


  • 전봉석 - 한결 역
배달 일을 하는 젊은 남편.

  • 박정연 - 고운 역
육아하면서, 전단지를 아파트 문 앞에 붙이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젊은 아내.

  • 신현서 - 우림 역
한결과 고운이 키우는 아기.

  • 송광자 - 예분 역
한결이 평소 배달을 자주 가던, 넓은 집에서 혼자 사는 할머니. 집안일에 어려움이 있어서 가끔 도움을 청할 만큼 한결과 친하다.

  • 장준휘 - 배달 사무소 사장 역
한결의 배달 사무소 사장. 주로 들어오는 배달 의뢰를 직원들에게 배당하는 업무를 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5. 줄거리[편집]




6. 영화제 초청과 수상[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4081|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7.20 / 10
네티즌
7.28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7.20 / 10
네티즌
7.28 / 10
]]
평점 7.20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1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89%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평점 / 10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평점 평점 / 10



MRQE
평점 평점 / 100













7.1. 평론[편집]


기록된 평론가의 평론은 네이버 영화를 출처로 하고 있습니다.

★★★
스릴러에 버금가는 동시대의 그늘
갓난아기를 양육하며 거처 없이 떠도는 어린 부부를 경유해 부동산을 향한 욕망이 아닌 거주와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울타리로 바라보는 집 이야기. 영화가 당도한 결말의 방식은 다소 궁금증을 남기지만, 무책임한 연출이라기보다 솔직한 목격의 결과이자 말 걸기의 제스처로 느껴진다. 청년의 빈곤부터 노년의 고독사까지 전 세대에 걸친 시대의 그늘을 주목하는 시도만으로도 영화 전반에서 스릴러 장르의 문법이 감지될 정도. 이 영화가 진단한 한국 사회의 현재가 그렇기 때문일 것이다.


- 이은선

★★★
내 집은 어디인가
청년 세대의 주거 빈곤 문제를 그린 영화. 머물 집이 없는 어린 부부는 아기를 데리고 찜질방을 전전한다. 전세금 보증금 사기와 예상치 못한 사고들이 잇따르자 이들은 불가피한 선택을 하게 된다. 열심히 노동해도 빈곤을 벗어날 수 없는 부부의 현실을 보여주던 영화는 이들이 임시 거처를 마련하면서 조금씩 스릴러의 분위기를 풍기기 시작한다. 장르 전환이나 인물의 심리 묘사, 여운을 남기는 결말까지 현세대의 문제들을 극적으로 다루면서 신중을 기하는 태도가 돋보인다.



★★★
단란한 가족극이 되고 싶었던 주거 빈곤, 저출산 시대의 호러



★★★
스릴러보다 애타는 드라마



★★★
긴급한 건 낭떠러지에 놓인 사람의 허리에 생명줄을 묶어주는 일


- 이유채

★★★
누구의 잘못인지 겨냥할 수 없는 무딘 화살표


- 이자연

★★★
빈곤, 주거 문제, 고독사. 사각지대의 현실을 날카롭게 짚는다


- 조현나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902명미집계7,020,000원
1주차2022-09-15. 1일차(목)1,249명4,854명13위8,463,700원34,776,398원
2022-09-16. 2일차(금)745명15위5,333,700원
2022-09-17. 3일차(토)1,011명20위7,436,598원
2022-09-18. 4일차(일)923명19위7,014,500원
2022-09-19. 5일차(월)256명21위1,957,900원
2022-09-20. 6일차(화)318명20위2,375,500원
2022-09-21. 7일차(수)352명21위2,194,500원
2주차2022-09-22. 8일차(목)49명1,057명61위407,000원7,800,699원
2022-09-23. 9일차(금)52명58위435,400원
2022-09-24. 10일차(토)361명29위2,521,500원
2022-09-25. 11일차(일)324명26위2,149,400원
2022-09-26. 12일차(월)60명53위531,199원
2022-09-27. 13일차(화)164명31위1,354,500원
2022-09-28. 14일차(수)47명51위401,700원
3주차2022-09-29. 15일차(목)9명129명94위67,500원1,051,000원
2022-09-30. 16일차(금)14명83위97,000원
2022-10-01. 17일차(토)33명54위320,000원
2022-10-02. 18일차(일)14명74위136,500원
2022-10-03. 19일차(월)8명75위71,000원
2022-10-04. 20일차(화)13명62위124,000원
2022-10-05. 21일차(수)38명56위235,000원
4주차2022-10-06. 22일차(목)6명30명87위35,500원211,500원
2022-10-07. 23일차(금)4명94위33,000원
2022-10-08. 24일차(토)3명98위22,000원
2022-10-09. 25일차(일)7명91위50,000원
2022-10-10. 26일차(월)2명98위16,000원
2022-10-11. 27일차(화)3명90위19,000원
2022-10-12. 28일차(수)5명80위36,000원
합계누적관객수 7,057명, 누적매출액 51,497,597원[1]


8.2.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1] ~ 2022/11/27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