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카드상품/발급중단

덤프버전 : 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대카드/카드상품

1. 신용카드 - 구 알파벳 시리즈
1.1. M3 Edition3
1.2. M2 Edition3
1.3. M Edition3
1.4. T3 Edition2
1.5. X3 Edition2
1.6. X2 Edition2
1.7. X Edition2
1.8. 알파벳 1 시리즈
1.9. 알파벳 2 시리즈
1.10. 알파벳 3 시리즈
2. ZERO
3. DIGITAL LOVER
4. 프리미엄
6. 다이렉트
7. 체크카드
8. 제휴카드
8.1. 이마트 e카드
8.3.1. Hyundai BLUEmembers
8.3.2. Hyundai BLUEmembers Platinum
8.3.3. Hyundai BLUEmembers Platinum Plus
8.5. SSG.COM 카드
9. 특이상품
9.1. 선불카드
9.2. it card
9.3. Chameleon
9.4. 공무원연금-현대카드M


참고로 발급이 중단된 상품인 경우에는 인터넷/모바일 상에서는 훼손/분실 재발급이 안되고, 유선상이나(ARS) 카드지점에 내방하여 재발급 신청을 하는 점 유의바람.


1. 신용카드 - 구 알파벳 시리즈[편집]



1.1. M3 Edition3[편집]


파일:Hyundai_M3e3.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M3
Edition3
국내전용90,000[1]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M2 Edition1, 2와 100만원 사용분까지는 적립률이 같으나, 200만원 이상 사용분에 대해서 적립률이 2배 늘어난다. 이외의 혜택은 2 시리즈와 동일하다. 다만 현대카드 상담원 전언에 근거하면 카드발급을 최초로 신청할 때 전산상에서 사용자의 이용한도가 최소 220만원 이상 산출되어야지 심사에 통과할 수 있다고 한다. 이유는 플래티늄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이라는데 신용등급이 좋지 않거나 소득수준이 낮아 이용한도가 이정도까지 산출되지 않은경우 M Edition 2로밖에 발급이 안되는 것으로 보여지니 참고하기를 바라며 T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한다. 연간 600만원 이상 이용 시, 발급 2~5년차 동안 본인카드 연회비가 8만원으로 감면되고, 발급 6년차 이후 본인카드 연회비 7만원으로 감면된다.


1.2. M2 Edition3[편집]


파일:현대카드_M2E3.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M2
Edition3
국내전용60,000[2]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M 서비스와 같다. 또한 플래티늄 서비스가 추가되었다. 발급 후 연간 600만원 이상 사용 시 발급 2~5차년도 동안 연회비가 5만원으로 감면되고, 6년차부터 4만원으로 감면된다.


1.3. M Edition3[편집]


파일:현대카드_ME3.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M
Edition3
국내전용30,000[3]
파일:비자카드 로고.svg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강력한 포인트카드

포인트 적립 위주의 카드. 전작과 다르게 당월 이용금액 50만원 미만 시 M포인트 적립 제외. 당월 이용금액 100만원 이상시 1.5배를 적립해준다. 통신사 관련 제휴 카드가 있는데 한달 동안 일정 금액을 쓰면 통신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연회비가 기존 에디션 2에 비해서 올랐는데, 연간 600만원 이상 사용 시 발급 2차년도부터 연회비가 2만원으로 감면된다.


1.4. T3 Edition2[편집]


파일:Hyundai_T3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3
Edition2
국내전용65,000[4]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70,000[5]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세로형 플레이트
발급 불가능
기존 T3는 스카이패스 및 M포인트 동시 적립이었으나 T3 Edition 2는 대한항공/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만 해준다. 하지만 누가 Edition 2 아니랄까봐 역시 50만원 미만 마일리지 미적립이다. T3에는 없던 PP카드(연5회), 로밍이용권(2회) 등을 주고 연회비가 싸졌으나(10만원 → 6.5/7만원), 적립률 하향(1500원당 1마일 → 1,000원/1,500원당 0.8마일), 리워드 하향(연 2,000만원 사용시 동반자 국내항공권 → 연 2400만원 사용 시 10% 보너스 마일리지) 등 더 애매해졌다. M3 Edition 2와 비슷하게 월 사용액 200만원 이상 시 0.8마일에서 1마일로 적립률이 올라간다. 카드 앞면 우상단에는 선택한 제휴항공사에 따라 대한항공 혹은 아시아나항공 로고가 추가 프린팅된다.


1.5. X3 Edition2[편집]


파일:X3_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X3
Edition2
국내전용65,000[6]
파일:UPI_New.jpg
Platinum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70,000[7]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세로형 플레이트
발급 불가능
이마트 e카드 출시 이후인 2016년 1월 4일에 나온 신상 상품. 전월 실적 200만원을 달성하면 시즌 캐시백 10% 할인(6만원 한도)가 있는 것이 X2 와의 차이점이다. 하지만 시즌 캐시백 사용처가 한 업종에 불과하기 때문에, 캐시백 사용처가 본인의 소비성향과 맞지 않는다면 오히려 X2 보다 손해를 볼 수 있는 카드.


1.6. X2 Edition2[편집]


파일:hyundaicardx2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X2
Edition2
국내전용35,000[8]
파일:UPI_New.jpg
Platinum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40,000[9]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세로형 플레이트
발급 불가능

현행 X 에디션 2 시리즈 중에서는 가장 가성비가 괜찮은 상품이다. 현대카드 자체 플래티넘 혜택도 Edition 2 버전으로 다양하게 받을 수 있으며, 특별할인 및 VISA/Master 플래티넘 서비스까지 활용하면 연회비만큼의 혜택은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카드. 가족카드 연회비를 별도로 부과하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1.7. X Edition2[편집]


파일:hyundaicardx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X
Edition2
국내전용15,000[10]
파일:UPI_New.jpg
파일:비자카드 로고.svg20,000[11]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세로형 플레이트
발급 불가능

쓸수록 커지는 할인카드

2016년 1월 4일 출시한 캐시백 카드. 에디션 2로 개편되면서 X캐시백 적립에서 할인으로 변경되어 편해졌지만, 추가 할인 메뉴 삭제와 시즌 스페셜 할인(신청 필수) 영역 축소로 너프를 먹었다.

골라서 신청하는 것이 아님에도 분기에 한번씩 신청하지 않으면 추가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 혜택다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사용실적으로 100만원을 요구하는 점 등이 사람 난감하게 하는 카드. X의 디자인이 맘에 드는게 아니라면 그냥 ZERO를 쓰거나 타 카드사의 할인카드를 쓰는게 훨씬 낫다.



1.8. 알파벳 1 시리즈[편집]


파일:hyundaicardm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M Edition2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UPI_New.jpg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15,000비자 payWave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15,000
포인트 적립 위주의 카드. 전작과 다르게 당월 이용금액 50만원 미만 시 M포인트 적립 제외. 당월 이용금액 100만원 이상시 1.5배를 적립해준다. 통신사 관련 제휴 카드가 있었는데 한달 동안 일정 금액을 쓰면 통신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었다.

파일:현대카드_X.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X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UPI_New.jpg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15,000
2013년 7월 1일 출시한 캐시백 카드. 당월 이용금액 50만원 미만시 캐시백 적립 제외 사용기간 및 해당 기간 이용실적에 따라 연간 누적 캐시백의 5~10%를 보너스로 캐시백해 준다. 또한 시즌별로 일부 분야에서 5%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전월 50만~100만 0.5%/전월 100만 이상 1.0% 현금 캐시백, 캐시백 한도 제한 없음. 시즌 캐시백을 받기 위해서는 사전 신청해야 하고 월 보너스 캐시백 한도는 3만 포인트이다. 현대카드 홈페이지 경유로 쇼핑시 추가 X캐시백 혜택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시즌 캐시백은 물론 기본 혜택으로 적립받은 X캐시백마저 현금으로 돌려받기 위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사항을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016년 1월 에디션2가 나오면서 단종되었지만 미래에셋대우[12] 제휴카드로는 아직 발급받을 수 있다.

  • H: M/L. 학원 통신 병원 약국 광고로 인기를 끌었다. 생활형 카드로 연간 사용 금액에 따라 캐시백이 있다.
  • M: V/M/D/L. 단일 카드로 회원수가 800만 명이나 되었고 출시 당시에는 포인트 적립에 올인한듯한 모양새를 보여줬으며 투명카드, 미니멀 디자인 등 선구적인 카드다. 일부 제휴카드로는 아직 발급받을 수 있다.
  • M Lady: V/M/L. M의 여자판. M보다 혜택이 많다.
  • O: V/M/L. 모든 주유소에서 리터당 60원, LPG는 리터당 30원 할인 혜택을 준다. 전월 실적 계산식은 신판+현금서비스의 10%다.
  • R: V/M/L. 과거에는 R10이라는 카드였다. 쇼핑리워드 카드로 백화점/할인점에서 건당 10만원 이상 결제시 10%, 5만~10만 사이는 5%, 5만 이하는 미적립이다.
  • T: V/M. W나 W2를 계승하는 여행카드로 마일리지 적립과 면세점 기프트카드 리워드 용도로 쓴다.
  • V: M/L. M이 적립 위주라면 V는 할인 위주로 혜택받는 곳은 많지만 할인액의 기준이 되는 전월실적 산정이 복잡하다.


1.9. 알파벳 2 시리즈[편집]


파일:현대카드_X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X2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30,000
파일:UPI_New.jpg기본 5,000+제휴 3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35,000
기본적인 X 혜택에 플래티늄 서비스가 추가되었다. 플래티늄 서비스로 할인받은 금액도 캐시백이 가능하다.

  • A2/K2: 각각 M, V/M. A2는 해외 결제시 아시아나클럽 1,000원당 3마일리지라는 높은 적립률을 가지고 있고 K2는 대한항공 홈페이지 예매/발권시 1,500원당 5마일리지다. 다만 A2는 2014년 7월부터 해외 3마일로 적립 가능한 금액이 년 500까지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해외 직구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피해를 보게 되었다.
  • E2: V/M. 전월 실적이 50만원이라 조금 높은 대신에 학원, 유치원, 교보문고(오프라인), YES24 결제 금액을 각 5%, 월 최대 5만원 할인된다.
  • M2: V/M. M의 업그레이드판이라고 불리기에는 M의 기본 혜택에서 더한 게 Club Service라는 고급 서비스를 추가한 라이프 스타일이 이런 쪽이 아니면 연회비 낭비이다.
  • V2: V/M. V의 업그레이드판. 전월 실적 기준은 E2와 똑같으며 V2의 할인 혜택들이 좀 더 한도가 커져서 나왔다.


1.10. 알파벳 3 시리즈[편집]



  • H3: V/M. H의 혜택에 M포인트 적립 추가.
  • M3: V/M. 2013년 7월 포인트 혜택 및 적립은 줄었으나 연회비는 그대로라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게 되었다. M3 Edition2 카드를 새롭게 선보였으나 혜택은 별로이다.
  • R3: V/M. R의 혜택에서 온라인쇼핑이 빠진 대신 M포인트 적립 추가.
  • T3: V/M. T의 혜택에 M포인트 적립, 대한항공 1,500원당 일시불/할부 1마일, 골프 업종 2마일. 이게 M포인트와 같이 쌓이고 연 2천만원 이상 사용시 동반자 국내 왕복항공권 무료. 이후 +- 투트랙으로 카드 라인이 개편되며 M계열을 제외한 모든 알파벳 카드가 단종시 살아남아 Edition2로 업데이트.


2. ZERO[편집]


파일:Hyundai_ZERO.png 파일:H_ZERO_MOBILE.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ZERO(포인트형/할인형)
ZERO MOBILE(포인트형/할인형)
국내전용기본 5,000
파일:UPI_New.jpg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 + 제휴 5,000컨택리스 지원
2011년 11월 14일 할인형이 처음 출시되었다.
연회비는 국내전용/은련(2017년 6월 부활) 5,000원, 비자카드 10,000원이며 혜택은 모든 가맹점 0.7% 할인 또는 1% 적립되며 국내 생활필수 영역은 0.5% 할인 또는 1% 적립 추가로 1.2% 할인 혹은 2% 적립된다. 생활필수 영역은 대형 할인점, 편의점, 음식점, 커피 전문점, 버스/지하철/택시, 생명보험사로 총 6개 업종이다. 그리고 ZERO (할인형)은 국내 모든 가맹점에서 2~3개월 무이자 할부가 가능한데, 무이자 할부는 할인에서 제외된다. 그 밖에 장/단기카드대출, 제수수료, 세금, 공과금, 도시가스 요금, 대학 등록금 등도 할인에서 제외된다.

2017년 6월 1일 포인트형이 출시되었다. 전 가맹점 1% M포인트 적립, 국내 생활필수 영역은 1% 추가 적립에 선결제시 0.5% 추가 적립해준다. 물론 전월실적 조건은 없으며, 연회비도 그대로다. 월 사용금액이 100만원 미만이면 M 에디션 2 카드보다 훨씬 낫다. 이와 함께 ZERO MOBILE이 포인트, 할인형 동시 출시되었는데, ZERO MOBILE은 생활필수 영역 대신에 6대 온라인 쇼핑영역[13]에서 M포인트를 1.5% 추가 적립, 할인은 0.8% 추가 할인해서 선결제까지 하면 총 3% 적립 또는 1.8% 할인이 된다. 이렇게 해서 ZERO 시리즈만 4개가 되었다.

현대 제로카드 4종 비교

매출 5일 이내 선결제시 할인형은 0.3% 추가 할인, 적립형은 0.5% M포인트 추가 적립이 된다.

사용 패턴에 따라 매우 유용한 카드인데,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어디서나 할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대부분 신용카드는 혜택 조건이 정해져 있으며, 아무리 큰 할인을 해 준다고 해도 나에게 적용이 되지 않으면 그 카드는 플라스틱 조각에 불과하다. 대표적인 경우가 씨티카드에서 대중교통과 점심식사에 대해 할인 혜택을 주는 '매일 할인' 제도인데, 만약 본인이 승용차나 도보로 출근하거나 시내버스, 지하철 무임승차가 가능한[14] 국가유공상이자(1~7급)에 해당하는 경우, 그리고 점심을 음식점에서 먹지 않는 경우에는 혜택의 절반이 무용지물이 된다. 카드 여러 장을 사용하면 해결되는 문제지만, 카드마다 혜택을 외우고 전월실적을 신경쓰고 할 바에 제로 카드로 깔끔하게 결제하고 끝내는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제로의 또 다른 장점은 전월 실적과 할인 한도가 없다는 점이다. 실적조건이 있는 카드를 쓰다보면 실적을 맞추기 위해 고민하는 경우가 자주 생기는데, 제로는 그런 고민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아울러 할인 한도가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신용카드는 대부분 1달 할인 한도가 2~3만 원 정도인데, 혜택 대상이 나와 맞지 않는 경우 혜택이 반토막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하지만 이 카드는 밥을 먹든, 책을 사든, 학원을 다니든, 관리비를 내든, 카드 이용 금액 거의 대부분에 할인이 적용된다. 물론 연회비 회수를 위해서는 한달에 약 6만원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정도 금액은 신용카드 사용자에게는 사실 아무것도 아니다. 실적 등에 신경쓰지 않고 쓰기만 하면 적어도 손해볼일은 없다는 뜻이다. 물론 특정 업종 혜택 카드의 실적을 다 채운 다음, 이후의 결제금액은 제로로 해결하는 식의 세컨드 카드로서도 대단히 유용하다.

제로를 메인카드로 사용할 사람이라면, 일반과 모바일형을 2개 발급하면 더욱 좋다. 현대카드는 2019년 8월 이전 출시된 카드의 기본 연회비는 가장 비싼 카드 1장만 청구하기 때문에, 발급한 다른 카드의 기본 연회비를 상쇄시킬 수 있다.[15] 이렇게 카드를 2장 발급받아 오프라인에서는 일반형을 사용하고, 온라인에서는 모바일형으로 결제하면 연회비 추가 없이 피킹률만 더 올릴 수 있다.


3. DIGITAL LOVER[편집]


파일:JEANC1.png 파일:JEANC2.png
Jean Crush
설명 펼치기/접기
디지털 러버의 우주선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 Jean Crush
우주선에서 떨어진 메탈 조각을 상상하여 그려낸 플레이트입니다.
마치 시간의 흔적이 담긴 듯한 메탈 시트(Crushed Sheet)를 신규 개발하였고, 후면에 활용한 유광 옐로우 네온 컬러는 전면과의 대비를 극대화하여 반전의 이미지를 표현했습니다.
파일:RUSTYR1.png 파일:RUSTYR2.png
Rusty Robot
설명 펼치기/접기
디지털 러버의 오랜 로봇 친구, Rusty Robot
부식되어 빛바랜 낡은 로봇을 모티브로 한 플레이트입니다.
전면에 사용한 3가지의 후가공 기술로 각기 다른 재질감을 구현하여, 기존 플레이트와는 확연히 다른 감촉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파일:StarBomb1.png 파일:StarBomb2.png
Star Bomb
설명 펼치기/접기
우주선 창 너머로 보이는 별의 강렬한 폭발, Star Bomb
행성이 폭발할 때 발산하는 에너지를 강렬한 컬러 대비로 표현한 플레이트입니다.
칠흑같은 우주를 담은 블랙 컬러와 폭발하는 에너지의 오렌지 네온 컬러에 유광, 무광의 후가공을 더해 강렬한 인상을 보여줍니다.
파일:FoggyP1.png 파일:FoggyP2.png
Foggy Planet
설명 펼치기/접기
디지털 러버의 우주선으로 통하는 카드 키, Foggy Planet
우주선 안으로 안내해 줄 디지털 러버의 ID, 카드 키를 모티브로 한 플레이트입니다.
카드 모듈로 나뉘어진 그래픽 아래 반투명한 재질의 IC 칩, 회로와 같은 카드의 주요 요소를 그대로 노출하고, 옐로우 네온 컬러로 SF적인 느낌을 강조했습니다.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DIGITAL
LOVER
국내전용20,000[16]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컨택리스 지원

디지털 여행자의 ID *


2020년 2월 현대카드가 새롭게 도입한 혜택 체계인 3F 시스템이 처음으로 도입된 카드이다. 디자인은 총 4가지이며, 모든 카드들이 가공을 잘 한 편이라 실제로 보면 굉장히 특이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주 혜택은 (1) 5대[17]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 中 1개 1만원 청구 할인, (2) 6대[18] 온라인 간편 결제 서비스 5% 청구 할인(한도 월 1만원)의 2가지이며, 둘 다 전월실적 50만원이 필요하다.

전월실적 50만원이 꽤 높아보이지만, 이런 류의 다른 카드와 달리 세금, 관리비, 현대카드 이벤트를 통한 할인, 상품권 등 거의 대부분의 카드 사용액이 실적이라 생각만큼 전월실적에 대한 압박이 높지 않다. 또한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는 확정적으로 할인되며, 할인되는 간편결제 플랫폼도 그렇게 적은 편은 아니라 특정 분야 할인 카드 중에서는 사용 난이도가 굉장히 쉬운 카드이다. 피킹율도 2/50 = 약 4% 정도이므로 꽤 준수한 편. 또한 현대카드 중에서 보기드문 특정 분야 할인카드라, 3층 시스템[19]이나 카드사 청구 할인, 상품권 등을 통해 피킹율을 더 끌어올릴 수도 있다.

현대카드가 아닌 모든 신용카드사로 확대해서 비교해보더라도, 2020년에 발매된 카드 중에서 밸런스가 굉장히 좋은 편에 속하는 카드이다.

2022년 5월 26일 발급 종료.


4. 프리미엄[편집]


파일:hyundaicardtr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Red Edition2(포인트형/할인형)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90,000 / 가족카드 65,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Signature
기본 5,000+제휴 195,000 / 가족카드 70,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기본 5,000+제휴 195,000 / 가족카드 70,000
M포인트 적립 (Edition 2 시리즈의 특징인 50만원 이상 조건 포함), PP카드 발급, 25만원 상당의 바우처 제공. 트래블(15만원), 쇼핑(10만원) 바우처로 나뉜다. 트래블 바우처 사용처는 국내항공권(동반자 무료. 바우처 1장에 왕복 1회 이용가능), 호텔/골프/레스토랑/롯데면세점 15만원 사용 중 택1. 쇼핑 바우처는 지정 호텔, 해비치 골프장, 롯데면세점, 록시땅, 아띨라 매장 에서 장당 10만원의 가치가 있다.[20] 할인형은 2016년 1월 X3 Edition과 동시에 신규 출시되었다. 2018년 4월 25일부터 발급 중단되고 에디션 3로 리뉴얼 되었다.

파일:theRed_E4.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Red
Edition4
국내전용300,000[21]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Signature
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컨택리스 지원
M포인트 적립, PP카드 발급, 20만원 상당 바우처 제공. 여행(10만원), 쇼핑(10만원), 고메(10만원), 뷰티(5만원), 커피(5만원)으로 나뉜다. 2021년 10월 14일부터 발급 중단되고 에디션 5로 리뉴얼 되었다.

파일:hyundaicardtp.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Purple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590,000 / 가족카드 145,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기본 5,000+제휴 595,000 / 가족카드 150,000
기본 혜택은 사용금액 1,500원당 항공사 구분없이 사용 가능한 오픈 마일리지 1마일 적립[22]. & 명품 브랜드 HUGO BOSS, DKNY, ck Calvin Klein, L’Occitane, Melvita 중 택 1 에서 20만원 결제 가능한 바우처 제공. & 롯데 면세점 or 지정 호텔에서 사용 가능한 10만원권 바우처 2매 제공. & 프리비아에서 항공권 결제 시 국내, 일본, 중국, 동남아, 남태평양 동반자 1인 왕복 무료항공권(아시아나항공 기준 3만 마일) or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노선 이용시 본인 항공 좌석 승급 바우처 제공.(아시아나항공 기준 2~2.5만마일) & PP카드 발급. 일반인이 발급할수 있는 프리미엄 카드의 한계이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내부적인 발급기준이 대폭 상향되어 중견기업 임원급 직위가 아니면 발급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2018년 4월 25일부터 발급 중단되고 에디션 2로 리뉴얼 되었다.

파일:thePurple_E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Purple
Edition2
국내전용795,000[23]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Infinite
800,000[24]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Qualified Only

역시 2018년 4월 25일에 the Red와 함께 리뉴얼된 카드다. 대한항공형, 아시아나형, M포인트형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으며, 오픈 마일리지는 적립되지 않는다. 연회비는 20만원 인상되었고, 바우처에도 변화가 생겼다. 실질적인 현대카드 VIP 라인의 시작점.
2021년 1월 29일 발급 중단.

파일:Hyundai_Green.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Green
Edition1
국내전용145,000[25]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Signature
150,000[26]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컨택리스 지원

My First Luxury

갖고 싶지만 존재하지 않았던

Entry 럭셔리카드

2018년 8월에 출시된 프리미엄 라인업 상품. 기존의 간판 프리미엄 카드였던 the Red가 연회비가 오르고 발급 자격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새로운 프리미엄 라인업의 엔트리급으로 발매되었다. 현대카드 오리지널 시리즈 라인업에서 흔히 쓰이는 기준인 당월 결제 금액 50만원을 최소 실적으로 채택하고 있는데, 실적/적립 인정 기준이 매우 넉넉한 편이다[27]. 특별 적립 한도도 요즘 카드 치고 아주 넉넉한 편이라, 여행지에서 집중적으로 사용하여 특별 적립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거나 상품권 구매/관리비 등을 이 카드로 몰아서 높은 기본 적립률을 챙기는 등의 테크닉을 활용하기 좋다. 바우처 혜택과 국제 카드사 등급 서비스는 빈약한 편인데 M포인트와 현금 1:1 교환을 바우처 혜택이라고 하고 있으며 국제 카드사 등급도 시그니처/월드로 높지만 라운지/발렛파킹 서비스는 제외라 의미가 없다. 2021년 10월 14일 부터 발급이 중단되고 에디션 2로 리뉴얼 되었다.

  • The Red M포인트형: M WORLD. 연회비 20만 원. M포인트 적립, PP카드 발급, 바우처 제공. 매해 기프트 바우처 2장을 주는데, 사용처는 국내 항공권(동반자 무료. 바우처 1장에 편도 1회 이용가능), 지정 호텔, 해비치 골프장, 롯데면세점에서 장당 10만원의 가치가 있다.
  • the Black: M WORLD. 연회비 200만 원. 위의 the Black Edition2의 전신으로, 이 때도 초청 한정 가입과 9999장 한정 발급 제도는 여전했다. 그런데도 가입자는 2000명 정도라고 한다. Edition2로 바뀐 이후에 9999명이 리셋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파일:Hyundai_Black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the Black
Edition2
국내전용2,495,000[28]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Infinite
2,500,000[29]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World

Invitation Only

상위 0.05%를 위한

국내 최초 VVIP 카드

현대카드 프리미엄 라인업의 최상위 상품으로, 연회비가 무려 250만 원이다. 이 카드는 일반인은 인터넷은 물론 전화로도 절대 신청할 수 없으며, 오로지 현대카드 본사의 초청을 받아야 신청이 가능하며 현대카드 임원 앞에서 기준이 충족하다고 판단되면 발급되는 카드다. 기준이 어느 정도냐 하면, 4년제 대학 총장, 장관급 공무원, 매출 or 자산 1,000억원 이상 회사의 CEO[30], S급 연예인[31]이나 S급 프로 스포츠 선수 등, 누구나 이름만 들어도 알 정도의 명사들에게만 초청하여 발급한다.[32] 그리고 9,999장 한정 발급. 현재까지도 발급자는 3,000명도 안된다. 혜택도 막강해서 가입하자 마자 따라오는 바우처만으로도 연회비를 다 퉁쳐버릴 수 있을 정도. 1호 발급자는 정몽구 현대차 명예 회장이다. 그의 사위는 9999번이다.
여담으로 호텔 발렛서비스가 횟수제한없이 제공된다. 발렛비를 비자나 마스터카드로 제휴처리를 하면 영수증이 나오는데 잔여횟수가 99회나 999회로 나온다. 몇번을 해도 계속 같은 잔여횟수로 나온다.


5. 다이너스 클럽[편집]


파일:hyundaidiners.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Diners 마일리지파일:다이너스 클럽 로고.svg기본 5,000+제휴 45,000스카이패스/아시아나클럽 중 선택
가족카드 1장 가능[33]

현대카드 홈페이지에는 알파벳카드 메뉴에 들어가야 볼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신청이 불가능하고 전화신청(1577-0100)만 가능하도록 바뀌었다. 시작이 '다이너스 클럽 코리아'였던 만큼 현대카드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다이너스 클럽 브랜드의 카드를 발급하고 있었다. [34]

한때 발급이 가능한 것은 연회비 5만 원짜리 현대 다이너스 마일리지 한가지뿐. Diners M[35]도 있었으나 현재는 단종되었다. 아시아나클럽/스카이패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일리지 적립을 해 주는데, 혜택은 라운지같은 다이너스 클럽의 자체 서비스 외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전부다. 적립률은 아시아나클럽 1,000원당 1.2마일, 스카이패스 1,500원당 1.2마일로 무난한 수준. 추가로 기본적인 현대카드 서비스가 제공된다. 글로벌 뮤지엄 패스 적용 대상인 것을 보면 회사에서는 다이너스 클럽 카드를 플래티넘급으로 분류하는 듯하다.

카드 자체만 두고 본다면 연회비는 알파벳의 2/3 수준(5만원)으로 받아가는데 해외에서 받아주는 데도 별로 없고, 그렇다고 프리미엄 카드도 아닌, 애매한 포지션의 애물단지다. 하지만 다이너스 클럽 카드의 진가는 결제가 아닌 다이너스 클럽 회원이라는 데 있다.

이유인즉슨 다이너스 클럽 회원인 경우 전세계 약 500여 곳의 Diners Lounge의 사용이 무료로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Priority Pass에 비해 수는 적지만 무제한 사용 가능한 Priority Pass를 받으려면 $399를 주고 가입하던가 연회비를 몇십만원씩 내고 Red나 Purple 등 프리미엄 카드를 발급받아야 하는 만큼, 가성비로 치자면 이만한 물건이 없다. 물론 Priority Pass 회원인 경우 라운지 커버리지가 다이너스 클럽보다 넓다는 장점이 있지만[36], Priority Pass를 받기 위해 무리해서 프리미엄 카드를 받는 것보다 다이너스 클럽을 받는 쪽이 이득일 수 있다.[37] 중장거리 해외 출장이나 여행을 자주 가는 경우라면, 편안한 여정을 위해 받아 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라운지 이용 횟수 제한도 없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PP카드보다 다이너스가 커버리지가 넓고, JCB와의 제휴로 받아 주는 카드 가맹점도 비교적 많은 편이라서 일본을 왕복하는 사람들은 발급받을 만하다.

그 외에는 2008년에 디스커버가 다이너스 클럽을 인수한 관계로, 비씨카드와 더불어 디스커버의 대한민국 결제망 중 하나가 현대카드이기도 하다. 외국 발행 디스커버 카드를 결제시 비씨카드 혹은 현대카드를 거친다.

참고로 한때 씨티그룹이 다이너스를 갖고 있어서였는지는 몰라도, 한국씨티은행이 지원하는 유일한 외부 신용카드사가 현대카드다.

해외신판시 로열티는 1%를 받는다. 그나마 현대카드에서 받는 게 자선사업 수준이다. 외국 발행 다이너스 카드는 대한민국보다 로열티가 더 비싸기 때문이다. [38] 게다가 할부가 안 되는 해외 발행 다이너스 카드와 달리, 현대카드에서 발급하는 다이너스 카드는 할부가 가능하다.

다이너스 마일리지가 인터넷으로 받지 않고 전화신청으로만 받는 것으로 바뀌면서 2018년 5월 31일까지 신규/추가 발급이 중지되면서 제휴 라운지도 국내 공항 기준 수가 대폭 줄어들어 지금은 SKY HUB 또는 인천공항 2터미널의 LOUNGE.L만 이용가능하다. 2019년 12월 31일 Diners club International과의 제휴가 종료되면서 현대카드에서 다이너스 카드를 볼 수 없게 되었다. 기존 카드는 유효기간까지 사용 가능하며 기존 라운지 등의 서비스도 유효기간까지 그대로 제공된다.

그리고 비씨카드로 갈아탄 다이너스 클럽이 우리카드를 통해 신상을 내놓았는데, 연회비가 무려 30만 원임에도 현대 시절보다 혜택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6. 다이렉트[편집]


파일:현대카드_DIRECT.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다이렉트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5,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20,000

2012년에 나온 상품. 카드 모집인을 통하지 않고 직접 신청하면, 모집인에게 줄 리베이트를 그냥 너에게 주겠다는 컨셉. 피킹계의 반응은 매우 뜨뜻미지근했으나, 2013년 6월 30일 쿨하게 단종.


7. 체크카드[편집]


  • 현대카드 C 캐시백형: 편의점/커피전문점/베이커리/패스트푸드/영화 이용금액의 5%를 환급 할인. 통합 할인한도는 1만원.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넣을 수 있으며 하나은행 현대카드 C의 경우 현대오일뱅크 주유 캐시백 혜택도 있다. 하나은행 현대체크 C가 2014년 7월 31일 발급이 종료되면서 캐시백형 카드는 신규/추가 발급이 전면 종료되었다. 갱신재발급은 하나은행 현대체크 C를 제외하고 가능하다.

  • 현대카드 C 포인트형: 조건없이 이용 금액의 0.5%를 M포인트로 적립. M포인트 사용은 반드시 현대카드 M을 소지해야 한다. 2013년 9월 12일 신규/추가/갱신발급 종료. 하나은행 현대체크 C의 발급이 종료되면서 이게 현대카드에서 한때 연회비가 없는 유일한 체크카드가 되었고 이후 하나은행 제휴 현대 M 체크와 이마트 e 체크가 연회비를 받지 않는다. 우체국산림조합, 일부 증권사에서 살아남은 카드가 이 카드. 하지만 우정사업본부가 자사의 체크카드를 팍팍 밀어 주면서 새 자재가 공급이 잘 안 되게 되어 우체국 현대체크 C도 단종될 가능성이 높았는데, 2017년 12월 신규/추가/갱신발급/분실훼손 재발급 중단.

파일:hyundai_postbank_c.png
상품명연회비비고
우체국 현대 체크카드없음
우체국 제휴 체크카드로 현장발급만 가능했다. 결제시 M포인트가 0.5% 적립되며 전월 결제 실적이 있는 경우 월 10만원 결제 분까지 우편요금 10%를 캐시백해 준다. CGV 연10회, 월1회 1500원 할인과 놀이공원 50%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후불교통카드는 선택할 수 없으며 현대카드 M 체크와 달리 외식/여행/여가/주유 등 일부 청구할인 사용처에서는 M포인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2017년 12월 15일 신규/추가/갱신 발급 중단. 2018년 1월 1일 분실/훼손 재발급 중단.

파일:hyundai_kebhana_mcheck.png
상품명연회비비고
KEB하나은행 - 현대카드 M 체크카드없음
하나은행 제휴 체크카드로, 연회비가 없는 점을 제외하면 기존 M체크와 혜택과 동일하다. 만18세 미만 미성년자의 발급은 불가하며, 인터넷으로는 신청할 수 없었고, 하나은행 지점 창구에서 현장 즉시발급(선발급)만 받았다. 2018년 11월 30일 신규 발급 중단. 2022년 10월 4일 SC제일은행 현대체크 M이 나오기 전까지 M 체크카드를 연회비 없이 받을 수 있는 방법이 경차를 소유하지 않는 이상 한동안 볼 수 없었다.

파일:hyundai_nfcf_c.png
상품명연회비비고
산림조합 - 현대카드 C 체크카드없음
2011년 10월 30일 출시. 산림조합 제휴 체크카드로 현장 발급만 가능했다. 발급시 현금카드 기능이 부여되며 다른 현대카드 C 체크 시리즈와 달리 M포인트가 0.3%만 적립된다. 현대카드 포인트 비율을 반영하면 실질적인 적립률은 0.2%. 그 외 연10회 월1회 한도로 CGV 1,500원 할인과 놀이공원 50%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후불교통카드는 선택할 수 없으며 현대카드 M 체크와 달리 외식/여행/여가/주유 등 일부 청구할인 사용처에서 M포인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2019년 7월 10일 신규/추가/갱신 발급 및 분실/훼손 재발급 중단.

파일:hyundaicardemtc.png
상품명연회비비고
이마트 체크카드없음신세계포인트
2015년 5월 14일 출시. 이마트 제휴 체크카드로 고객센터나 현대카드 홈페이지에서만 신청할 수 있었고, 연회비가 나오지 않는다. 신세계포인트 적립 기능은 똑같지만, 이마트 신용카드에 비해 신세계포인트 적립률이 반토막난다.[39] 이마트 e 신용카드에 제공되었던 특별 혜택이 없고 흰색 바탕이며, 모서리가 모난 모양으로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나름대로의 실용성을 자랑해 왔던 현대 체크카드로 존재감이 높았으며, 후불교통카드도 선택할 수 있다. 쓸 만한 곳은 이마트24 정도로, 총 1%를 적립받을 수 있다.[40] 신세계 계열 이외의 가맹점에서 이용시 2~3일 있다가 신세계포인트가 들어오기 때문에 신세계포인트를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신세계포인트는 SSG MONEY로 전환하여 사용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OK캐쉬백, 하나머니 등으로 전환하여 현금화도 가능하다. 비록 M포인트가 H-Coin으로 전환하여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하나은행 제휴 현대 체크카드를 제외한 현대카드 M 체크에는 연회비가 청구되기 때문에 이 상품의 존재 가치는 높았다. 한국산업은행 이용자들에게는 후불교통, 현금카드, 연회비 면제를 충족하면서도 발급조건이 까다롭지 않은[41] 유일한 체크카드여서 많이 선호했다. 대구/부산/SC을 제외하고 모든 연결 가능 은행에 현금카드의 등록이 가능하다. 이마트 임직원용 P010 카드도 발급되니[42] 이마트 PT 사원의 경우 발급받아 놓으면 요긴하게 쓸 수 있다. 2019년 8월 14일 발급 중단.


8. 제휴카드[편집]


파일:hyundai_himart_discount.png 파일:hyundai_kt_discount.png 파일:hyundai_uplus_discount.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하이마트/KT/U+ Mobile - M Editon2(청구할인형)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UnionPay_logo.svg.png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15,000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통신 요금 할인 제휴카드로 다른 제휴 혜택은 전무하지만 할인이 높다. 36개월까지 전월실적 30만원 이상 17000원, 70만원 이상 2만원 할인이며 37개월부터 전월실적 30만원 이상 6천원 할인으로 바뀐다. 하이마트 카드는 통신 3사 모두 할인이 가능한 카드이다. 헬로모바일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3사와 하이마트 카드는 2019년 2월 신규/추가/갱신 발급이 중단되었다.

  • 까르푸 클럽 현대카드: 까르푸에서 결제할 경우 OK캐쉬백 포인트를 적립했다. 2004년 출시되어 2007년 까르푸가 홈에버로 바뀌면서 폐지됐다. 신용(비자), 체크(국내용) 다 있었는데 체크카드의 경우 SC제일은행 BC카드와 경쟁했다.


8.1. 이마트 e카드[편집]


2019년 8월 14일, 이마트 e카드 Edtion2가 출시되면서 신규/추가/갱신 발급 중단.

파일:hyundaicardemrt.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이마트 신용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5,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비접촉 결제 지원
2015년 5월 14일 출시. 이마트와 제휴해서 나왔다. M포인트 대신 신세계포인트로 적립되며, 신세계그룹 관련 업종[43]은 전월 실적 50만원 미만인 경우 1%, 50만원 이상이면 1.5% 추가로 신세계포인트가 적립되고 그 외 가맹점에서는 신세계포인트 0.7%가 적립된다.[44] 이마트에서 0.1%가 기본 적립인데 추가 적립에 따라 1.1~1.6% 적립받을 수 있다는 것.[45]

파일:hyundaicardemtp.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이마트 Platinum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25,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비접촉 결제 지원
이마트 신용카드에 플래티넘 서비스가 추가됐다. 카드 자체 색상이 일반은 검정/빨강, My Business는 빨강, 플래티넘은 보라색으로 나온 게 특징이다.

파일:hyundaicardemtmb.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이마트 MY BUSINESS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25,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비접촉 결제 지원
이마트 플래티넘 카드의 개인사업자 버전.[46]


8.2. 기아[편집]


2020년 2월 2일 자로 발급 종료. 신규/추가/교체발급 불가. 분실/훼손재발급 가능

카드 자체는 현대자동차 제휴카드와 동일하며, 블루멤버스 포인트 대신 레드멤버스 포인트가 적립된다. 다만 완성차에서 행하던 적서차별(...)이 여기에도 있어 레드멤버스 포인트가 블루멤버스 포인트 대비 사용처가 좁거나 혜택이 적다. 그나마 레드멤버스 포인트로만 할 수 있는 거라곤 도미노피자 할인/적립과 GS25 할인 뿐이다.

파일:card_MRDE2_h.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KIA RED MEMBERS 신용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1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15,000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파일:card_MPRDE2_h.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KIA RED MEMBERS Platinum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3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35,000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파일:card_M3PRDE2_h.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KIA RED MEMBERS Platinum Plus카드국내전용기본 5,000+제휴 60,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기본 5,000+제휴 65,000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8.3. 현대자동차[편집]


2021년 4월 26일자로 발급 종료. 신규/추가/교체발급 불가. 분실/훼손재발급 가능


8.3.1. Hyundai BLUEmembers[편집]


파일:BlueMembers_1.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Hyundai
BLUE
members
국내전용15,000[47]
파일:비자카드 로고.svg20,000[48]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신차 구매 혜택은 물론, 쓸 때마다 블루멤버스포인트와 M포인트가 동시에 쌓이는 카드

매달 적립되는 M포인트의 15%가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된다. 나머지 사항은 M과 동일.


8.3.2. Hyundai BLUEmembers Platinum[편집]


파일:BlueMembers_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Hyundai
BLUE
members
Platinum
국내전용35,000[49]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40,000[50]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신차 구매 혜택은 물론, 쓸 때마다 블루멤버스포인트와 M포인트가 동시에 쌓이는 카드

매달 적립되는 M포인트의 20%가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된다. 나머지 사항은 M2와 동일.


8.3.3. Hyundai BLUEmembers Platinum Plus[편집]


파일:BlueMembers_3.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Hyundai
BLUE
members
Platinum
Plus
국내전용65,000[51]
파일:비자카드 로고.svg
Platinum
70,000[52]컨택리스 지원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Platinum

신차 구매 혜택은 물론, 쓸 때마다 블루멤버스포인트와 M포인트가 동시에 쌓이는 카드

매달 적립되는 M포인트의 30%가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적립된다. 나머지 사항은 M3와 동일.


8.4. 스마일카드[편집]


2021년 5월 2일, SmileCard Edition2가 출시되면서 신규/추가/갱신 발급 중단

파일:현대 Smile Card.png

G마켓, 옥션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스마일캐시를 실적/한도 제한 없이 쌓아주는 스마일카드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스마일
신용카드
국내전용5,000
파일:비자카드 로고.svg8,000[53]컨택리스 지원

2018년 6월에 이베이코리아(현 지마켓글로벌)와 손잡고 출시한 신용카드 상품. 혜택은 스마일페이 가맹점에서 스마일페이 경유 결제시 스마일 캐시 2% 적립 및 그 외 가맹점에서 스마일 캐시 1% 적립. 이마트 e카드와 같이 M포인트 그런 거 없이 오직 스마일캐시로만 적립되며, 스마일캐시는 지마켓글로벌 산하 오픈마켓 사이트(옥션, G마켓, G9)에서 현금처럼 1:1 사용이 가능하다. 후불교통카드는 선택이며, 도안은 위 이미지의 노란색, 약간 투명한 남색, 흰색 3가지다. 신청은 스마일 페이 홈페이지에서 가능. 현대카드 공홈에도 있지만 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스마일 페이 신청페이지로 넘어간다. 커뮤니티에서 이 카드가 유명한 이유 중 한가지가, 바로 다른 현대카드에 비해 발급조건이 그다지 까다롭지 않다는 점이다. 보통 재직기준 또는 재산소유 기준이 아니면 엄청 까다로운 현대카드지만, 이 카드는 프리랜서라도 비교적 쉽게 신청해서 받을 수 있다. 대학생도 꾸준하게 적금이나 정기예금등 자산을 관리하고 지출을 무리하게 하지 않는다면 발급심사를 따낼 가능성이 높다. 본인이 고정적 수익이 없어서 현대카드 받기가 어렵다면 이 카드를 한 번 신청해보는 것도 좋다.

리볼빙을 쓰게 되면 당황할 수 있으니 주의. 사용분이 리볼빙 결제액에 합산되지 않고 별도로 추가 청구된다. 그렇지만 카드 신청시 리볼빙 서비스도 가입을 해야 연회비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파일:hyundaicardespc.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
스마일 하이브리드 카드국내전용5,000
스마일 신용카드의 하이브리드 버전. 현대카드 홈페이지에는 없고, 스마일페이에서 신용카드 신청시 통과가 되지 않으면 하이브리드 카드 신청 버튼이 뜬다. 즉, 신한카드네이버페이 라인프렌즈 신한카드 - 네이버페이 S2 체크카드의 관계같이 신용카드 발급 승인이 되지 않을 경우의 대안발급만 된다. 오히려 신용카드 발급이 가능하면, 하이브리드 발급이 불가능하다. 기존 현대 하이브리드 카드와 달리 한도가 30만원까지 되며, 즉시 심사 후 바로 스마일페이에 추가된다. 그 때문인지 다른 여타 하이브리드 카드처럼 저신용자가 찔러보고 발급하기 수월하다. 신용카드의 적립률과 연회비를 그대로 따라간다. 다만 은행별 사용 제한시간에 못 쓰는 건 마찬가지.


8.5. SSG.COM 카드[편집]


파일:현카쓱.png 파일:SSGCard_2.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SSG.COM
카드
국내전용20,000[54]
파일:비자카드 로고.svg컨택리스 지원

어디서든 쓸 때마다 신세계포인트가 쌓이고 SSG.COM에서 최대 4%, 생활 편의 영역에서 최대 5%까지 적립되는 카드

2019년 8월 28일자로 나온 신상카드이다. 특이하게 대부분의 카드는 전월 실적 30만원을 요구하는데, 이 카드는 당월 실적으로 30만원을 요구한다! SSG.COM에서 결제 시 2~4%[55]를 신세계포인트로 적립해주고, 생활 편의 영역[56] 에서 사용하면 3~5%[57]를 신세계포인트로 적립해준다. 그 이외의 가맹점에서는 0.5%를 신세계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2022년 7월 11일 발급 종료.


9. 특이상품[편집]



9.1. 선불카드[편집]


위의 깡통과는 다른 사양.

현대카드 H 선불카드로 충전식 구조. 구매 0.5% + 충전 0.5% 캐시백을 노리는 사양이었다. 상세 내용은 선불카드 항목 참고


9.2. it card[편집]


원래 카드와 별개로 메탈 플레이트를 하나 더 만들어주는 상품.
발급비 10만원, 연회비 국내전용 65,000원, 마스터즈 70,000원을 별도로 받았다.

해당 카드 자체는 2017년 2월 1일부터 신규발급이 중지되었으나, 2022년 현재 프리미엄 라인업의 메탈 플레이트들의 원형이 된다고 보면 된다. 현재의 메탈 플레이트와 달리 어떤 카드 상품에도 대응시킬 수 있었다는게 특징.


9.3. Chameleon[편집]


파일:card_chamel_h.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현대카드
Chameleon
국내전용없음[58]신용카드 필요
파일:비자카드 로고.svg컨택리스 지원
비자카드 필요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컨택리스 지원
마스터카드 필요

현대카드만 쓸 수 있는 삼성 페이 실물카드 버전으로 상품의 특성상 연회비는 없다. KB국민카드의 알파원카드 처럼 앱에서 카드 하나를 카멜레온 결제 카드로 지정 후 긁으면 선택된 카드로 결제되는 방식이다. 특이하게도 카드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CHOOSE WHEN YOU WANTUSE WHAT YOU WANT로 글귀가 달리 보인다. 카멜레온 카드는 1장만 보유할 수 있으며 국제브랜드를 바꾸고자 한다면 해지 후 추가발급 과정을 거쳐야 한다.

후불교통 기능이 탑재된 신용카드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알파벳 기반이 아니라면 제휴카드 대부분을 등록할 수 없다. 해시태그를 활용한 특정 가맹점에 대하여 특정 카드를 지정하는 기능 또한 없는데 현대카드는 카드 1장으로 전 가맹점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가 대부분이라 알파원만큼의 유용성은 없다고 봐야한다. 가족카드 발급 수수료가 있는 카드의 가족카드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카드 훼손의 위험이 있는 결제 장소에서 대신 사용한다던가 하는 백업카드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파일:hyundai_chameleon.jpg

카멜레온 사용은 발급 받은 후에 현대카드 앱 실행 > 왼쪽 위의 메뉴 탭 > Chameleon 신청/설정 순으로 들어가서 국내 결제 / 해외 결제 / 교통카드 순으로 설정해주면 바로 전산에 반영되어 사용할 수 있다. 후불교통의 경우 변경하더라도 결제가 확정이 되지 않은 건은 변경된 카드로 청구된다.

카멜레온에 등록할 수 있는 카드는 알파벳 시리즈 및 알파벳 기반 제휴카드, ZERO, the Pink, the Green과 the Red의 개인카드다. 알파벳 시리즈 기반이면 체크나 하이브리드도 등록 가능.[59] 다만 법인카드, 고위 프리미엄 카드인 the Purple과 the Black은 제외된다. 스마일카드, 코스트코, 대한항공, 신세계그룹, 이마트, GS칼텍스, 계열사인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조차도 알파벳 기반이 아닌 PLCC 카드라 역시나 제외.

각종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시 카멜레온 하나만 등록하고 현대카드 앱에서 설정만 바꾸면 되니 카드 등록을 하나하나 다 해야될 귀찮음이 사라진다는 장점이 있다.[60] 삼성 페이에서는 등록되지 않으니 주의. 딱히 정책적으로 배제하는 건 아니고, 여러 카드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카멜레온 카드랑 카드번호를 그때그때 변조하는 삼성페이의 기능이 충돌이 나는 기술적 문제 때문이라고. 네이버 페이에서는 한때 등록이 안되었으나, 2021년 7월 현재에는 가능하다.

2022년 5월 24일부로 신규발급이 중단되었다. #


9.4. 공무원연금-현대카드M[편집]


파일:공뭔현대.png
상품명브랜드연회비비고
공무원연금-현대카드M국내전용기본 5,000 + 제휴 10,000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기본 5,000 + 제휴 15,000후불교통카드 추가 시, 컨택리스 지원
2019년 10월 현재에 발급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오리지널 M카드이자, 리뉴얼 한참(?) 이전의 가로형 플레이트 적용 상품이다.
현직에 있는 공무원만 발급할 수 있고, 가족카드는 연회비가 없다.

공무원연금공단과 제휴계약만료로 인해 2022년 6월 15일에 신규발급이 중단되었다.[61]


파일:CC-white.svg 이 Chameleon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Chameleon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기본 15,000+제휴 75,000, 가족카드 20,000.[2] 기본 15,000+제휴 45,000, 가족카드 15,000.[3] 기본 10,000+제휴 20,000, 가족카드 연회비 10,000.[4] 기본 5,000+제휴 60,000, 가족카드 15,000.[5] 기본 5,000+제휴 65,000, 가족카드 20,000.[6] 기본 5,000+제휴 60,000, 가족카드 15,000.[7] 기본 5,000+제휴 65,000, 가족카드 20,000.[8] 기본 5,000+제휴 30,000, 가족카드 연회비 없음.[9] 기본 5,000+제휴 35,000, 가족카드 연회비 없음.[10] 기본 5,000+제휴 10,000.[11] 기본 5,000+제휴 15,000.[12] 연금저축 연계상품이므로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해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캐시백은 해당 계좌로 매월 자동입금되는 방식이다.[13] 오픈마켓(G마켓/옥션/11번가), 소셜 커머스(쿠팡/티몬/위메프), 온라인 종합 쇼핑몰(CJ오쇼핑/GS SHOP/인터파크), 온라인 면세점(롯데/신라/신세계), 백화점몰(SSG닷컴/롯데닷컴/현대H몰), O2O(배달의민족/요기요/배달통)[14] 단, 좌석, 광역(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직행좌석버스도 포함.), 마을버스는 무임승차 불가능.[15] 예시: VISA 포인트형 + 유니온페이 모바일 포인트형 = 총 회비 15,000원 / 국내전용 할인형 + 국내전용 모바일 포인트형 = 총회비 5,000원[16] 기본 10,000+제휴 10,000.[17] 멜론, 지니뮤직,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그리고 한국에 디즈니+가 출시되면서 추가되는 버프를 받았다[18] 삼성 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SSG PAY, 스마일페이, 쿠페이[19] 다만 3층 시스템은 이제 거의 모든 현대카드에 적용되어 Digital Lover만의 특색이 약해진 느낌이 있다[20] 참고로 사용 가능한 매장이 대부분 서울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지방 사는 사람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인식이 강하다.[21] 기본 100,000+제휴 200,000, 가족카드 100,000.[22] 이 오픈 마일리지는 씨티 프리미어마일이나 하나 크로스마일 같은 다른 카드사의 전용 마일리지와 달리 적립 후 타 항공사의 마일리지로 전환하는게 아니라, 현대카드에서 직접 항공권을 구매해주고 마일리지를 공제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외국계항공사는 자유롭게 전환가능하지만 국적항공사는 무조건 카드발급때 하나만 골라야 하는 다른 카드사와 달리, 여기는 국적항공사도 가리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마일리지를 통해 구매할 수 있는 항공권은 보너스 좌석으로 한정되지만 이거는 그냥 일반 좌석 또는 더 공제하면 상위 클래스 좌석도 구해주기 때문에 항공권을 얻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다만 그만큼 공제되는 마일리지가 매우 비싸다. M포인트로 전환이나 결제 대금으로 차감이 가능하며 유효기간은 5년.[23] 기본 5,000+제휴 790,000, 가족카드 65,000.[24] 기본 5,000+제휴 795,000, 가족카드 70,000.[25] 기본 5,000+제휴 140,000, 가족카드 45,000.[26] 기본 5,000+제휴 145,000, 가족카드 50,000.[27] 세금/아파트관리비/공과금/상품권 등 대부분이 실적 인정되며, 관리비나 상품권은 적립까지 가능하다.[28] 기본 5,000+제휴 2,490,000, 가족카드 495,000.[29] 기본 5,000+제휴 2,495,000, 가족카드 500,000.[30] 정용진 신세계부회장도 소유하고 있다. # [31] GD, 박진영, 방탄소년단, 김재중도 소유하고 있다.[32] 회사 말로는 0.05%[33] 2017년 3월 30일 이전에는 최대 5장까지 가능했었다. 가족카드 발급 장수 변경 안내[34] 다이너스 클럽은 1국가당 1개 신용카드사에만 다이너스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정책을 고수해 오고 있다. 그러니까 세계 어느 나라에서건 다이너스 클럽 카드를 발급하는 신용카드사는 그 나라에서 유일한 발급 기관이 된다.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JCB,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과 달리, 한 국가 내의 여러 금융기관에서 다이너스 클럽 카드를 발급하는 경우는 없다. [35] 마일리지 적립이 없는 대신 M포인트가 적립되었으며, 연회비는 3만원[36] 전세계 850여개 라운지 커버, 다이너스 클럽의 경우 2016년 11월 기준으로 700여개.[37] Priority Pass의 경우 카드 본인만 이용 가능한 관계로 가족 단위 여행때는 자신 외에는 추가비용이 소요되어 실질적으로 무용지물이나 다이너스 클럽의 경우 가족카드 1장을 무료로 발급받을수 있으므로, 무료 라운지 혜택 범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38] 해외발행 다이너스 클럽의 수수료는 대개 3% 정도로 높다.[39] 신세계포인트 가맹점에서 이용시 전월 실적 50만 원 미만 0.5%, 50만 원 이상 0.7% 추가적립, 그 외 가맹점은 0.3% 무실적으로 신세계포인트를 적립해 준다.[40] 나머지 신세계 계열은 총 0.6~0.8% 적립이 가능.[41]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산업은행 자체 체크카드는 하이브리드 기능이 강제로 부여된다.[42]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블라섬에 링크가 있지만,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전화로 신청해야 한다.[43] 이마트(이마트 트레이더스, 분스), 이마트 에브리데이, 신세계 사이먼, 신세계백화점, 조선호텔, SSG닷컴, 신세계인터넷면세점, 신세계면세점, 스타벅스, 보노보노, 자니로켓, 영랑호 리조트, 이마트24 등.[44] 그 외의 가맹점인 경우 무실적으로 적립된다.[45] 이마트24는 1.5~2.0%.[46] 다만, 플래티넘 카드에서 플래티넘 서비스가 빠지고 대신 기업지원 서비스가 들어갔다.[47] 기본 5,000+제휴 10,000.[48] 기본 5,000+제휴 15,000.[49] 기본 5,000+제휴 30,000, 가족카드 연회비 없음.[50] 기본 5,000+제휴 35,000, 가족카드 연회비 없음.[51] 기본 5,000+제휴 60,000, 가족카드 15,000.[52] 기본 5,000+제휴 65,000, 가족카드 20,000.[53] 기본 5,000+제휴 3,000.[54] 기본 10,000+제휴 10,000.[55] 30만원 이상 2%, 70만원 이상 3%, 100만원 이상 4%[56] 커피/베이커리, 통신, 주유, 편의점, 영화관, 외식, 대중교통 (버스/지하철만 해당.)[57] 30만원 이상 3%, 70만원 이상 4%, 100만원 이상 5%[58] 가족카드 발급불가.[59] 교통카드 기능이 지원되는 신용카드가 별도로 1장 이상은 꼭 있어야만 한다.[60] 현대카드는 세로카드가 되면서부터 카드번호가 뒷면에 층층이 기재되는 별도방식이라 스캔도 안먹는다.[61] 이카드를 사용하는 공무원은 2022년 12월 31일 까지 복지포인트 사용이 가능하지만 그 이후에는 다른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망했어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7 05:06:25에 나무위키 현대카드/카드상품/발급중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