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릉(원신)/여담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향릉(원신)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원신 로고.svg 캐릭터별 여담}}}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 펼치기 · 접기 ]
## 주인공 시작
파일:원신로고w.png 주인공 일행
##
[[여행자(원신)/여담|
파일:원신 아이테르.png
아이테르
파일:원신 루미네.png

루미네
]][[페이몬/여담|
파일:원신 페이몬.png

페이몬
]] ||
파일:원신_몬드_아이콘.png 몬드
[[엠버(원신)/여담|
파일:원신 엠버.png
엠버
]][[케이아/여담|
파일:원신 케이아.png

케이아
]][[리사(원신)/여담|
파일:원신 리사.png

리사
]][[바바라(원신)/여담|
파일:원신 바바라.png

바바라
]][[레이저(원신)/여담|
파일:원신 레이저.png

레이저
]][[피슬/여담|
파일:원신 피슬.png

피슬
]][[베넷/여담|
파일:원신 베넷.png

베넷
]][[노엘(원신)/여담|
파일:원신 노엘.png

노엘
]][[설탕(원신)/여담|
파일:원신 설탕.png

설탕
]][[진(원신)/여담|
파일:원신 진.png

]][[다이루크/여담|
파일:원신 다이루크.png

다이루크
]][[모나(원신)/여담|
파일:원신 모나.png

모나
]][[벤티(원신)/여담|
파일:원신 벤티.png

벤티
]][[클레/여담|
파일:원신 클레.png

클레
]][[디오나/여담|
파일:원신 디오나.png

디오나
]][[알베도(원신)/여담|
파일:원신 알베도.png

알베도
]][[로자리아(원신)/여담|
파일:원신 로자리아.png

로자리아
]][[유라(원신)/여담|
파일:원신 유라.png

유라
]][[미카(원신)/여담|
파일:원신 미카.png

미카
]] ||
파일:원신_리월_아이콘.png 리월
[[향릉(원신)/여담|
파일:원신 향릉.png
향릉
]][[북두(원신)/여담|
파일:원신 북두.png

북두
]][[행추/여담|
파일:원신 행추.png

행추
]][[응광/여담|
파일:원신 응광.png

응광
]][[중운/여담|
파일:원신 중운.png

중운
]][[치치(원신)/여담|
파일:원신 치치.png

치치
]][[각청/여담|
파일:원신 각청.png

각청
]][[신염/여담|
파일:원신 신염.png

신염
]][[종려/여담|
파일:원신 종려.png

종려
]][[감우/여담|
파일:원신 감우.png

감우
]][[소(원신)/여담|
파일:원신 소.png

]][[호두(원신)/여담|
파일:원신 호두.png

호두
]][[연비(원신)/여담|
파일:원신 연비.png

연비
]][[운근/여담|
파일:원신 운근.png

운근
]][[신학(원신)/여담|
파일:원신 신학.png

신학
]][[야란/여담|
파일:원신 야란.png

야란
]][[요요(원신)/여담|
파일:원신 요요.png

요요
]][[백출(원신)/여담|
파일:원신 백출.png

백출
]][[한운/여담|
파일:원신 한운.png

한운
]][[가명(원신)/여담|
파일:원신 가명.png

가명
]] ||
파일:원신_이나즈마_아이콘.png 이나즈마
[[카에데하라 카즈하/여담|
파일:원신 카에데하라 카즈하.png
카에데하라
카즈하
]][[카미사토 아야카/여담|
파일:원신 카미사토 아야카.png

카미사토
아야카
]][[사유(원신)/여담|
파일:원신 사유.png

사유
]][[요이미야/여담|
파일:원신 요이미야.png

요이미야
]][[쿠죠 사라/여담|
파일:원신 쿠죠 사라.png

쿠죠 사라
]][[라이덴 쇼군/여담|
파일:원신 라이덴 쇼군.png

라이덴 쇼군
]][[산고노미야 코코미/여담|
파일:원신 산고노미야 코코미.png

산고노미야
코코미
]][[토마(원신)/여담|
파일:원신 토마.png

토마
]][[고로(원신)/여담|
파일:원신 고로.png

고로
]][[아라타키 이토/여담|
파일:원신 아라타키 이토.png

아라타키
이토
]][[야에 미코/여담|
파일:원신 야에 미코.png

야에 미코
]][[카미사토 아야토/여담|
파일:원신 카미사토 아야토.png

카미사토
아야토
]][[쿠키 시노부/여담|
파일:원신 쿠키 시노부.png

쿠키 시노부
]][[시카노인 헤이조/여담|
파일:원신 시카노인 헤이조.png

시카노인
헤이조
]][[키라라(원신)/여담|
파일:원신 키라라.png

키라라
]] ||
파일:원신_수메르_아이콘.png 수메르
[[콜레이/여담|
파일:원신 콜레이.png
콜레이
]][[타이나리/여담|
파일:원신 타이나리.png

타이나리
]][[도리(원신)/여담|
파일:원신 도리.png

도리
]][[캔디스(원신)/여담|
파일:원신 캔디스.png

캔디스
]][[사이노/여담|
파일:원신 사이노.png

사이노
]][[닐루/여담|
파일:원신 닐루.png

닐루
]][[나히다/여담|
파일:원신 나히다.png

나히다
]][[레일라(원신)/여담|
파일:원신 레일라.png

레일라
]][[파루잔/여담|
파일:원신 파루잔.png

파루잔
]][[방랑자(원신)/여담|
파일:원신 방랑자.png

방랑자
]][[알하이탐/여담|
파일:원신 알하이탐.png

알하이탐
]][[데히야/여담|
파일:원신 데히야.png

데히야
]][[카베/여담|
파일:원신 카베.png

카베
]] ||
파일:원신_폰타인_아이콘.png 폰타인
[[리넷/여담|
파일:원신 리넷.png
리넷
]][[리니(원신)/여담|
파일:원신 리니.png

리니
]][[프레미네/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프레미네.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프레미네}}}}}} ||}}}]][[느비예트/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느비예트.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느비예트}}}}}} ||}}}]][[라이오슬리/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라이오슬리.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라이오슬리}}}}}} ||}}}]][[샤를로트(원신)/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샤를로트.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샤를로트}}}}}} ||}}}]][[푸리나/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푸리나.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푸리나}}}}}} ||}}}]][[나비아/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나비아.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나비아}}}}}} ||}}}]][[슈브르즈/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슈브르즈.pn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슈브르즈--}}}}}} ||}}}]][[시그윈/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시그윈--}}}}}} ||}}}]][[클로린드/여담|
#!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height=38>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클로린드--}}}}}} ||}}}]] ||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스네즈나야
{{{#!wiki style="margin: -5px -11px;" [[타르탈리아/여담|{{{#!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타르탈리아.png|width=100%]]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타르탈리아
}}}}}}]]
}}}
기타
{{{#!wiki style="margin: -5px -11px;" [[에일로이(원신)/여담|{{{#!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에일로이.png|width=100%]]
{{{#!wiki style="margin: -10px 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에일로이
}}}}}}]]
}}}


}}}



1. 개요
2. 목록
2.1. 게임 외
2.2. 게임 내
2.2.1. 누룽지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1. 개요[편집]


향릉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목록[편집]



2.1. 게임 외[편집]


  • 도감 일러스트 상의 주 무기는 백술창이다.


  • 피격 대사 중에 "사람 살려! 식자재가 사람을 때리네?!"[1]라는 대사가 있는데 멧돼지 같은 대상이 아닌 츄츄족이나 유적 가디언 같은 기계류, 심지어 인간형 적한테도 이 대사를 한다. 온갖 것을 식재료로 보며 요리에 별걸 다 넣는 향릉의 요리 방식을 생각해보면 그리 이상할 것도 없긴 하지만 인간형 적[2]일 경우엔 무서운 대사가 되어버리고 기계형 적이나 마물류 적에겐 좀 섬뜩한 대사가 된다. 심지어 스토리 내 진중한 보스전 상황에서도 적을 식자재 취급하거나, 필드에서 내리치는 번개에 피격당해도 식자재가 사람을 때린다고 하는 기염을 토한다. 번개를 음식에 넣을 건가? 심지어 대사 중에는 드래곤으로 스테이크를 만든다는 생각도 할 정도라서 밈으로 쓰일 정도. 풍마룡, 우인단, 바위 용왕, 번개신, 용의 파수꾼마저 식자재 취급이다

  • 1.0 버전에는 바람의 날개를 펴고 어찌 잘 움직이면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낙하 공격을 하는 버그가 존재했는데 이 버그가 하필 빙글빙글 돌면서 공격하는 낙하공격을 이용하면 드릴이 되거나, 탄도 미사일처럼 날아가는 향릉과 너무나 매치가 잘 되다 보니 아예 향릉호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3] 적잖은 웃음벨이었으나 1.1 버전에서 수정된 상황. 이후 그들의 낙하 공격과 비슷한 장병기 캐릭터 특유의 강공격 모션이 종종 향릉호로 불리게 되었다.

  • 대기 시엔 누룽지를 머리에 올려놓고 균형잡기 놀이를 하거나. 사과를 꺼내 마구 먹다가 다 먹으면 감탄하는 소리를 낸다.

  • 첫 만남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잔뜩 긴장해서 말을 연신 더듬는데, 영어판에서는 서투른 것에 그치지 않고 아예 말실수를 한다.[4] 내용을 보면 치킨과 키친의 발음을 이용한 언어유희를 적절하게 집어넣은, 초월번역급 현지화다.

  • 2021년 3월 2일 진행되는 호두의 픽업 '매화가 만개할 때'에 중운, 행추와 함께 픽업 4성으로 나오는데, 캐릭터 기원 최초로 5성 픽업과 원소가 겹치는데다 이미 향릉과 행추는 덧없는 인생 기원에서 픽업 4성으로 나왔는데 왜 얼마 안가 다시 픽업으로 선정됐는지 의문과 불만을 표하는 반응이 많다.[5] 이유는 여러가지지만 감우를 뽑기 위해 투자한 유저라면 행추와 향릉의 운명의 자리까지 6단계까지 돌파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2.1 버전 이후로 일본어 음성의 연기톤이 변경되었다.

  • 필드에서 움직일 때 달고 있는 방울이 딸랑거리는 소리가 난다.[6]

  • 이름 탓인지 의외로 묘 사부를 아빠가 아닌 사부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요리를 가르쳐 준 사람은 아버지가 맞아서 사부인 것도 맞긴 하다. 예상 외로 선인과의 접점이 있는데, 그녀의 사부가 바로 평 할머니였다. 화륜 발동 시 대사로 보아 무술 사부였던 듯.

추후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사실 해킹이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의 일이었다. 이 회의를 주도한 상원의원 만토바니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해당 Zoom 화상 회의의 주소는 물론 아이디와 비밀번호까지 대놓고 게시했던 것. 우스운 사실은 정작 이 상원의원은 이탈아의 모데나에 소재한 대학인 "University of Modena and Reggio Emilia"에서 컴퓨터 보안디지털 포렌식 분야(Computer Security and Forensic Discipline) 석사 학위를 수여한 사람이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독보적 요리치 속성인 라이덴 쇼군과 엮이는 개그성 2차 창작을 간혹 볼 수 있다. 다만 라이덴 쇼군의 요리치 속성은 주로 고든 램지와 자주 엮인다.

  • 직업이 요리사이고, 요식업계에서 종사하는 탓에 한국에서의 별명은 향종원이다.


2.2. 게임 내[편집]


  • 공식 미녀 중 한 명이다. 금사과 제도에서의 신염 비경에서 운근과 함께 신염에게 '귀여운 얼굴'이라는 평을 들었다. 하지만 복잡한 헤어스타일과 너무 짧은 눈썹이 미모 봉인구라며 신스킨을 내달라는 유저들도 있다.

  • 풀네임은 묘향릉. 아버지 묘사부의 호칭으로 묘씨임을 알 수 있다. 리월의 차 명인 유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향릉의 성이 '묘'라고 확실하게 언급한다. 리월 소속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에서는 호두, 운근와 함께 성이 확인된 인물이다.

  • 향릉이 소속된 식당인 만민당은 맛은 끝내주는데 가격이 적당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편이며 고급스러운 취향을 가진 종려조차 향릉이 출근하면 유리정이나 신월헌이 아닌 만민당에서 식사를 해야 한다며 극찬했다. 애초에 향릉의 요리를 꺼리는 이유는 맛이 없기 때문이 아닌, 특유의 식자재 선정 기준이나 요리의 기운 때문이다.

  • 1.6 버전까진 외국인 몬드의 샘물 마을에서 갑툭튀하고 정작 모국인 리월에선 코빼기도 비치지 않았다. 메인 퀘스트에서마저! 애초에 몬드고 리월이고 플레이어블 캐릭터 상당수가 개인 스토리가 없기는 하지만...[7][8] 리월 내 유일한 출연은 종려의 PV에서 만민당 서빙하는 모습.[9] 아버지 묘 사부가 딸 자랑하지 않으면 리월 사람인 줄도 모를 정도. 그러나 2.1 업데이트로 추가된 「축월절」 이벤트에서 드디어 리월에서 등장하게 되었는데 아예 주역으로 발탁되었다.

  • 화륜의 알고리즘상 캐릭터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캐릭터가 워프로 지역을 이동해도 따라온다.#

2.2.1. 누룽지[편집]


피슬의 오즈, 아라타키 이토의 우시처럼 원소 스킬에 등장하는 향릉의 파트너로 어린 시절에 향릉이 깊은 잠을 자고있던 누룽지에게 매운 고기찐빵을 공양하면서 향릉을 따르게 된다. 누룽지가 메인이 된 축월절 이벤트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마르코시우스 문서 참조.

이쪽은 이토처럼 향릉이 누룽지의 말을 알아들을 수는 없으나 감정 표현이 활발한 편이다. 대표적으로 보여준 모습이 축월절 이벤트 때로, 가 여행자의 부탁으로 향릉의 음식을 맛보기 위해 나타나자 매우 반가운 듯 점프를 하고 손을 흔드나, 소가 맛만 보고 곧바로 사라지자 슬퍼한다.

색이나 눈의 무늬 때문에 너구리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지만 영문판에서 페이몬이 누룽지를 지칭할때 Panda라고 말하는 것을 보아 인 듯 하다. 사실 클로즈 베타 시절에 정말 판다의 모습이었지만 정식 서비스를 하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편집]



[1] 영어로는 "Help! My Dinner is Attacking Me! (도와줘! 내 저녁밥이 날 공격한다!)", 일본어로는 "助けて!食材が襲ってくるの! (살려줘! 식자재가 덮쳐온다!)"라고 한다. 중국어("救命啊,食材打人啦!")는 한국어 번역과 의미가 똑같다.[2] 보물 사냥단, 우인단, 해란귀, 도금 여단 등.[3] 사실 장병기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은 대부분 다 이런 모션이다. 향릉은 입은 옷과 체형 때문에 빙글빙글 돌면서 직선으로 빠르게 날아가는 모션이 특히 부각이 잘 되는 것이다.[4] 영어 원문 : Hello, nice to meet you! My name is Xiangling, I'm a chef from Liyue! My favorite place is the chicken... I mean, the kitchen! Ugh, I practiced so hard, but I still get nervous when introducing myself... Hee hee.[5] 다만 이는 호두의 동갑내기 소꿉친구들이란 이유로 의도적으로 배치했을 가능성이 높다.정작 중요한 스토리 중엔 등장도 없어서 문제지[6] 비슷하게 방울이 딸랑거리는 소리가 나는 캐릭터는 대표적으로 감우리사, 카미사토 아야카, 나히다 등이 있다.[7] 명백히 외국 출신인 타르탈리아마저 개인 스토리가 있는데, 나름 네임드 캐릭터인 몬드의 설탕이나 리월의 응광 같은 캐릭터는 초대 이벤트조차 없다. 그나마 응광은 2.4 버전에서 초대 이벤트가 추가되었다.[8] 이나즈마 업데이트 이후 미식 어벤져스 퀘스트를 진행하고 이나즈마 일일 퀘스트를 깨다 보면 경책산장 주변에서 죽순을 캐고 있는 향릉을 만날 수 있다. 이때 향릉의 노트를 어벤져스에게 건네주면 '삐카? 왜 또 삐카야' 라는 업적을 달성 가능하다.[9] 대사는 만민당에서 식사를 하려는 종려에게 메뉴를 안내하는 딱 한 문장. “종려 선생님, 오늘은 샘물 마을의 멧돼지 고기가 들어왔는데, 세트 메뉴의 소금 두부랑 바꿔드릴까요?” 이에 대한 종려의 대답은 "둘 다 주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9:18:21에 나무위키 향릉(원신)/여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