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커스쿨

덤프버전 :

해커스쿨
HackerSchool
파일:external/www.hackerschool.org/logo.png
사이트 주소http://www.hackerschool.org/
설립일2000년 9월 9일
사용 언어한국어
현재 상태운영중

1. 개요
2. 구성
2.1. 커뮤니티
2.2. 학교(강좌)
2.3. 그 외
3. 기타



1. 개요[편집]


2000년 9월 9일에 오픈한 해커 또는 해커지망생을 위한 해킹 관련 사이트이다. 해킹과 보안에 대해 잘 알려지지도 않고, 전문가도 부족하던 시절에 국내의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해킹의 심각성을 일깨워 부당한 피해를 당하는 것을 막아보자는 취지로 처음 오픈하였다고 한다.

만화를 이용한 기초 강좌를 제공하고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FTZ 서비스도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접속이 불가하다.[1]


2. 구성[편집]



2.1. 커뮤니티[편집]


묻고 답하기, 책 교환, 자유 강좌 등의 게시판을 제공한다.


2.2. 학교(강좌)[편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대학교는 아직 완전히 오픈되지 않았다. 참고로 강좌들이 전부 만화로 되어 있다! 단순한 스크립트 키디였던 구타가 멍멍[2]이란 사람으로부터 제대로 된 해킹을 배운다는 스토리로, 각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3]


그러나 만화 강좌를 본다고 해서 즉시 어엿한 해커가 되는건 아니다. 더군다나 다들 기초만 배우기 때문에, 실제 해킹에 써먹으려면 택도 없다. 아마 저 강좌를 올려놓은 의도가, 기초를 알고, 필요한 부분을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라는 뜻 일듯.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나머지 정해진 것을 공부해서 그대로 문제 푸는 식으로 배울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절대 아니다. 해킹은 해당 대상을 끊임 없이 탐구하고 고찰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즉 정해진 시험 범위를 공부해서 해결하는게 아니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해킹 기법들을 공부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든 후, 응용하기 위한 기초로 삼는 것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미 좋은 자료가 인터넷에 많이 있고, 책도 많이 있으므로 꼭 찾아보자.


2.3. 그 외[편집]


  • 연구소(Wiseguyz)
  • 해커스쿨 자체가 초보에게 알맞은 사이트라서, 초보 해커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걸 알 수 있다. 연구소는 그것과 격리된 부분으로, 진짜 실력있는 해커들의 그룹이다. 규정이 상당히 빡세다.

  • 운동장(FTZ)
  • telnet으로 접속하여 공개 리눅스 서버를 이용하고, 리눅스 사용법/명령어를 실전에서 익히는 FTZ와, 실제로 서버를 해킹해볼 수 있는 Level-Up 서비스를 제공한다. FTZ와 Level-Up을 합쳐서 그냥 FTZ로 부르는듯. 해커스쿨이 제공하는 궁극의 서비스.

  • 도서관
  • 각종 보안 관련 문서들을 정리해놨다.

  • 해쿨샾
  • 2008년 10월 13일에 오픈한 쇼핑몰. 리눅스 CD, 티셔츠, 그리고 5만원 정도의 간단한 조립컴퓨터를 판다. 해킹 연습때는 비싼 사양이 필요 없으므로, 저정도로도 연습 용으로는 충분하다.
  • 컴퓨터의 경우 FTZ 에디션이라 하여, FTZ 서버의 소스코드를 그냥 주는 것도 있다. FTZ를 집에서 운영할 수 있는 것.


3. 기타[편집]


  • 2000년대에는 해커스와 이름이 비슷해서 서로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던 적도 있다.

  • 해킹 캠프
  • 2010년 2월 첫 해킹캠프를 개최했다. 참가하고 싶다면 이 링크로 들어가보자. #
  • 2023년 현재 4월 16일자로 제 26회 해킹켐프 참가 신청을 마감하였다.


  • 강좌 업데이트
  • 해커스쿨의 만화강좌는 상당히 인기가 있다. 헌데 무슨일인지 고등학교 1화까지만 올라오고 업데이트가 안되는것. 곧 올라올 줄 알았는데.... 이게 무려 2년을 끌어서 2화가 올라왔다.
  • 다음 3화도 2년 후에 업데이트된다는 운영자의 개그 아닌 개그가 있다. #
  • 하지만 7년이 훨씬 지나 8년이 거의 다 되어가는 2018년 7월까지도 3화는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멍멍이 해킹/보안 업계에서 상당히 많은 활동을 하고 있어 사이트를 관리할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본인도 여러 강연에서 자신을 소개할 때 만들어놓고 방치하고 있다고 자조적인 농담을 하곤한다.

  • 해킹대회를 개최한 적이 있다. 단, 2003년이 제 4회로 마지막 대회였다(...)
[1] 2021년 7월 27일 기준으로 PING에 대한 수신값이 돌아오지 않는다.[2] 참고로 멍멍과 구타는 해커스쿨 운영자의 실제 닉네임이다.[3] 단, 고등학교는 2016년 1월 기준으로 2편까지 업데이트되었다.